지난 3.31일부로 23년간 운영해 오던 사업장을 정리하고 남한내에 현존하는 226개의 시, 군, 구를 포함한 "섬 여행"을 목적으로
4.1일 구입한 "대림혼다 125cc Q2 스쿠터"에 번호판을 부착하는 중입니다.
남한땅 세바퀴, 6천키로를 목표로 번호판 제작소에 도착하니 벌써 12.6키로가 넘어갑니다.

수납용 "리어 백"도 달았고.......

이런 모습으로 새로 태어 났습니다.

92년도에는 가족들과 함께 포항에서 카페리를 타고 일곱시간 반을 달려 울릉도 성인봉에 올랐던 탓에,
이번에는 "묵호항"에서 쾌속선을 타려 했는데 손님이 적어 6월말부터 7.10일까지 묵호항이 휴항을 하는 바람에 어쩔수 없이
"강릉항"에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울릉도 도동항"에 도착하니 그동안 목포나 군산등지에서 자주 보던 "일본식 가옥"을 잘 보존하고 있었습니다.
92년도 방문시에도 분명히 있었을텐데 못보고 지나간 듯 합니다.

울릉도에서 먹은 "따개비 밥"(15,000 원 / 한 그릇)이 인상에 남습니다.

도동항 전망대에서 바라본 도동항 전경입니다.

도동항에 하선후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담벼락에 씌여진 문구입니다.

"도동항 전망대"에 설치된 조형물 입니다.

독도가 아니고, 도동항 전망대 입니다.

울릉도 일주도로를 따라 출발하다 보니 파도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방파제에 설치되어 있는 "테트라 포트"(TETRA-POT)
위에 앉아 있는 갈매기가 마치 수평선상에 앉아 있는 형상이라 한 장 찍어 보았습니다.

울릉도민들이 "강치(=바다사자)"가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일주도로상에 세워 놓은 조형물입니다.
차승원이 열연한 대동여지도 영화에도 "강치떼"들이 등장하더군요!!


일명 '송곳산"으로 불리우는 "영추산" 자락의 "성불사" 입니다.


수년전 중대 모임시 "도담삼봉"에서 사진촬영후 인근 산에 오를때 보았던 것 처럼
바위에 구멍이 뚫린 모습이 인상적 이었습니다.

안개에 쌓인 "성인봉"의 모습이 많이 가라 앉은듯 합니다.

밭일을 하는 아낙네의 손길은 분주하기만 하고......

밭매는 아낙네와 소로길을 사이에 두고 막걸리 한 잔하면서 담소를 나누고 있습니다.
이 사람들도 8자가 좋아서 놀러 다니는게 아니라 수십년 동안 벼르다가 처음 떠난 여행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처럼 말입니다. ㅋㅋㅋ

92년도에도 찍었던 사진인 데 이번에는 "필름 카메라"가 아니라서 원없이 찍고 싶은 풍경을
찍을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맞지 않아 일출을 보진 못했지만 울릉도에서는 꽤나(?) 유명한 일출전망대 인듯 합니다.

모든 생물들은 어떤 환경에서든, 어떤 모습으로든 살아가게 되어 있다는걸
다시 한 번 느껴 보고.......

전망대에 오르기 전에 잠시 쉬머 가느 "포토 존" 입니다.

자연과 어우러진 모습이 보기 좋아 "어안렌즈"로 잡아본 모습입니다.

울릉도에 이런 폭포가 있으리라고 생각을 못했는데 제법 멋있는 풍경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3단으로 된.........

봉래폭포 가는 길에 위치한 "풍혈"입니다.
밀양 얼음골처럼 씨~원한 바람이 나오는 바람에 금새 닭살이 돋을 정도로......
이 곳에서 잠시 땀을 식혔습니다.


드디어 이번 여행의 목적지인 "독도"를 가기 위해 "저동항"에 도착했습니다.
부둣가에서 말리고 있는 "울릉도 오징어" 입니다.

저동항에 위치한 "관해정" 입니다.


저동항은 "고 박정희 대통령"이 "육군 대장" 시절에 방문하여 그 후로 "어업전진기지"로 명명하여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는..........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리 외로운 섬하나 새들의 고향"으로 가기 위해 도착한
"저동항 여객선 터미널" 모습입니다.

"씨스타 호"(쾌속선)를 타고 두시간여를 달려 갑니다.

다음은 독도로 이어집니다.
첫댓글 울릉도에는 따개비칼국수, 따개비 밥이 일품입니다!
사진을 보니 파노라마같이 한 여름이 추억이 살아나는 것 같아 반갑기만 합니다. 임작가님께, 감사를!!!!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격려문구 올린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대장정을 끝냈구려, 수고 많았습니다!
덕분에 앉아서 울릉도의 모든 것을 보았으니 감사!
포트 위에 앉아 잠시 휴식을 취하는 갈매기가 철수 씨 같다는 생각이 드는구려~
이곳 저곳 나라 좋은 구갱 다했으니 이제 세계일주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