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
1. 남해양아리석각 (1) 소개 (2) 조사연구의 동기와 성좌도 확인 |
|
2. 남해양아리석각의 이해 (1) 부분 이해 (2) 각자(刻字) 이해 (3) 전체 이해 1) 석각 부분의 계절별 별자리 보기 2) 가을하늘의 별자리를 도해한 남해양아리석각 3) 별자리의 운행 4) 우리나라에서 잘 볼 수 있는 가을하늘의 별자리 |
|
3.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1) 개관(국보 제228호) (2) 석각부분의 위치 이해 (3) 삼원 28수 (4) 도해 부분의 위치 이해 (5) 하늘 가운데 오는 절후별 24성수 (6) 석각 관련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좌명 |
|
4. 답사의 실제 (1) 답사 이미지 (2) 연구 관련 이미지(학설, 주장, 의견) (3) 좌표(座標) - 패철(佩鐵 : 나침반) 실사(實査) |
|
5. 관련 학설 소개 및 반증 (1) 고대 문화설 (2) 선사시대 각석설 (3) 서불도래설 (4) 수렵선각설 (5) 기타 |
|
6. 성격 (1) 역사성 (2) 사실성 (3) 문학성 (4) 인지성 (5) 유관성 1) 벽련마을 양지암각 2) 덕곡리 지석묘 3) 신흥리 화전바위 4) 송림리 구멍바위 유적 5) 여러 암각의 성혈 선각(線刻) 이미지 |
|
7. 확인 과정 |
|
8. 연구의 성과 |
|
9. 맺음말 |
|
10. 제언 |
|
11. 참고 자료 및 문헌 |
|
1. 남해양아리석각
(1) 소개
경남 남해 상주 양아마을에서 상주해수욕장으로 가는 도로 중간쯤에 금산을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 이 등산로를 따라 걸어서 25분쯤 산 중턱쯤에 이르면 길 오른쪽에 비교적 넓고 평평한 자연암의 거북바위를 만나게 된다. 이 바위 위쪽 경사면에는 문자인지 그림인지 이해나 해독을 하지 못한 남해양아리석각이 있다.
남해양아리석각 ■지정번호 : 도기념물 제6호 ■지정일자 : 1974. 2. 16. ■소 재 지 :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산4~3번지 ■규 모 : 자연암 1기(음각) ■부 속 물 : 안내판, 스텐보호담, 주면도보 조경 및 목조계단 ■관 리 자 : 남해군 |
|
문헌으로
◯ 환단고기 태백일사(이맥 1520년경)편 선도경전 본훈 제5(李陌 太白逸史 鮮塗經典 本訓 第五) : ‘남해현 낭하리 계곡 바위 위에 신시의 고각(古刻)이 있다. 이는 환웅천황께서 사냥나왔다가 제를 삼신께 드리다’라는 기록이 있다.
◯ 조선금석총람 상 조선총독부(朝鮮金石總覽上朝鮮總督府 1919) : ‘남해전서불제명석각(南海傳徐 巿題名石刻). 소재지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양하리(所在地 慶尙南道 南海郡 二東面 良河里) 라 소개하고 암각문 탁본과 지면(地面)의 암석에 종 1척 5촌, 횡 3척 2촌 크기로 새김’의 설명 이 있다.
◯ 국어대사전(일중당) : 이 석각은 경남 남해군 이동면 양하리의 바위에 새긴 50cm, 1m 정도의 글자로, 전설에 의하면 진시황 때 서불이 이를 새긴 것이라 하는데 중국 학자 중에는 ‘서불기 배일출(徐巿起拜日出)’의 여섯 글자라 주장하는 사람이 있지만 정인보는 훈민정음 이전의 한 국 고대 문자로 추측하여 ‘사냥을 하러 이곳에 물을 건너와 기를 꽂다’로 해독했다.
◯ 후인들은 해독하지 못한 이 암각을 여러 형태로 분석하고 있다.
이청기 - 거란족문자설
정인보 - 선사시대각석설
데스판데 - 수렵선각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선사석각화설
최남선 - 고대문자설
하추도·오경석·오세창·서복회 - 서불과차설
기타 - 화상문자, 그림문자, 새모양 선화, 추상 선각, 귀인 사냥터 등이 있다.
