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 (Istrian Coarse-haired Hound)
► 이 명 : 이스트리안 러프 코티드 하운드(Istrian Rough-coated Hound), 이스타르스키 오스트로들라키 고닉(Istarski Ostrodlaki Gonic), 이스트리안 와이어헤어드 하운드(Istrian Wirehaired Hound), 시엥 쿠라 드이스트리에 아 포일 듀(Chien Courant d'Istrie a poil Dur), 라우하리지 이스트리아너 브라케(Rauhhaarige Istrianer Bracke), 사부에소 드 이스트리아 드 펠로 듀로(Sabueso de Istria de Pelo Duro)
► 외 관 :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Istrian Coarse-haired Hound)의 크기는 체고 46~58㎝, 체중 16~24kg정도되는 중형견이다. 이 개의 눈은 어두우며, 큰 콧구멍과 넓은 코를 가졌다. 귀는 중간이 넓고 접히지 않았다. 아래턱의 앞부분이 둥글고, 뒷다리와 궁둥이는 많이 돌출되지 않았다. 짧고 두꺼운 꼬리는 끝으로 가면서 점점 가늘어진다. 모색은 백색 바탕에 황색 또는 오렌지색 반점(Orange Marking)이 있다.
► 설 명 :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Istrian Coarse-haired Hound)는 주인에게 충실하며 고집이 세다. 거친 털은 다양한 기후조건을 견디는 데 최적이다. 단, 성격이 숏헤어드보다 고집스러워서 훈련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또한, 짖는 소리가 우렁차서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에는 부적합하다. 그래서 일반 가정에서 키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사회성과 협조성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지금도 사냥개로 활발하게 활약하는 견종이므로 운동량이 많아야 한다. 평균 수명은 12~14년 정도이다.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는 산토끼와 여우, 멧돼지 사냥에 적합한 견종으로 상당히 활기 넘치는 하운드이며, 특히 리시 하운드로써 사냥감을 쫓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견종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안과 관련 질환과고관절 관련 질병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식탐이 많지 않고 운동량이 아주 많아서 비만견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활동량이 아주 많으므로 매일 한시간 정도의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며, 산책을 나가서도 신나게 달릴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털 빠짐 현상도 많지 않기 때문에 털 관리도 쉬운 편이다. 이중 모 구조를 가진 견종이기 때문에 털갈이 시기에는 수시로 빗질을 해 주어야 한다. 잦은 목욕은 오히려 해로우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목욕을 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 기 원 :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Istrian Coarse-haired Hound)는 슬로베니아(Slovenia) 원산으로 1800년대 중반 사육가들이 이 개의 목소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스트리안 스무드 코티드 하운드와 프렌치 그리퐁 방댕을 이종 교배시켰다. 이 결과가 1866년 비엔나에서 처음 선보인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이다.이 종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멸종 위기에 놓였지만, 이스트리안 숏헤어드 하운드와 마찬가지로 1924년 크로아티아에서 견종등록이 되었고, 숏헤어드보다 1년 먼저 1948년에 FCI에서 공인받았다. 1969년에는 처음으로 스탠다드(견종표준)가 정해졌다. 이스트리안 숏헤어드 하운드를 더 훌륭한 사냥개로 개량하는 과정 중에 태어난 이스트리안 코스헤어드 하운드는 숏헤어드보다 짖는 소리가 크고 잘 울려 퍼진다.
► 비 고 :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는 숏 헤어드 보다 1년 먼저인 1948년에 FCI(세계애견연맹) 분류 그룹 6 센트 하운드와 관련 견종 그리고 섹션 1.2 중형 하운드 스탠다드 No. 158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UKC (Scenthound Breeds)를 비롯하여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이스트리안 코스 헤어드 하운드의 크기는 체고 46 ~ 58㎝, 체중 16~24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외모는 시골 풍의 소박한 모습으로 하운드처럼 체형이 튼튼한 중형견이다. 머리와 몸통에 주황색 마킹(얼룩무늬)이 있는 순백색의 길고, 거친 털을 가진 것이 이 견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거친 털 덕분에 더욱 강건한 느낌을 주며, 수컷과 암컷의 구별이 뚜렷한 편이다. 신체 비율은 몸통이 직사각형이고, 즉 체장이 체고보다 확실하게 길며, 앞다리 무릎까지의 높이는 체고의 약 50%이고, 두개골의 길이는 주둥이의 길이보다 약간 길어 보인다.
