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헤는 밤
윤동주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가슴속에 하나둘 겨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 마디씩 불러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佩), 경(鏡), 옥(玉)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슬리 멀 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딴은, 밤을 세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거외다.
[시인의 시 이야기]
사랑하는 어머니와 집을 떠나 머나먼 객지에서 생활하다 보면 하잘 것없는 것까지 다 그립고 보고 싶지요. 하물며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는 오죽이나 할까요. 그래서일까, 시 <별 헤는 밤>을 읽고 나면 가슴 저 밑바닥으로부터 슬픈 눈물 같은 그리움이 솟구쳐 오릅니다. 고향을 떠나 사랑하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시인의 절절한 그리움에 목이 메는 까닭이지요.
윤동주 시인은 북간도에 계시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어린 시절 함께 공부했던 친구들, 패, 경, 옥이라는 이국 소녀들, 벌써 엄마가 된 계집애들, 가난한 이웃 사람들은 물론이거니와 하다못해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까지도 그리운 것이지요. 게다가 자신이 읽었던 책을 쓴 ‘프랑시스 짐’,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같은 시인까디고 그리워 이름을 불러보는 그 심정은 얼마나 사무칠까요.
나는 어린 시절 이 시를 읽고 ‘별 하나에 추억과 / 별 하나에 사랑과 / 별 하나에 쓸쓸함과 / 별 하나에 동경과 / 별 하나에 시와 /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하며 외우던 생각이 나는군요.
‘별’이 주는 맑고 투명한 이미지는 ‘사랑, 그리움’이란 정서와 너무도 잘 어울려 이 시는 더더욱 그리움에 대한 정서를 깊이 각인시킵니다. 그런데 이 시는 그리움만을 노래하는 시가 아닙니다. 이 시는 식민지 시대를 벗어나 광복을 이뤄야 한다는 강한 의지의 시적 자아를 잘 보여주고 있지요. 시인의 바람대로 광복을 하고 대한민국은 오늘날 세계 속의 중심 국가로 우뜩 솟았지요.
윤동주 시인, 그는 가고 없지만 그가 남긴 절절한 시는 오늘 밤도 누군가의 가슴에 ‘별’이 되어 반짝이며 빛나고 있습니다.
출처 : 《위로와 평안의 시》
엮은이 : 김옥림, 펴낸이 : 임종관
김옥림 :
-시, 소설, 동화, 교양, 자기개발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집필 활동을 하는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에세이스트이다. 교육 타임스 《교육과 사색》에 〈명언으로 읽는 인생철학〉을 연재하고 있다. 시집 《나도 누군가에게 소중한 만남이고 싶다》, 《따뜻한 별 하나 갖고 싶다》, 《꽃들의 반란》, 《시가 내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소설집 《달콤한 그녀》, 장편소설 《마리》, 《사랑이 우리에게 이야기 하는 것들》, 《탁동철》, 에세이 《사랑하라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아침이 행복해지는 책》, 《가끔은 삶이 아프고 외롭게 할 때》, 《허기진 삶을 채우는 생각 한 잔》,《내 마음의 쉼표》, 《백년 후에 읽어도 좋을 잠안 315》, 《나는 당신이 참 좋습니다》, 《365일 마음산책》, 《법정의 마음의 온도》, 《법정 행복한 삶》, 《지금부터 내 인생을 살기로 했다》, 《멋지게 나이 들기로 마음먹었다면》, 《인생의 고난 앞에 흔들리는 당신에게》, 《마음에 새기는 명품 명언》, 《힘들 땐 잠깐 쉬었다 가도 괜찮아》, 《법정 시로 태어나다》, 《이건희 담대한 명언》 외 다수가 있다. 시세계 신인상(1993), 치악예술상(1995), 아동문예문학상(2001), 새벗문학상(2010), 순리문학상(2012)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