(2) 조사 연구의 동기와 성좌도 확인
고대문자에 관심이 있는 본 문화재 조사연구자(조세원. 교직 38년. 2007년 8월 퇴직. 남해군 이동면 출신)는 남해양아리석각(일명 남해각자, 남해각석, 상주석각, 상주리석각, 남해양아리석각, 신시고각, 서불과차, 남해전서불제명석각 등)과 연계, 여러 해 동안 제 학설, 주장, 의견에 기초하여 연구에 고심했다. 그러나 남해양아리석각이 고대의 어떤 문자 또는 제 학설과 관련이 없음은 2010년 8월 별자리그림[성좌도, 천문도]의 이해에서이다.
즉 가을하늘의 별자리를 접하자, 이는 북극성을 축으로 구도와 위치, 배열과 크기 및 천체의 자오선과 암각의 경사면 방향이 정확하게 천문도의 약 ¼(◔)에 해당하는 별자리그림이었고 암각 페가수스별자리의 위쪽에 눈에 잘 띄지않는 각자(刻字)가 있었던 것이다.
남해양아리석각
남해양아리석각의 성좌형 남해양아리석각의 필사(筆寫)
[보기]
① ․古旨 十月十日 十月十八日 吉辰(고지 시월 십일 시월 십팔일 길신) : 하늘을 뜻하며 10월
10일부터 10월 18일의 별자리 관측이 가장 좋은 시기다.
․金玟䧄公圖 崔金○石匠手(김민각공도 최금○석장수) : 김민각 공 그리고, 최금○ 석장수 새
기다.
② 吉 十月十日 十月 左(길 시월십일 십월 좌) : 10월 10일 10월의 별자리 관측이 좋음. 왼쪽에
다시 새김(각석의 위치를 잘못 잡았거나 석질 관계로 왼쪽에 다시 새김의 의미)
③ P : 페르세우스자리(Perseus) ④ P : 페가수스자리(Pegasus)
⑤ A : 안드로메다자리(Andromeda) ⑥ E : 조랑말자리(Equuleus)
⑦ N : 북쪽 - Po : 북극성(Polaris) ⑧ ⊥ : 천체좌표, 지평좌표
⑨ 天 : 하늘
※ 위 보기 외 여러 표시나 각자가 있으나 긴 세월 풍우에 의한 마멸로 육안 식별 및 판독이
어려움
|
|
양아리석각에서 살핀 성혈 |
천상열차분야지도(1396년) |
|
|
현대 성좌도 |
천상열차분야지도 |
2. 남해양아리석각의 이해
(1) 부분 이해
구분 |
사진(석각부분) |
별자리 |
별자리 도해 |
중심 별자리(성수) |
1 |
- 페르세우스 중심(20) - 기린 오른발(1) | |||
2 |
- 페르세우스 꼭지(2) - 카시오페아(2) | |||
3 |
- 양자리(2) - 삼각형(3) - 삼각형(3) - 주변(1) | |||
4 |
- 물고기(4) - 안드로메다(2)
| |||
5 |
- 독수리(7) - 염소(1) - 뱀꼬리(1)
| |||
6 |
- 페가수스(15) | |||
7 |
- 안드로메다(8) |
8 |
|
- 도마뱀(8)
|
9 |
- 케페우스(6) | |
10 | ||
- 백조(14) | ||
11 |
- 조랑말(4) | |
12 | ||
- 고래(3) | ||
13 | ||
- 작은곰자리(6) | ||
14 |
- 좌표(방위표시) | |
15 |
- 총 113 성수
| |
16 |
- 가로 25cm 세로55cm
- 각자(刻字) 이해 참조 |
(2) 각자(刻字) 이해
주(註) 1. 古旨 十月十日 十月十八日 吉辰 (고지 시월 십일 시월 십팔일 길신)
- 해석 : 하늘을 뜻하며 10월 10일부터 10월 18일의 별자리 관측이 가장
좋은 시기다.
2. ○○○公圖 ○○○石匠手(○○○공도 ○○○석장수)
- 해석 : ○○○공 그리고, ○○○석장수 새기다.
3. 마멸이 심해 인명(人名) 판독이 어려움.
