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원, 이상, 정인택
명랑과 우울이 교차했던 1935년 경성,
일상적인 그래서 감동적인 당대 젊은 예술가들의 이야기<깃븐우리절믄날>
*할인TIP*
1. 중,고생 전석 30%할인
정가 25,000원>>17,500원 11월 25일(화)~12월 31일(수)
2. 두산아트센터 회원 15,000원
+ 두산아트센터 창작자 육성 프로그램 ③ 깃븐우리 절믄날
두산아트센터 ‘창작자육성 프로그램’은 재능있는 젊은 아티스트를 발굴 및 지원하는 사업으로
두산아트센터가 선정한 세 번째 작품은 성기웅의 「깃븐우리절믄날」.
+ 공연소개
1930년대 경성, 젊은 예술가들의 교우와 연애.
옛 서울말을 바탕으로, ‘말 맛’을 잘 살린 연극.
이상의 두 번째 여인 권영희를 둘러싼 삼각 혹은 사각관계, 그리고 연애의 진실.
모던 보이, 모던걸의 가장 큰 화두였던 연애와 결혼
소설가 구보 박태원과 시인 이상은
무수한 이야깃거리를 남긴 ‘문제적 단짝’이다.
풋내기 소설가 구보 박태원과 시인 이상, 그들의 친구 정인택. 그리고 카페 여급 권영희 등장.
세 남자와 한 여자 사이에서 벌어졌던 실제 연애사건을 바탕으로
그들의 복잡했던 내면 세계와 그 시대 경성을 그린다.
+ 작,연출 - 성기웅
섬세한 시선, 따뜻한 마음, 세련된 일상
성기웅의 새로운 도약, 현상에서 내면으로 집중하다.
1930년대를 바탕으로 한 이전 작품 <조선형사 홍윤식><소설가 구보씨와 경성사람들>과 달리
<깃븐우리절믄날>에선 성기웅의 치밀하고 꼼꼼한 그러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급변하는 현실 상황에서 고뇌하던 젊은 예술가들의 내면에 초점을 맞춰 유머러스하고 따스하게 표현했다.
+ 배우 소개
“늘 상 2등만 허는 2등 인생이니까.” - 정인택 대사 중
손진호 – 정인택 역
[번듯한 직장, 명석한 두뇌 등 갖출 건 다 갖추었으면서도 문학적인 재능은 뛰어나지 못해 기가 죽는 2등 인생]
경력 | 연극 <오늘의책은 어디로 사라졌을까?><유령을 기다리며><아주 이상한 기차> <팔도 모창 가수왕>
<서바이벌 캘린더><사천의 착한 사람><오래된 약속><풍선 교향곡><둥그대당실 여도당실>
<저 별이 위험하다>
“조선 일등이 세계 일등이라… 문학두 그렇게만 된다면야.” - 박태원 대사 중
김종태 – 박태원 역
[1935년 조선 문단의 최고 기대주로 각광받는 소설가.
너그럽고 공정하며 좀처럼 화를 내지 않지만, 늘 점잖고 반듯한 그에게도 비밀은 있다. ]
경력 |연극 <헤카베><줄리에게 박수를><과학하는 마음 - 발칸동물원><삼등병><변>
영화 <양아치어조><뚝방전설>
“그릏담 선생님 소설 속엔 선생님의 어떤 비밀이 들어있는 걸까요?”
– 권영희 대사 중
주인영 – 권영희 역
[세 남자의 사랑을 받는 1935년 모던걸.
카페 여급이면서도 문학적 소양과 식견은 왠만한 남자 작가들을 능가한다.]
경력|연극 <기생비생춘향전><길위의 가족><유령소나타><호텔피닉스에서잠들고싶다> <그때각각>
<선착장에서><서쪽부두><맨드라미><경숙이 경숙이아버지><내동생의머리를누가깎았나>
<야키니쿠드레곤><아오모리의비>
수상 | 히서-신인상, 동아연기-신인상
“자넨 바루 그게 문젤세. 저 권태로운 생(生)으로부터 무엔가 얘깃거릴 건져보겠단 그 태도”
- 이상 대사 중
전병욱 – 이상 역
[사람과 때와 경우에 따라 마치 카멜레온과 같이 변하는 기묘한 남자.
하지만 결코 미워할 수 없는, 혹은 밉지만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악동]
경력 | 무 용 <얼음강>
연 극 <마당을나온 암탉-초록머리><작은 새-프랭키><벚꽃동산><칠수와 만수><클로져>
<썸걸즈><쉐이프>
뮤지컬 <지하철1호선><행진!와이키키브라더스><찰리브라운><오!당신이잠든사이><김종욱찾기>
<싱글즈><알러뷰비코즈>
수상 | 2007년 더 뮤지컬 어워즈 남우조연상
“아니 그래, 이 시간에 차들 잡수러 오셨에요?”- 수영이 대사 중
서미영 – 수영이 역 外
*수영 이 역 外 - 미쓰코시 백화점 옥상정원 다실의 여종업원/ 다방 제비에서 일하는 아이 수영이/
매일신보사 사환아이
경력 | 연극 <알리바바의 밤><당신이야기><과학하는 마음-발칸동물원 편><달라이야기><물의 노래>
<과학하는 마음1-진화하는 오후 편> <과학하는 마음 3-발칸동물원 편>
<과학하는 마음 2–북방한계선의 원숭이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