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는 잘못이 없다
부처님 가르침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첫 번째로 공부해야 될 것은, 과거로부터 가져 온 죄의식이라는 것이 모두 환상이라는 것을 깨닫는 일입니다. 이게 바로 진정한 참회, 이참회입니다. 진참회는 어디서 나오냐 하면, 죄라는 것이 본래 없다라는 것을 자각하는 데서 옵니다. 스스로 죄의식을 느끼는 사람에게만 그 죄의식은 작동을 하는 겁니다.
즉 내가 “나는 이런 죄를 지었기 때문에 나는 이러한 벌을 받을 거야. 이러한 벌을 받아야지 나는 마땅해.”라고 믿는 사람에게는 스스로가 그 죄의식을 믿기 때문에 과보가 오는 겁니다. 자기 자신이 악업의 과보를 끌어당긴 것이지요. 그러나 악업의 과보라고 해서 기계적으로 반드시 받아야 되는 것이 아닙니다.
불교는요, 숙명론을 거부하는 종교죠. 부처님께서 외도들이 육사외도라고 얘기할 때 그 중에 하나가 숙명론이었어요. 그 숙명론은 이 불교의 인연법과 뭐가 다르냐하면 숙명론은요, 죄를 지었으면 숙명적으로 죄를 지은 사람은 절대적으로 죄를 받아야지만 됩니다. 죄를 받지 않으면 끝나지를 않는 것이 숙명론이에요. 불교는 기계론적인 숙명론이 아닙니다. 죄를 지었으면 반드시 지옥가야 된다고 한다면 그건 불교가 아니에요.
부처님께서는 소금물에 비유를 드셨는데요, 악업을 지었을 때 악업을 반드시 받아야 되는 건 아니라는 것입니다. 컵에 있는 소금물을 먹어야 된다면, 이 소금물이 죄업이라고 한다면 소금물을 이대로 다 먹으면 너무 짜게 먹어야 되겠죠? 그러나 먹긴 먹어야 됩니다. 그러나 반드시 짜게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릇을 키우게 됐을 때 이 큰 그릇에다가 그 소금을 그대로 넣고 물을 잔뜩 채워가지고 목마를 때마다 물을 마시면 결국에는 소금물은 다 먹을 수 있겠지만 목마를 때 마시니까 기쁘게 소금물을 먹을 수도 있는 겁니다.
여기서 소금물이 죄업을 의미하는데요, 지은 죄업은 받드시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꼭 짜게만, 즉 괴롭게만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죄업을 지었더라도 자신의 그릇을 키우고, 지혜를 키우게 된다면 소금물의 비유처럼 오히려 소금물을 먹더라도 괴롭지 않게 먹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기계론적인 운명론 숙명론과 불교의 연기법이 다른 점입니다.
이 말은 우리가 지은 죄의 업장이나 죄의식을 지금 이 자리에서 종결짓고 넘어가야 된단 말입니다. 계속 미래로 질질 끌고갈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불법을 공부하려는 사람이라면 지금까지 자신이 짊어지고 온 과거의 무거운 짐들, 죄의식, 혹은 과거에 잘못했다고 여기면서 그 때로 돌아가면 두 번 다시 그런 선택은 하지 않을꺼라고 후회하고 있던 그 모든 과거에 대한 생각과 판단들을 내려놓는 작업부터 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내가 살아 온 모든 삶은 그 때의 의식 수준에서는 그것이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지난 과거를 바꾸려고 할 필요는 없어요. 그 선택을 했기 때문에 후회도 하고, 다시는 그러지 않겠노라는 다짐도 하면서 지금 이렇게 나아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저 남편만 만나지 않았더라도 내 인생이 폈을 텐데라고 생각하겠지만, 그것은 내 삶이 아닙니다. 그 때 정확히 내가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났던 것임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지요. 여러분의 지난 과거는 단 한 순간도 잘못된 것이 없습니다. 그 모든 것이 아름다운 결정이었고, 그 실수가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통해 배우고 나아진 지금의 내가 있을 수 있었던 것이지요.
이처럼 과거의 모든 죄의식에서부터, 자신이 행했던 모든 일들, 결정, 판단들 그 모두를 인정하고 받아들인 채 내려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깨끗하게 비워진 내면의 화선지에 새롭게 아름다운 삶을 그려 넣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첫댓글 스님의 말씀에 큰 힘을 얻었습니다. 나무아미타불!
죄라는 것은 본래 없다
단 한 순간도 잘못된 것이 없다
모든 것이 아름다운 결정이었다
실수를 통해 배워서 나아진 지금의 내가 있다
감사합니다_()_
내가 살아온 모든 삶은 그때로선 최선이였다...
과거의 모든걸 받아들이고 내려놓을 수 있기를 소망하면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_()_
스님들의 정신세계
와
범부중생의 정신세계는
확
실히 다른거 같습니다 ^^
잠시 머무는 동안 , [수행자의 24시]가 살~짝 궁금해지는 시간되었습니다 ^^ 고맙습니다 _()_
실수가 있었기때문에 그것을 통해 지금의 내가 더 나아진다면 아름다운 삶이 되겠지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오늘은 직접 스님의 목소리를 못듣고 이렇게 글로 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과거는 잘못이 없다."는 법문 제목이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과거를 생각하면 후회되는 순간들이 있지만
다시 그때로 돌아간다고해도 그때의 의식으로는
똑같은 결정을 하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은 인연따라 일어날 일이 일어났기에
모두 내려놓습니다.
허망한 생각을 너무 오래 붙잡고 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