<보충>
(3) 전체 이해
1) 석각 부분의 계절별 별자리 보기
봄 |
북서쪽 멀리 안드로메다자리를 중심으로 케페우스자리, 물고기자리가 보임 | ||
여름 |
북동쪽 멀리 안드로메다자리 부분인 도마뱀자리, 케페우스자리, 카시오페아자리가 보임 | ||
가을 (본고) |
북극성을 축으로 페르세우스자리, 양자리, 삼각형자리, 가을대사각형, 안드로메다자리, 물고기자리, 도마뱀자리, 페가수스자리, 케페우스자리, 조랑말자리, 독수리자리, 백조자리에 이르는 가을하늘의 일면 | ||
가을 성좌도 |
중요 성좌도 |
남해양아리석각의 부분 (흰색 성좌도) | |
겨울 |
하늘 중앙에 페르세우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가 위치하며 별의 밝기와 모습이 난해함 |
2) 가을하늘의 별자리를 도해한 남해양아리석각
10월 1일의 별자리 ※ 매년 10월 중순 석각과 일치하는 선명한 별자리를 볼 수 있다. |
3) 별자리의 운행
* 대체로 우리의 관측이 가능한 0°~6° 밝기의 항성과 행성의 공간은 사방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 하늘에서 동서의 적도가 360°라면 남북도 마찬가지다.
* 은하의 궤도는 태양과 달리 지구에서 보아 봄과 가을에 가장 높은 정점이 된다.
4) 우리나라에서 잘 볼 수 있는 가을하늘의 별자리
(보기)
삼각형자리 |
물고기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
페가수스자리 |
조랑말자리 |
고래자리 |
케페우스자리 |
카시오피아자리 |
염소자리 |
기린자리 |
양자리 |
물병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
|
1 |
Triangulum |
북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이다. 적경 2h 00m, 적위 +32˚에 위치한다. 밝은 별은 없으나, 눈에 잘 띄는 편이다. |
2 |
Pisces |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 적경 0h 20m, 적위 +10˚에 위치한다. 서쪽과 북쪽으로 두 물고기가 줄로 이어진 모습이다. 적도 좌표의 원점인 춘분점이 근처에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아들인 에로스의 변신으로 전해진다. |
3 |
Perseus |
적경 3h 20m, 적위 42°에 위치하는 별자리로 천구의 북극에 가까이 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영웅 페르세우스에서 유래한다. 흰색의 β별은 2.9일 주기의 변광성인데, 별은 불변한다고 믿은 옛사람들은 이 별에 알골(Algol)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별자리에서 괴물 메두사의 머리에 해당한다. |
4 |
페가수스자리 Pegasus |
북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 적경 22h 30m, 적위 17°에 위치한다. 별자리의 몸체에 해당하는 커다란 정사각형이 있는데, 가을철 별자리를 찾는 기준이 된다. 페가수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날개 달린 말이다. |
5 |
Equuleus |
남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로 돌고래자리 동쪽 부근 페가수스자리의 서남쪽에 있다. 가장 밝은 α별이 4.1등으로 밝은 별은 적고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
6 |
고래자리 Cetus |
남쪽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에서 고래 모양이며 바다 괴물로 등장한다. 미라란 이름의 최초의 변광성이 1596년에 발견되었다. |
7 |
케페우스자리 Cepheus |
천구의 북극 근처에 보이는 별자리이다. 적경 22h 0m, 적위 +70˚에 위치한다. 5개의 밝은 별이 비뚤어진 5각형을 이룬다. 그리스 신화의 에티오피아왕 세페우스의 이름을 따왔다. 한국에서는 1년 내내 보이는 주극성 별자리이다. |
