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스트리안 쇼트-헤어드 하운드 (Istrian Short-haired Hound)
► 이 명 : 이스타르스키 크라트코들라키 고닉(Istarski Kratkodlaki Gonic), 시엥 쿠라 드이스트리에 아 포일 라스(Chien Courant d'Istrie à Poil Ras), 이스트리아너 쿠츠하리지 브라케(Istrianer Kurzhaarige Bracke), 이스트리안 세터(Istrian Setter), 쿠츠하리지 이스트리아너 브라케(Kurzhaarige Istrianer Bracke), 이스트리안 스무드-코티드 하운드(Istrian Smooth-coated Hound), 사부에소 드 이스트리아 드 펠로 코르토(Sabueso de Istria de Pelo Corto), (Istarski Kratkodlaki Gonič)
► 외 관 : 이스트리안 숏헤어드 하운드(Istrian Shorthaired Hound)의 크기는 체고 44~56㎝, 체중 14~20kg정도되는 중형견이다. 이 개는 주둥이가 길고 아주 잘 생겼다. 털은 얇고 촘촘하게 자라며, 하얀 바탕에 귀와 귀 주변이 오렌지색이다. 몸에도 오렌지색의 작은 반점이 있는 것을 좋은 개체로 본다. 어두운 타원형의 눈은 너무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긴 주둥이는 어둡고 특이한 코로 이어진다. 넓은 귀는 머리 옆에 납작하게 늘어져 있으며, 팔꿈치와 긴 어깨는 몸 가까이에 있다. 발은 마르고 단단하며, 발바닥과 발톱은 딱딱하다. 허벅지는 짧고 뒷무릎 관절이 높다. 꼬리가 무릎 관절의 바로 아래에 닿는다. 윤기 나는 털은 고운 감촉을 가지고 있다.
► 설 명 : 이스트리안 숏헤어드 하운드(Istrian Shorthaired Hound)는 주인에게 충직하고 냉정하다. 주인에게 순종적이고 가족과 아이들에게 상냥하다. 평소에는 온순하고 조용하지만 사냥을 나가면 끝까지 냄새를 추적할 수 있는 지구력이 있다. 일반 가정에서 키우려면 넓은 장소가 필요하며 큰 소리로 짖기 때문에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에서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다. 상황판단력이 있으며, 사회성과 협조성이 있다. 평균 수명은 12~14년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귓병과 눈 관련 질병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성장기의 개체들은 대부분 강한 식탐을 보이지만 성견이 되고 나면 스스로 어느 정도는 식사량을 조절 하므로 비만견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운동량이 매우 많아서 일반 가정에서 키우려면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털이 짧고, 털 빠짐도 적은 편이어서 털갈이 시기를 제외하고는 털 관리도 수월하다. 고대 견종으로 피부가 약하므로 실외에서 기를 경우에 잦은 목욕은 좋지 않으며, 피모가 심하게 오염이 되었을 경우에만 목욕을 시켜주면 된다. 환경적응력도 강해서 추위에도 강하고, 더위에도 잘 견딘다.
► 기 원 : 이스트리안 숏헤어드 하운드(Istrian Shorthaired Hound)는 슬로베니아(Slovenia)가 원산국이다. 발칸 반도에서 가장 대중적인 견종으로 상처 입은 토끼, 여우, 멧돼지 등의 피 냄새를 찾아내는 후각이 매우 발달하여 며칠 전에 지나간 사냥감의 냄새까지도 구별한다. 지금도 훌륭한 사냥개로 활약하고 있다. 발칸 센트(후각)하운드 중 가장 오래된 이 핸섬한 개의 선조는 페니키아인들이 발칸에 데리고 온 것으로 추정되는 아시안 사이트(시각)하운드와 유러피안 마스티프 그리고 센트 하운드의 잡종이다.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국경의 발칸 지역인 이스트리아에서 온 이 우아한 하운드는 원래 수도승들에 의해 개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옛 종교 문서에 의하면 매끄러운 털의 하운드는 지금의 슬로베니아 수도승들이 프랑스의 수도원으로 보낸 것이라고 적고 있다. 수도원들 간에 있었던 사역견의 교환은 어떻게 센트하운드가 유럽 전역에 그 씨를 뿌리게 되었는지를 어느 정도 설명해준다. 오늘날 이 능숙한 사냥꾼은 희미한 흔적을 찾는데 탁월하고, 며칠 전에 상처 입은 동물의 피 자국을 찾을 수도 있다. 원래의 이름은 ‘이스타르스키 크라트코들라키 고닉(Istarski Kratkodlaki Gonic)’이며, 이 견명이 유럽에서는 많이 알려져 있다.