► 머리 : 머리와 몸통의 비율이 좋고, 두부의 윤곽선은 살짝 벌어진 모습이다. 두개골은 주둥이보다 약간 길고, 두 귀 사이가 상당히 넓으며, 관자놀이 부분은 둥근 편이다. 뒤통수융기와 이마 고랑이 잘 발달되어 있다. 긴 털이 두개골을 감싸고 있으며, 스톱도 적당히 발달되어 있다.
• 코 : 코는 콧마루보다 높지 않으며, 콧구멍은 크게 벌어져 있고, 코의 피부 전체와 콧구멍 안까지 모두 검은색 또는 갈색이다. 부분적으로 색소가 결핍된(부분적으로 분홍색인 코) 것은 허용하지만, 바람직하지는 않다. 주둥이는 튼튼하고, 길이가 두개골 길이보다 약간 짧은 직사각형이며, 스톱에서 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지만 끝이 뾰족하지는 않다. 빽빽하게 자란 콧수염과 턱수염이 주둥이를 덮고 있으며, 콧마루는 곧게 뻗어 있다.
• 입 : 입술의 두께는 중간 정도이고, 턱에 착 달라붙어 있으며, 입 꼬리는 보이지 않는다. 코 피부의 색깔에 맞게 입술도 색소가 있는데, 다만 부분적으로 색소가 결핍된 즉, 부분적으로 분홍색인 입술은 허용하지만 바람직하지는 않다. 턱은 매우 튼튼하고,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이빨은 희고 고르게 배열되어 있다. 협상교합(Scissors bite), 즉 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교합이고, 앞니가 턱에서 수직으로 박혀 있으며, 치식에 따른 42개의 완전한 치열이 바람직하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두 눈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10~15°각도로 기울어져서 정면과 측면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모양은 타원형이고, 색깔은 짙은 갈색이며, 눈빛은 진중해 보인다. 눈꺼풀이 늘어져서는 안 되고, 안검내반(Entropion) 또는 안검외반(Ectropion)의 징후가 없어야 하며, 코 피부의 색깔에 맞게 눈꺼풀에서도 색이 나타난다. 부분적으로 색소가 결핍된 눈꺼풀, 즉 부분적으로 분홍색인 경우는 허용되지만 바람직하지 않으며, 길고 약간 곱슬곱슬한 털로 덮여 있어 눈썹이 덥수룩해 보인다.
• 귀 : 귀는 늘어뜨려져 있고, 눈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각형 모양으로 끝은 둥그스름하다.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앞 쪽을 향해 늘어뜨리면 입의 음순연결부에 닿으며, 귓불에 주름이 없으며, 안으로 말리거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도 않았고, 상대적으로 짧은 털이 뒤쪽 귓불을 덮고 있다.
► 목 : 목은 튼튼하고, 근육이 잘 발달해 있으며, 수평선을 기준으로 45°각도에 자리 잡고 있다. 머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피부가 팽팽하고 목 밑의 처진 피부도 없으며, 특별히 두드러지는 주름도 없는 편이다.
► 몸통 : 몸통은 강건하게 발달하여 다른 부위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기갑이 알맞게 두드러진 모습이다. 등은 튼튼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수평이고 넓적한 편이다. 허리의 길이가 적당하면서 넓적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엉덩이와 잘 이어져 있는 모습이다. 엉덩이는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힘이 세고, 넓적한 편이다. 수평선을 기준으로 25 ~ 30°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기갑보다 높이가 약간 낮으며, 가슴은 깊고 넓적하며 부피가 큰 편이다. 흉곽은 지나치게 넓어서도 안 되고, 종형흉곽이어서도 안 되며, 앞다리 무릎 높이까지 내려와야 한다. 하부윤곽선과 복부는 흉골에서 옆구리까지의 윤곽선이 아주 약간만 상승한 모습이고, 배가 아주 살짝 턱 업(tuck up) 즉, 몸통의 높이가 허리에서 매우 낮으면서 복부가 감싸 올라간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이다.