8 |
카시오페아자리 Cassiopea |
천구 북극 근처의 은하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로 적경 1h 00m, 적위 60˚에 위치한다. 밝은 별들이 ‘W’모양으로 되어 북극성을 찾을 때 이용하는 별자리로 유명하다. 그리스 신화의 에티오피아의 왕비에서 따온 이름이다. |
9 |
Capricoronus |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황도십이궁의 제10의 별자리이다. 옛 성도에서는 상반신은 염소의 머리이며, 하반신은 물고기 모양이다. |
10 |
Camelopardus |
천구 북극에 가까워 북반구에서는 거의 1년 내내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넓은 범위를 차지하나 밝은 별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
11 |
Aries |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삼각형, 물고기, 페르세우스, 황소 등의 별자리에 둘러싸여 있다. 2000년 전에는 이 별자리에 춘분점이 있어서 봄을 알리는 별자리로 태양이 이 별자리에 들어가면 여러 가지 행사가 벌어졌다. |
12 |
Aquarius |
남쪽 하늘에서 보이는 별자리로 적경 22h 20m, 적위 -13˚에 위치한다. 넓은 면적을 차지하나 밝은 별은 없다. 동양의 28수(宿) 중 3수가 이 근처에 있으며, 고대 농업 국가였던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에서는 물의 상징으로 여기며 중요시했다. 그리스신화에서는 제우스의 시동 가니메데스가 메고 있는 병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
13 |
안드로메다자리 Andromeda |
초저녁 동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이다. α별은 페가수스자리의 3개의 밝은 별과 함께 페가수스의 사각형을 이루며 β별 북쪽의 4등성 ‘ν’의 근처에 육안으로 희미하게 안드로메다은하가 보인다. |
3.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1) 개관(국보 제228호)
|
조선 태조 4년 12월(1395년. 서기 1396년 1월 태조 5년)에 제작된 이 석각천문도는 중국 남송의 ‘순우천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지금은 표면이 심하게 깎여나가 알아보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고구려 천문도의 원형을 짐작케 하는 귀중한 유물로 고구려의 천문비석의 탁본을 기초로 하여 만들었다. 고구려의 천문비석은 고려시대 병란으로 인해 평양의 대동강에 가라앉았다고 한다. 고구려의 천문도를 표본으로 삼아 그 오차를 고쳐 완성하였는데, 두 부분으로 나누어 내용을 배치하고 있다. 윗부분에는 짧은 설명과 함께 별자리그림이 새겨져 있고, 아랫부분에는 천문도의 이름, 작성 배경과 과정, 만든 사람의 이름 및 만든 시기가 적혀 있다. 별자리그림에는 중심에 북극을 두고 태양이 지나는 길인 황도(黃道)와 남북극 가운데로 적도(赤道)를 나타내었다. 또한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별들이 총망라되어, 황도 부근의 하늘을 12등분한 후 1,464개의 별들을 점으로 표시하였다. 이 그림을 통해 해, 달, 5행성(수성, 금성, 토성, 화성, 목성)의 움직임을 알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절기를 구분할 수 있다. |
(2) 석각 부분의 위치 이해
| ||
남해양아리석각 |
하늘 가운데 오는 24성수 |
천상열차분야지도 |
(3) 삼원 28수
- 동방(청룡) : 각수(角宿) 항수(亢宿) 저수(氐宿) 방수(房宿) 심수(心宿) 미수(尾宿) 기수(箕宿)
- 북방(현무) : 두수(斗宿) 우수(牛宿) 여수(女宿) 허수(虛宿) 위수(胃宿) 실수(室宿) 벽수(壁宿)
