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 훗날 나이가 들어 현업에서 물러나면
한적한 시골 어드메쯤에 조그만 집을 짓고 손수 작은 농사를 지으면서 살고 싶습니다.
원래부터 시골 출신인 데다가 농삿일, 산일, 주택 보수나 각종 장비 수리등에 그닥 문외한은 아니기에 그리 큰 문제는 없지 싶습니다.
또한 태생적으로 좀 바지런하거니와 이런 저런 일들을 하면서 미더운 땀을 흘리기에도 성격적으로 전혀 주저함이 없으니
시골살이에 전문가는 아닐지라도 또한 왕초보자는 아닌 까닭에 그런대로 잘 적응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시골살이가 시작된다면 작은 살림집 옆에 아주 조그만 각종 기구창고를 가장 먼저 지어 그곳에 시골생활에 꼭 필요한 각종 공구나 농기구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두려합니다.
아주 전문적인 영역을 제외하고는, 하나부터 열까지 손수 제 손으로 두드리고, 만지고, 닦고, 수리하고, 조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철저한 분업화에 익숙했던 도회지의 삶에서 벗어나면 통합과 통섭, 솔선이란 삶의 방식이 시골살이의 필요조건이겠지요.
그래서 틈나는대로 노트에 필요한 것들을 적어두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 당장 이런 물건들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미래를 생각하며 마음속으로 아주 작은 창고를 디자인하며, 그 안의 레이아웃을 잡아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듯합니다.
그동안 메모해 두었던 내용을 들춰보니 두서 없는 낱말들이 제법 빼곡하네요.
운반카, 분사기, 각종 테이프, 곡괭이, 접이식5단 사다리, 끌, 조줄과 평줄(야쓰리), 부삽, 줄자, 와이어(소프트) 브러쉬, 실리콘건, 글루건, 노끈, 동태끈, 쟈키, 그라인더, 전기인두기, 가스토치, 고지톱, 랜턴, 석유펌프(대형,소형), 전기릴, 살수기, 에어건, 약제 살포 분무기, 숫돌, 호미, 삽, 가래, 쇠스랑, 거름통, 삼태기, 일반낫과 조선낫, 도리깨, 홀테, 멍석, 발, 채, 지게, 각종 광주리, 채반, 갈퀴, 함지, 예초기, 전기톱, 못류, 나사류, 망치, 톱, 대패, 장화, 장갑, 도끼, 각종 호스, 자구, 소형펌프, 사포, 빠루, 린치, 부대, 아크릴커터, 탁카, 드릴, 작은 디바이스, 철제 절단기, 풀과 본드, 마스크, 보안면과 보안경, 페인트등 가짓수가 제법 많습니다.
이런 공구나 기구들이 없다고 해서 시골살이가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이런 물건들로 인해 가능하면 좀 더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원하는 일들을 해낼 수 있다면, 나이 든 노인네의 삶에 훨씬 더 환한 웃음꽃이 피어나지 않을까 합니다.
내일의 일들에 대해 뭔가를 생각해 보고, 요리조리 궁구해 보는 것, 또 다른 삶의 활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생각한 대로 살지 않으면, 살아지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란 말이 있습니다.
먼 미래의 삶이 어떠할지 제 자신도 잘 모릅니다.
자신의 운명을 그 어느 누구도 쉽게 예단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사고하고, 그에 대해 메모하며, 자신의 내일을 차근차근 정리해 나간다면 각자의 미래 이력서대로, 그 궤적을 따라 가슴 뜨겁게 달려 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백발이 성성한 어느 노인네의 미래 일기 한 페이지.
미래 삶의 한 단면들이 찍힌 디지털 사진들과 훗날의 얘깃거리들에 대해 가끔씩 상상의 일기를 자신의 인생 노트에 적어보는 재미도 솔솔한 듯합니다.
우리들의 삶이 꼭 미래 일기대로 살아지지 않는다고 해도 말입니다.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란 말도 있지만, 청 장년 시절의 각종 기록들이나 사유의 흔적들이 훗날 노년의 삶을 더욱 윤기있게 데코레이션해줄지도 모를 일입니다.
미래 일기 시골살이, 가끔씩 끄적거리는 것만으로도 매양 흐뭇해집니다.
나이 탓인가요?
오늘도 활기차고 은혜로운 하루 보내세요.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