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커피-사과 먹는 법 따로 있다… 몸의 변화는?
속 쓰림 예방 위해 식사 후 후식으로... 항산화 성분 풍부
입력 2023.08.24 14:10
김용 기자
빈 속에 카페인이 많은 커피를 자주 마시면 위 점막을 자극해 위염 등의 원인이 된다.
사과는 산의 종류인 유기산이 들어 있어 공복 상태의 위를 자극할 수 있다.
아침에 커피와 사과를 건강하게 먹는 법은 없을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침에 커피, 사과를 먹었더니 속이 쓰려 혼났다는 사람이 있다.
이 경우 공복에 먹었을 가능성이 크다.
빈 속에 카페인이 많은 커피를 자주 마시면 위 점막을 자극해 위염 등의 원인이 된다.
사과는 산의 종류인 유기산이 들어 있어 공복 상태의 위를 자극할 수 있다.
아침에 커피와 사과를 건강하게 먹는 법은 없을까?
너무나 간단한 방법… “식사 후 마무리로 드세요”
사과와 커피가 위 점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복에 먹지 않는 것이다.
공복 상태의 커피는 위염, 위궤양을 악화시킬 수 있다.
기상 직후 물을 마신 후
위 점막에 좋은 비타민 U, K가 있는 양배추, 삶은 달걀 등을 먹으면 어느 정도 위가 찬다.
견과류 등 다른 음식도 먹을 수 있다.
마무리 음식이 사과, 커피다.
다른 음식으로 위가 차서 속 쓰린 증상이 거의 없거나 완화할 수 있다.
금세 화장실에 가고 싶은데… 집 vs 회사
커피 속의 클로로겐산 등 항산화 물질이 배변 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다.
다만 개인 차가 심해 단정지을 수는 없다.
채소, 사과 등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을 먹은 후 뜨거운 커피를 마시면
금세 화장실에 가고 싶은 욕구가 생길 수 있다.
문제는 출근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이다.
출근 길에 배변 욕구가 나타나면 낭패다.
이럴 때는 커피는 회사 출근 후 동료와 함께 마실 수도 있다.
‘커피 한 잔의 여유…’ 커피는 시간을 두고 여유 있게 마시는 게 좋다.
저녁에 먹는 사과는 ‘독’?… 사실일까?
저녁에 먹는 사과는 ‘독’이라는 말이 있다.
사과의 단맛을 내는 과당이 지방으로 쌓여 살이 찐다는 속설에서 비롯된 말이다.
사과의 유기산이 위의 산도를 높여 속 쓰림을 유발하거나
위산 역류로 숙면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사과에 많은 항산화제는 열량이 높은 저녁을 먹은 후 위·식도 역류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다만 자기 직전에는 사과를 먹지 않고 저녁 식사 후에도 몇 조각 정도만 후식으로 먹는 게 좋다.
사과, 커피의 항산화 효과… 혈관병 예방, 간암 예방 효과
사과와 커피는 건강에 유익한 성분이 많다.
사과의 식이섬유(펙틴)는 혈관에 쌓이는 중성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LDL)을 내보내고
유익한 콜레스테롤(HDL)을 늘려 동맥경화,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예방에 도움이 된다. (국립농업과학원 자료).
사과의 퀘세틴 성분은 대기 오염물질과 흡연으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국가암정보센터 자료).
하루 3잔 정도의 커피는 만성 간질환이 있는 사람의 간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대한간학회 자료).
몸에 좋은 음식이라도 적당히 먹어야 한다.
과식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