- 서방(백호) : 규수(奎宿) 누수(婁宿) 위수(胃宿) 묘수(昴宿) 필수(畢宿) 자수(觜宿) 삼수(參宿)
- 남방(주작) : 정수(井宿) 귀수(鬼宿) 유수(柳宿) 성수(星宿) 장수(張宿) 익수(翼宿) 진수(軫宿)
(4) 도해 부분의 위치 이해
|
이 천문도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이에 관련된 지식은 현재의 지식보다 그 당시 사람들이 이해하고 인식했던 지식이어야 하겠다. 조선 초기에 다시 측정되고 복각되긴 했어도 거극도, 주천도수, 천문도의 위치는 과거의 흔적을 그대로 담고 있다. 또한 황도와 북극의 위치가 불완전하여 수거성이 잘 못 표시되기도 했고, 실제의 별의 위치와 크기에 오차도 있다. 따라서 남해양아리석각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비교 도해는 그 오차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부분 확대도
(5) 하늘 가운데 오는 절후별 24성수
봄 |
|
입춘 |
우수 |
경칩 |
춘분 |
청병 |
곡우 |
저녁 |
위수(胃宿) |
필수(畢宿) |
삼수(參宿) |
정수(井宿) |
정수(井宿) |
성수(星宿) | |
새벽 |
저수(氐宿) |
심수(心宿) |
미수(尾宿) |
미수(尾宿) |
기수(箕宿) |
두수(斗宿) | |
여름 |
|
입하 |
소만 |
망종 |
하지 |
소서 |
대서 |
저녁 |
장수(張宿) |
익수(翼宿) |
진수(軫宿) |
항수(亢宿) |
저수(氐宿) |
방수(房宿) | |
새벽 |
두수(斗宿) |
우수(牛宿) |
여수(女宿) |
위수(胃宿) |
실수(室宿) |
벽수(壁宿) | |
가을 (본고) |
|
입추 |
처서 |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
저녁 |
미수(尾宿) |
미수(尾宿) |
기수(箕宿) |
두수(斗宿) |
두수(斗宿) |
두수(斗宿) | |
새벽 |
규수(奎宿) |
위수(危宿) |
묘수(昴宿) |
삼수(參宿) |
정수(井宿) |
정수(井宿) | |
겨울 |
|
입동 |
소설 |
대설 |
동지 |
소한 |
대한 |
저녁 |
여수(女宿) |
허수(虛宿) |
위수(胃宿) |
실수(室宿) |
벽수(壁宿) |
규수(奎宿) | |
새벽 |
성수(星宿) |
장수(張宿) |
익수(翼宿) |
진수(軫宿) |
항수(亢宿) |
정수(井宿) |
(6) 석각 관련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좌명
한글명(한자명) : 소속 28숙, 서양 성좌, 서양별, 의미
구(鉤) : 위수(危宿). 케페우스. 낫. 끝이 구부러진 열쇄
군남문(軍南門) : 규수(奎宿). 군대가 드나드는 남쪽 문. 안드로메다(φ And)
규(奎) : 규수(奎宿)와 같음. 안드로메다의 일부(η, ζ And, 65 Psc, ε, δ, π, ν, μ, β And, 78, τ, 91, υ, φ, χ, ψ1 Psc). 임금이 쓴 글, 하늘의 무기고
등사(謄蛇) : 실수(室宿). 케페우스, 도마뱀, 카시오페아, 백조, 안드로메다(α, 4 Lac ,π2, π1 Cyg, -, -, 13 ,ε Cep, β Lac, σ, ρ, τCas, 8926, 9 Lac, 3, 7, 8, λ, ψ, κ, ιAnd). 하늘의 뱀
내저(內杵) : 위수(危宿). 제단
북신(北辰) : 북극성(北極星). 작은곰자리. 세페이드형(Cepheid型). 변광성(變光星)
사비(司非) : 허수(虛宿). 조랑말(γ, δ Equ). 옳고 그름을 가리는 하늘의 사람
사위(司危) : 허수(虛宿). 조랑말(β, 9 Equ). 안위(安危)와 화복(禍福)을 맡는 하늘의 사람
여석(礪石) : 묘수(昴宿). 황소(ψ, 44, χ, φ Tau). 숫돌
오좌(五座) : 자미원(紫微垣). 기린, 오제내좌(五帝內座), 케페우스 (881, 47 Cas, 774, 961, 1230). 다섯 임금이 자미궁에 행차하여 앉는 자리
왕량(王良) : 古代의 28수(宿)의 규수(奎宿). 카시오페아(β, κ, η, α, λ Cas). 전국의 명마부(名馬
夫)
이궁(離宮) : 실수(室宿). 페가수스(λ, μ, 43, η, τ, υ Peg). 임금의 별장
우기(右旗) : 우수(牛宿). 독수리(μ, σ, δ, ν, ι Aq l, -, 42, κ, 56 Aql). 장군의 오른쪽 깃발