► 꼬리 : 꼬리는 엉덩이선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꼬리뿌리는 힘이 세고, 굵기는 꼬리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진다. 아래로 내릴 때는 꼬리 끝이 비절이나 그 아래까지 내려간 모습이고, 등선 아래로 사브르 모양으로 들고 다니며, 흥분할 때 꼬리를 약간 더 높게 들고 있는 것은 허용된다. 다만 등 위로 올라가 있어도 안 되고, 몸통 아래로 구부러져 들어가서도 안 된다. 풍성한 털이 꼬리 전체를 감싸는데, 특히 아랫부분의 털이 보다 긴 편이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앞다리가 전체 몸통과 조화로운 비율이고, 어깨의 길이는 중간이면서 근육질이며, 어깨 각도는 115 ~ 120°정도이다. 앞다리의 무릎은 몸통에 밀착되어 있고, 전완이 힘이 센 편이며, 뼈는 둥글고 근 긴장도도 센 편이다. 앞에서 보았을 때 두 전완은 나란하고 평행하며, 앞발목뼈가 짧은 편이고 탄력이 있다. 발목도 탄력이 있고, 약간 비스듬하게 놓여 있으며, 앞발의 모양은 타원형인고,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발톱과 패드는 튼튼하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튼튼하고, 움직일 때 탄력이 좋은 편이며, 허벅지가 강하고 넓적하며,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허벅지 하부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4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뒷무릎 관절이 튼튼하고 탄탄하며, 각도는 약 130°정도이다. 뒷 발목은 지면과 거의 수직이고 탄탄하며, 탄력이 있다. 뒷발의 모양은 타원형이고, 발가락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발톱과 패드는 튼튼해 보인다.
► 털과 색 : 피부는 탄력이 있으면서 중간 정도의 두께이고, 팽팽하면서도 주름이 없으며, 분홍색이다. 피부색은 종종 회색이 도는 검은색 얼룩(greyish-black mottle) 또는 갈색이 도는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흰색 털을 통해서 이런 피부색이 육안으로 확인되더라도 허용한다.
털은 이중모 구조로 상모는 뻣뻣하고 억세며, 살짝 물결 모양으로 구불구불하지만 광택이 없고 칙칙한 편이다. 길이는 약 5~8㎝ 정도이고, 상모는 절대 몸에 붙어 누워서 자라서는 안 되며, 곱슬곱슬하게 컬이지거나, 뭉쳐져서도 안 된다. 주둥이에는 콧수염과 턱수염이 자라고, 눈 위의 눈썹은 매우 강조되어 있으며, 이 부위의 털들은 몸통에서 자라는 털보다 약간 짧은 편이다. 귀에 나는 털은 더 짧고 직모에 가까우며, 상모 아래에는 길이가 짧은 하모가 빽빽하게 자란다. 하모는 몸에 붙어서 누워서 자라며, 겨울철에 더 풍성해 진다.
털의 기본색은 머리와 몸통에 주황색 마킹(얼룩무늬)이 있는 순백색이고, 주황색 마킹의 색조는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나타나야 하며, 주황색 마킹의 총량이 몸 전체의 1/3을 넘어서는 안 된다. 머리의 경우 귀나 두개골, 주둥이 쪽에 마킹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머리 색깔 전체가 주황색인 것은 곤란하다. 머리 위의 마킹은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몸통의 경우에는 어느 부위에서나 마킹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등과 흉곽, 꼬리뿌리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 마킹의 모양은 점과 같은 형태로 분명하게 구분되어야 하며, 무늬가 고르지 않거나 가장자리가 흐릿해지는 것은 곤란하고, 흰색 바탕색과 구분되어 육안으로 확인되는 작은 점들은 귀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추진력이 크기 때문에 보폭이 상당히 큰 편이며, 움직임이 조화로워야 하고, 절대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움직이는 동안 등은 탄탄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다리가 서로 꼬이는 것은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