► 비 고 ; 이스트리안 숏헤어드 하운드(Istrian Shorthaired Hound)는 1949년 FCI(세계애견연맹)에서 6그룹인 ‘후각하운드 종 및 관련견종(Scenthounds & Related Breeds)’ Section 1.2 ‘미디엄 사이즈 하운드 종(Medium-sized Hounds)’ 넘버 151번으로 공인되었다. 이 외에도 UKC (Scenthound Breeds) 등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이스트리안 숏 헤어드 하운드의 크기는 체고 44~56㎝, 체중은 14~20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제법 많이 큰 편이다. 외모는 기품 있는 풍모를 지니고 있으며, 힘이 센 하운드 유형의 중형 견이다. 거친 느낌보다는 날씬하고 우아한 느낌의 몸통을 갖추고 있으며, 균형 있게 보행한다. 짧고 섬세한 순백색의 털을 기본 색으로 하고 있으며, 머리와 몸통에는 주황색의 마킹(얼룩무늬)이 있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뚜렷한 편이다. 신체 비율은 직사각형의 외형에 체장이 체고보다 길고, 지면에서 무릎관절까지 측정한 체고는 지면에서 기갑까지 측정한 체고의 50%와 같으며, 머리가 주둥이보다 약간 길어 보인다.
► 머리 : 머리는 개의 몸통과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우아하고 긴 모양이며, 머리 부위의 가상의 선은 살짝 나누어져 있다. 두개골은 주둥이보다 약간 길고, 두 귀 사이가 상당히 넓으며, 관자부위는 둥그렇게 보인다. 뒤통수 융기는 약간 두드러지고, 이마 고랑은 적당하게 발달해 있으며, 스톱은 약간 발달되어 있다.
• 코 : 코는 콧마루보다 높거나 낮아서는 안 되며, 콧구멍은 잘 벌어져 있어야 한다. 코 전체와 콧구멍의 안쪽의 피부는 검은색이거나 갈색을 띠어야 하며, 부분적으로 색소가 결핍된(부분적으로 분홍색을 띠는 경우) 코도 허용되지만 바람직하지는 않다. 주둥이는 강력하며, 두개골보다는 약간 짧고, 스톱에서 코 쪽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지만 너무 가늘거나 뾰족하지 않아야 하며, 콧마루는 곧아야 한다.
• 입 : 입술은 얇고 팽팽하며, 턱에 알맞게 붙어 있으며, 구순교차 부위는 보이지 않는다. 입술은 코와 완전히 일치하는 색을 띠며, 부분적으로 색소가 결핍된, 즉 부분적으로 분홍색을 띠는 입술 가장자리는 허용되기는 하지만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턱은 강하고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이빨은 흰색이면서 고르게 나 있는 편이다. 교합 상태는 주로 협상교합(Scissors bite)으로 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교합이며, 앞니들은 턱에 수직으로 박혀 있고, 완전한 치열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전구치, 제3후구치는 없어도 되지만 다른 이빨이 없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볼은 저작근과 광대뼈가 두드러져서는 안 된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 크기이며, 두 눈 사이는 적당히 벌어져 있어야 하고, 수평선에서 10~15°정도 기울어진 채로 정면에 있어야 한다. 눈의 모양은 타원형으로 눈 색깔은 짙은 갈색이고, 눈빛은 영리하게 보인다. 눈꺼풀은 느슨하거나, 안검내반(Entropion), 즉 눈꺼풀이 안으로 말리는 것과 또는 안검외반(Ectropion)으로 눈꺼풀이 밖으로 말리는 모양이 있어서는 안 된다. 눈꺼풀 주위는 코의 색과 완전히 같아야 하고, 눈꺼풀 주위에 부분적으로 색소가 결핍(부분적으로 분홍색을 띠는)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지는 않다.
• 귀 : 귀는 머리에 매달리듯 붙어 있어서 귀의 앞부분은 두개골에 닿아 있으며, 눈높이에 위치해 있고, 귀 끝이 둥그스름한 이등변 삼각형의 모양으로 중간 정도의 길이이다. 귀가 앞으로 향할 때에는 구순교차 지점까지 도달되어야 하고, 귀의 피부는 얇으며, 주름이 있거나 돌돌 말리거나 혹은 꼿꼿하게 세워진 귀는 안 된다. 귀는 짧은 털로 덮여 있다.
► 목 : 목은 근육이 잘 발달해 있고 힘이 센 편이며, 수평선에서 45°기울어 있고, 목에서 머리 쪽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진다. 목의 피부는 팽팽하며, 목 밑에 처진 피부(dewlap)는 없고, 뚜렷이 접히는 주름도 없다.