제왕(諸王) : 필수(畢宿). 황소(136, 125, 118, 103, 99, τ Tau). 하늘의 여섯 왕
조부(造父) : 위수(危宿). 케페우스의 일부임(δ, ζ, λμ, ν Cep). 마부
좌기(左旗) : 우수(牛宿). 여우. 백조. 장군의 왼쪽 깃발. 화살(α, β, δ, ζ, γ, 13, 11, 7664, ρ Sge), 독수리
주(柱) : 필수(畢宿). 마차부(ε, ζ, η, υ, ν, τ, χ, 26, Aur, -). 기둥
천구(天鉤) : 위수(危宿). 케페우스(4, 7805, θ, η, α, ξ,26, ι, ο Cep). 임금의 수레를 잠그는 문고 리
천도(天道) : 옥황상제가 다니는 길. 중생 윤회의 길 천상 세계. 육욕천, 색계천, 무색계천
천선(天船) : 위수(胃宿). 페르세우스(η, γ, α, ψ, δ, 48, μ Per, 1330, 1314). 하늘의 배
천장군(天將軍) : 누수(屢宿). 안드로메다. 천대장군(天大將軍)의 약칭
천진(天津) : 녀수(女宿). 백조(γ, δα, ν, τ, υ, ζ, ε Cyg). 하늘의 나루터
천참(天讒) : 묘수(昴宿). 페르세우스(42 Per). 무당과 의사의 별
하고(河鼓) : 우수(牛宿)(α, β, γ Aql). 독수리. 하늘의 북
4. 답사의 실제
(1) 답사 이미지
(2) 연구 관련 이미지(학설, 주장, 의견)
(보기)
朝鮮金石總覽(1919년) 및 문화재청 |
탁본 |
군 자료-禮日東昇 |
여증동:가림토 중기글자 정도화(탁본 소장) |
최형식의 서화동원(2009년 12월) |
신지녹도전자 |
허대동 -녹도문, 가림토문 | |
桓雄出獵致祭三神 |
탁본 - 동판 |
온돌 - |
원광대학 미술관 -서불기례일출 |
유민원 미술전(2003년) |
인도 데스판데 -수렵선각 |
정인보-고대각석 |
중국 유펑쥔 -농경, 골각문) |
서복전시관(2003.10.26.) |
정방폭포(2010.03. .) |
숨겨진 제주의 역사 (2007,10,08.) |
오세창 임서 |
상주해수욕장입구 |
남해유배문학관 경내(남해읍 남변리 555) |
- 남해읍 중심가 |
※ 석각의 전모를 살피지 못한 위 탁본, 조형판각, 작품 등은 누락 부분이 많고 하나같이
정교하거나 자세하지 못하다.
|
상주리 석각(徐市過此) 상주면 두모마을 금산 계곡에 있는 상주리 석각은 ‘서불가차’로 불린다. 천하를 통일한 중국 진시황이 삼신산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시종 서복을 불러 동남동녀 5백 명을 함께 보내며 불로초를 구해오라고시켰다. 불로초를 구하지 못한 서복은 금산에서 사냥을 즐기다가 떠나면서 바위에 글을 새기고 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이 문자는 고대 역사를 밝히는데 귀중한 실마리가 될지도 모르는 중요한 유적이다. ‘서불과차’라는 주장 외에도 ‘우리나라 고대문자’라고 하는 사람, ‘고대거란족의 문자’라고 하는 사람, ‘훈민정음 이전의 한국 고대문자’라는 사람, ‘산스크리트 계통의 글자’라고 주장하는 사람, ‘귀인의 사냥터’라는 그림 표지라고 주장하는 사람 등등 아주 많은 학설이 있지만, 아직까지 정답은 알 수 없다. |
전설[fiction]에서 비롯된 남해 상주 일원의 서불과차 현주소 ◆ 관리번호 제1번 : 상주면 양아리 84~1번지(백련다리 봉산언저리-바닥가로부터 약 30미터. 상륙지로 알려짐 -추상) ◆ 관리번호 제2번 : 백련리 105~5번지 입구도로변(묘소 옆) ◆ 관리번호 제3호 : 상주면 양아리 151번지(양아 두모고개, 도로변의 거북등 그림으로 암각화 ◆ 관리번호 제4호 : 상주면 양아리 산18-3번지 ◆ 관리번호 제5호 : 상주면 상주리 180번지 ◆ 관리번호 제6호 : 양아리 산 4-3번지(도지정문화재 등록 1974,02.16.) |
이하 ---------- 남해양아리석각 성좌도 확실 (2부) 참조
|
첫댓글 와아`` 수고하셨어요. 그리고 , 합니다.
----- 良阿刻秋星圖解 ********* 2010.08.09.
南海錦山良阿刻(남해금산구암각) 남해의 금산 양아마을 암각에
諸賢異說數多芬(제현이설수다분) 현인들 이설이 수없이 분분하네.
吾等其何怨咎歎(오등기하원구탄) 어느 한 가지도 원망과 탄식이라,
晩秋星座看仰天(만추성좌간앙천) 만추의 별자리에 하늘을 우러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