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통일부의 중성선과 보호선을 동일전선으로
-> TN-C-S 접지계통
2. 가공 배전선로에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장소에서~
-> 활선 클램프
3. Y지선
4. 철탑 모양보고 종류 적기
(1) 사각철탑 (2) 방형철탑 (3) 문형철탑
(4) 우두형철탑 (5) 회전형철탑
5. 2련 내장 애자 장치
(1) 앵커쇄클 (2) 체인링크 (3) 삼각요크 (4)볼크레비스 (5)현수애자 (6)소켓크레비스 (7)압축형 인류 클램프
6. BIL, 차단기 정격전압
(1) 설명 : 기준충격절연강도로 뇌 임펄스 내전압 시험값으로서 절연레벨의 기준을 정하는데 사용된다.
(2) 차단기 정격전압 : 24(kV)
7. 애자 섬락전압 2가지
- 건조 섬락전압, 주수 섬락전압, 충격 섬락전압, 유중 섬락전압 중 2가지
8. 변류기 2차측 정격부담 임피던스 : 2 (옴)
9. 강심 알루미늄 연선의 약호와 60mm2 이하 굵기 3가지
- ACSR, 32, 58 나머지 1가지는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10. 결선도 보고 결선 맞추기, 장점2가지 단점2가지
- Y-Y결선
(1) 장점 : 1,2차측 중성점 접지가 가능해 이상전압 억제 가능,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root(3)이라서 절연에 용이하고 고전압에 유리
(2) 단점 : 제3고조파 전류의 통로가 없어 기전력의 파형이 제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중성점 접지 시 유도장해 발생
11. 계전기의 시간차 보호 : 잘 모르겠습니다.
12. 터파기량(줄기초파기) : 13.5(m3)
13. 실지수 구하기 : 1.63
14. 피뢰기의 구비 조건에서 이상 전압 침입시 신속하게 ( 방전 )하는 특성이 있어야 하고, 또한 피뢰기 동작시 단자 전압인 ( 제한전압 )을 일정 전압 이하로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15. 설페이션 현상
16. 전압강하가 6V까지일때 전선 굵기 구하기
-> 225.84(mm2) 이상 이라고 했습니다.(소수점 셋째자리 절사하고 둘째자리까지 구한다고 해서요)
17. 배선기호
(1) 천장은폐배선 (2)노출배선 (3)바닥은폐배선 (4)노출배선 중 바닥노출배선
18. 견적
1번. 전선가닥 수 구하기(접지선 포함)
(1) 5가닥 (2) 3가닥 (3) 5가닥 (4) 4가닥 (5) 3가닥
2번. 16mm, 22mm CD관 수량 구하기
(1) 45.87m(41.7+4.17)
(2) 6.6m(6+0.6)
3번. 공량 구하기
(1) 16mm CD관 : 0.05 * 0.8 * 41.7 = 1.668
(2) 스위치 : 0.085 * 4 = 0.34
(3) 콘센트 : 0.08 * (1 + 0.2 * 1) = 0.096 (?)
-> 콘센트가 2개가 한번에 1곳에 붙어있었는지 1개만 붙어 있었는지 기억이 안납니다. 의견 주십시오.
(4) 분전함 : (1.04 + 0.43 * 3) * 0.65 = 1.515
제가 적었던 답을 기준으로 복구했습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번호는 생각나는대로 적을께요.
1. TN-C-S
2. 활선 클램프
3. Y지선
4. 사각, 방형, 문형, 우두형, 회전
5. 앵커쇄클, 체인링크, 삼각요크, 볼크레비스, 현수애자, 소켓크레비스, 압축형 인류 클램프
6. 기준충격절연강도, 24kv
7. 전선굵기 225mm^2, (선정하라는 말이 없고 절사하라고 해서 선정시 240mm^2는 참고로 적고 225.xx나와서 225mm^2)
8. 천장은폐배선, 노출배선, 바닥은폐배선, 노출배선 중 바닥노출배선
9. 정격부담 임피던스 50/5^2 = 2옴
10. ACSR 32, 58, 65 (60이하 적으라 그러던데 두개밖에 몰라서 그냥 저렇게 적음)
11. Y-Y 결선
장점 : 접지시 절연저감 가능, 이상전압 침입시 건전상 전위상승 억제 가능
단점 : 제3고조파 선로에서 제거 불가, 중성극 접지선 단선시 중성극에 전압이 유기되어 선로 불평형 야기
12. 피뢰기 방전 / 제한전압
13. 설페이션 현상
처음보는 단답문제 2문제 (섬락시 전압 2가지, 계전기 시간차이 보호)는 아얘 못적어서 생각나는대로 적고
견적은 시간관계로 버려서 잘 모르겠습니다 ^^; 그냥 기분가는대로 풀었어요
저는 전선굵기 구하는 문제에서 소수점 셋째자리 버려서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니까 225.xx 이상 으로 적었습니다.
TN-C-S 접지계통이라 적으면 안되나요?
수정했습니다
14. 실지수 1.63나오고 1.38 ~ 1.75사이 1.5로 선정.
15. 터 파기 13.5 m^3
삭제된 댓글 입니다.
네 천장 노출 바닥이었어요. 예전 기출에 있어서 순서 바꿔 냈나보더라고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 1구당 20% 가산이군요. 그럼 0.192 가 답이 될거 같습니다.
콘센트의 경우 18년도 2회차에서는 다른가산이 안붙었는데.. 뭐가 맞는건지요?? 0.08×4로 되어있는데
0.08*(1+0.2*1)*2
(1+0.2*1) -> 콘센트에 1구 추가당 20% 가산(총 2구 였습니다.)
*2 -> 2개
따라서 0.192가 맞습니다. 18년도 2회차에는 1구당 20% 가산 조건이 없었죠.
제가 적은 답이랑 본문 내용이랑 비교해봤는데 판단 부탁드립니다...
견적에서 두개 틀려서 불안하네용
애매한 부분은 빨강색으로 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