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afe.naver.com/godnjf12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Å日月眞人 明 선생님Ω
♧마지막 구세주(救世主) 황발(黃髮: 明 선생님)♧
【인천(仁川) 중앙동(中央洞) 자유공원 작은 정자 옆에 있는 큰 정자(大亭:석정루石汀樓) 黃宮 】
【 鄭道令 (明 선생님)은 1946년 병술년(丙戌年)(음력 12월 대한민국 수도 서울 용산(龍山)에서)
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 선생 후손(後孫)으로 재림(再臨)하셨다 】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선생의 해월헌(海月軒) 현판
조선 중기 영의정을 지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현판
이항복(李恒福)[1556~1618]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자는 자상(子常)이며, 호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岡) 등이다.
1580년(선조 13)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1589년 예조 정랑으로 정여립(鄭汝立) 모반을 처리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병조를 맡아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가 오성 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
평생 청렴결백한 관리로 당파에 휩쓸리지 않았고, 문장 또한 뛰어났다.
신흠(申欽)은 이항복 신도 비명에서 “조정에 당파 싸움으로 서로를 겨눈 지 40년이 넘어 현인이나 불초를 막론하고 어느 쪽을 표방하지 않은 자 없었다.
그러나 공만은 홀로 중립을 취하여 기울어지지 않음이 태산의 높은 봉우리와 같이 높으니 감히 어느 누구도 헐뜯지 못하였다
[朝廷黨此相傾四十年餘 賢不肖莫 不標榜而 公獨中立不倚 屹乎如泰山喬嶽 人不敢訾而]” 라고 하였다.
조정당차상경사십년여 현불초막 불표방이 공독중립불의 흘호여태산고악 인불감자이
저서로 『사례 훈몽(四禮訓蒙)』 · 『주소계의(奏疏啓議)』 · 『노사영언(魯史零言)』 등이 있으며, 이순신 충렬 묘비문(忠烈廟碑文)을 지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포천의 화산 서원과 북청의 노덕 서원에 배향되었다.
배위는 정경부인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1537~1599]의 딸이다.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선생의 해월헌(海月軒) 현판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선생의 해월종택 해월헌(海月軒) 현판
〔 ※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 1564 (명종 19 ) ∼ 1635 (인조 13 ) ]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 추애(秋崖)
조선 중기, 한문 사대가(漢文 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대제학, 병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지냄 , 시호는 문충(文忠). 〕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선생께서도 해월유록(海月遺錄)에서 해월헌(題 海月軒)에 대하여 남긴 시(詩)가 있는데 그 중에서 한 구절을 보면 『기압영오굴(氣壓靈鰲窟) 심유대봉허(心遊大鳳墟)』 일기(氣)가, 신령한 거북의 굴(靈鰲窟: 삼신산-해월헌)을, 누르고 있으며, 근원이 되는 도(心, 북두칠성)가, 대(大) 봉황의 터(鳳墟)에서 노니는구나. 라고 하였다
해월헌(海月軒)이 있는 해월 선생의 집을 신령한 거북의 굴(靈鰲窟 : 삼신산 - 해월헌)이요 또한 대봉황의 터(大鳳墟)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선생은 다른 시(詩)에서도 『명구태백허(名區太白墟) 고인선업정(高人仙業靜)』
이름난(名區) 태백의 터(太白墟)로 고인(高人 : 뜻이 높고 덕이 있는 사람)의 신선의 과업(仙業)이 따르는 곳이라고 하였다
【上帝之子斗牛星 西洋結寃離去后 登高望遠察世間 二十世後今時當 東方出現結寃解】
【만사이황발(萬事已 黃髮 ) 잔생수백구(殘生隨 白鷗 )】
♧ 청림도사(靑林道士) 明(黃) 선생님 ♧
조선중기 대문장가인 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 선생의 시문이 들어있는 문집 목판본(7권14책)이 현재
고려대학교와 서초동 국립도서관에 있으며 필사본은 영남대학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도 또한 있음.
해월헌(海月軒) - 아계 이산해(鵝溪 李山海)선생의 친필
한석봉(韓石峰)선생의 해월헌(海月軒)의 갈근필병풍(葛根筆屛風 : 무이구곡가)
해월종택(海月軒):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明堂)
경북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433 (해월헌길70번지)
▶ 이광조 - 나들이 (1977年) [작사:이정선 / 작곡:이정선 / 편곡 ...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