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나무아미타불
 
 
 
카페 게시글
종합불교의 장 스크랩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是諸佛敎 의 해석
후박나무 추천 0 조회 54 07.11.24 15:4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是諸佛敎 의 해석

 

이 게송은 법구경183번에 나오는 구절이다. 빠알리어와 영어와 한글 번역은 각각 아래와 같다.

 

183    sabbapāpassa akaraa kusalassa upasampadā

        sacittapariyodapana eta buddhāna sāsana

 

183. Not to commit any sin, to do good, and to purify one's mind, that is the teaching of (all) the Awakened.

 

모든 악을 짓지 않고 선을 행하고 자기 마음을 깨끗이 한다. 이것이 불교이다.

 

 

한글이나 한문이나 영어 번역본으로는 정확하게 이 게송이 무슨 뜻인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 게송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단어인 꾸살라(kusala) 善 과 good으로 번역되고 있어 피상적으로 해석되기 쉽다. 그래서 빠알리어 문장을  번역하고 청정도론의 해석을 인용하여 설명해 보고자 한다.

 

諸惡莫作 (sabba모든+pāpassa나쁜 a부정+karaa하다.짓다: 모든 악함을 짓지 않음)

[청정도론] 계는 교법의 처음이 좋은 것이다. 무엇이 유익한 법들의 처음인가? 청정한 계다. “모든 악을 짓지 않음” 등의 말씀 때문에 계가 교법의 처음이고 후회하지 않음 등의 덕을 가져오기 때문에 좋은 것이다.

[보충설명] 청정도론에서 이 게송이 인용되는 부분은 계품에서 나타난다. , 불교를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은 가르침으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그것을 각각 정혜  설명하고 있다여기서 계의 의미는 “모든 악한 것을 짓지 않는다” 라고 명료하게 설명되는데  이러한 계의 의미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5,10계등이며 적극적인 의미에서는 십선법등이 포함될 것이다. )

 

衆善奉行 (kusalassa유익한 upa위로+sam함께+padā실천하다: 유익함을 받들어 행함)

[청정도론 ] 삼매는 중간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유익함을 받들어 행함” 등의 말씀 때문에 삼매는 교법의 중간이고 그것은 신통변화 등의 덕을 가져오기 때문에 좋은 것이다.

[보충설명] 이 문장은 모든(sabba)이 생략되었다고 보고 모든 악을(sabba+pāpassa)에서와 같이 모든(sabba)을 첨가해서 모든 善(sabba+kusalassa)로 이해해서 衆善으로 번역했다. 善으로 번역되는 꾸살라(kusala)에는  병 없음(absence of illness), 거짓 없음(blameless), 능숙함(skillful), 행복한 결과를 가져옴(result of happiness) 4가지 의미가 있다고 주석서에서는 설명한다. 밀린다 왕문경에서는 善法의 내용으로 37조도 법 전체를 설명하고 있다. 이 꾸살라(kusala)라는 단어에 법(dhamma)을 붙여 꾸살라 담마(kusala dhamma)라는 단어가 생겨나는데 이 단어는 한문으로 善法으로 번역되다가, [건전한 법], [착한 법]등으로 한글 번역되었는데 요즈음에는 [유익한 법(wholesome)]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不善法으로 번역된 아꾸살라(akusala) [해로운 법(unwholesome)]으로 번역한다일반적으로는 善法(kusala dhamma)이 삼학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고 衆善奉行을 “유익함을 받들어 행한다”라고 해석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衆善奉行에서의 善(유익함)은 청정도론의 해석처럼 [유익한 법] 중에서도 삼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알맞을 듯 하다.  

 

自淨其意 (sa자신+citta마음+pari완전히yodapana깨끗히 함: 자신의 마음을 맑히는 것)

[청정도론 해석] 통찰지는 마지막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자기 마음을 맑히는 것”이라는 말씀이 있기 때문에 또 통찰지가 그것의 정점이기 때문에 교법의 끝이고 그것은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것에 대해 평정을 유지하게 하기 때문에 좋은 것이다.

[보충설명]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계정혜 모두가 선법(kusala dhamma)에 포함 되는데 지혜는 선법(kusala dhamma)중에서도 최상의 것이기에 自淨其意를 “끝이 좋은 것” 즉, 지혜에 대응시켰다. 자신의 마음을 맑히는 것이란 일반적으로 삼매를 지칭하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완전한 청정은 통찰지로(panna) 법을 있는 그대로 통찰 할 때에 가능 한 것이다 .

 

是諸佛敎 (eta이것이 buddhāna붓다들의 sāsana가르침: 이것이 붓다들의 가르침이다)

이것은 고타마 붓다가 말한 것이 아니고 모든 붓다들의 공통된 가르침이기 때문에 복수를 써서 “붓다들의“ 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무엇이 불교라는 말인가?

이 제불통게의 내용은 계정혜로 정리 되므로 계정혜를 닦는 것이 불교라는 설명이될 것이다.

그런데 계정혜를 넓혀 말하면 8정도가 되므로 불교는 8정도를 닦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8정도의 정견은 사성제를 아는 것이라고 설명되므로 [사성제]를 수행하는 것이 불교가 되고 사성제의 고집제는 12연기의 유전문, 멸도제는 환멸문에 해당하므로 불교는 12연기라고 설명해도 될 것이다결론적으로 불교를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법구경 183번의 [제불통게]라는 법문은 [사성제] [삼학]의 다름 이름 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붓다들의 가르침은 사성제와 삼학인 것이다.

 

 
다음검색
댓글
  • 07.11.18 12:18

    첫댓글 좋은 법문입니다. 나무 불()()()()()()()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