► 몸통 : 몸통은 탄탄하지만 조화롭게 발달되어 있어야 한다. 기갑은 알맞게 발달되어 있는 편이고, 등은 강하면서 근육이 알맞게 발달되어 있어야 하며, 등선은 수평이다. 허리는 중간 정도의 길이이며, 넓은 편이고 근육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엉덩이와 잘 이어진 모습이다. 엉덩이는 근육질로 이루어져 있고, 강하면서도 널찍하며, 수평선에서 25~30°정도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기갑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다. 가슴은 깊으면서 넓고 큼직하지만 지나치게 넓다거나 혹은 종형흉곽(barrel chest)은 아니다. 흉곽은 앞다리 무릎까지 내려와야 하며, 갈비뼈는 잘 굽어져 있고, 몸통 하부윤곽선은 흉곽으로부터 옆구리에 이르기까지 완만하게 상승한 모습이다. 복부는 약간 턱 업(tuck up), 즉 몸통의 높이가 허리에서 매우 낮고, 복부가 감싸 올라간 상태로 되어 있다.
► 꼬리 : 꼬리는 엉덩이선의 연장선상에 있고, 꼬리뿌리는 힘이 센 편이며, 굵기는 꼬리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아래로 내릴 때는 꼬리 끝이 비절이나 그 아래까지 내려가며, 등선 아래로 사브르 모양으로 들고 다닌다. 흥분할 때 꼬리를 약간 더 높게 들고 있는 것은 허용되지만 등 위로 올라가 있어도 안 되고, 몸통 아래로 구부러져 들어가서도 안 된다. 꼬리는 짧은 털로 덮여 있고, 꼬리 아랫부분은 종종 약간 더 긴 털인 브러쉬드 테일(Brushed tail)이라고 하는 둥근 브러시와 같은 털이 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지는 않다.
► 사지 : 앞다리는 전체 몸통과 조화로운 비율이면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편이다. 어깨의 길이는 중간이고, 근육질이며, 어깨 각도는 115 ~ 120°정도이다. 앞다리 무릎이 몸통에 밀착되어 있고, 전완은 힘이 세면서 뼈는 둥글며, 결코 비대하지 않으면서 근 긴장도가 센 편이다. 앞에서 보았을 때 두 전완은 나란하고 평행하며, 앞발목뼈가 짧으면서 탄력이 있는 편이다. 발목은 탄력이 있고, 약간 비스듬하게 놓여 있으며, 앞발의 모양은 타원형이고,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발톱과 패드는 튼튼한 편이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튼튼하고, 움직일 때 탄력이 좋으며, 허벅지도 강하면서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허벅지 하부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4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고, 뒷무릎 관절은 튼튼하고 탄탄하며, 각도는 약 130°정도이다. 뒷 발목은 지면과 거의 수직이고 탄탄하고, 탄력이 있는 편이다. 뒷발의 모양은 타원형이고,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발톱과 패드는 튼튼하게 보인다.
► 털과 색 : 피부는 탄력이 있고 얇은 편이며, 주름이 있거나 분홍색이어서는 안 된다. 머리에도 주름이 약간이라도 있어서는 안 되고, 때로는 피부에 흰색 털 속에 어두운 회색 빛이 도는 검은색(종종 갈색 빛이 도는 경우도 있음) 얼룩이 눈에 보이지만 이는 허용된다.
털은 거칠고 촘촘하며, 윤기가 있는 털이 몸에 붙어 누워서 자란다. 털의 길이는 1~2㎝ 정도이며, 종종 허벅지 뒷부분에서 그리고 꼬리의 아래 부분에서 털이 길게 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허용되기는 하지만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모색의 기본 색상은 순백색이며, 몸통과 머리에 주황색 마킹(얼룩무늬)이 있고, 주황색 마킹은 털의 음영에서도 발견되는데 그 색조는 일정한 편이다. 주황색 마킹의 총량이 몸통 전체의 1/3이상이 되어서는 안 되며, 머리 부분에 있는 마킹들은 양쪽 귀와 두개골, 안면 부에 나타난다. 머리 전체가 완전히 주황색이어서는 안 되며, 머리에 마킹은 대칭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몸통에 있어서 얼룩은 어디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며,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부위는 등과 흉곽, 꼬리 부위 등이다. 이 얼룩들은 분명히 인식될 수 있는 점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고르지 않게 분포되어 있거나 얼룩 테두리 부분이 흐릿해서는 안 되며, 흰색 바탕색과 구분되어 육안으로 확인되는 작은 점들은 귀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에서는 추진력이 크기 때문에 보폭이 상당히 큰 편이며, 움직임이 조화로워야 하고, 절대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움직이는 동안 등은 탄탄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다리가 서로 꼬이는 것은 곤란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