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136313.html#cb
‘궁핍한 시대’에 시인은 무엇을 찾는가?
독일 낭만주의 시인 횔덜린 선집
철학‧시학 포함 미완성 작품 주목
광기 속에 쓴 말년의 시편
파울 첼란 등 현대시에 큰 영향
생의 절반
프리드리히 횔덜린 지음
프리드리히 횔덜린(1770~1843)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20세기 독일 현대시의 선구자로 불린다. 옛 신들이 떠나고 새로운 신들은 오지 않은 ‘궁핍한 시대’를 노래한 영성의 시인이기도 하다. ‘생의 절반’은 이 시인이 평생에 걸쳐 쓴 시와 산문을 가려 뽑아 묶은 선집이다. 박술(독일 힐데스하임대학 철학박사)씨가 편집‧번역하고 상세한 해제를 달았다.
횔덜린은 일흔세 해 삶의 절반을 광기의 어둠 속에서 보낸 불행한 시인이다. 튀빙겐신학교에서 헤겔‧셸링과 함께 공부한 횔덜린은 성직자가 되기를 바란 어머니의 뜻을 거스르고 시인의 길을 걸었다.
1796년 프랑크푸르트 은행가 야코프 공타르 집안의 가정교사로 들어가 그 집 안주인 주제테와 사랑에 빠졌는데, 그 불행한 사랑은 횔덜린 삶과 문학에 지울 수 없는 화인을 남겼다. 가정교사로 전전하던 횔덜린은 1802년 주제테의 와병과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았다. 이때 처음 정신에 깊은 균열이 났고, 다시 3년 뒤 두 번째 발작으로 일상의 삶과 영원히 이별했다. 광증이 정신을 침범해오던 그 몇 년 동안 횔덜린의 시적 상상력은 최고조에 이르러 수많은 작품으로 영글었다. 그러나 횔덜린의 ‘유례없이 독특한 언어’는 당대의 눈을 스쳐 지나갔고 20세기에 들어와서야 재발견됐다. 제1차세계대전 직전 문헌학자 노르베르트 폰 헬링라트가 횔덜린의 숨은 원고를 발굴해 네 권짜리 전집을 펴냈고, 이후 횔덜린 불길이 독일 전역에서 타올랐다.
https://naver.me/GhEAC8qX 횓덜린 나무위키
횔덜린의 문학은 통상 1800년을 기준으로 삼아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그러나 옮긴이는 시기를 더 세분화해 1797년까지를 초기로, 1798년부터 1801년까지를 중기로, 1802년부터 1806년까지를 후기로, 다시 1807년 이후를 최후기로 나눈다. 이 선집의 특징은 완성된 작품보다 미완성 작품들에 더 주목한다는 데 있다.
특히 횔덜린이 초기에 쓴 철학‧시학 단편들은 다른 선집에서는 볼 수 없는 글이다. 횔덜린 연구자들은 헤겔과 셸링이 철학자로 성장하는 데 횔덜린이 상당한 지적 자극을 주었다고 보는데, 1775년에 쓴 ‘존재와 판단’이라는 ‘철학 단편’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 횔덜린은 절대자로부터 주체와 객체가 분리돼 나오는 과정을 서술하는데, 마치 헤겔의 ‘정신현상학’ 초안을 보는 듯하다. 횔덜린의 시학은 이 분리된 주체와 객체가 다시 하나로 합일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분리의 고통에서 합일의 기쁨으로 나아가는 길이 횔덜린 시의 길이다.
횔덜린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빵과 포도주’는 이런 사유가 시어로 구현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https://m.cafe.daum.net/somdaripoem/rA34/475?svc=cafeapp 빵과 포도주 전문
옮긴이는 횔덜린의 이 작품을 동시대 낭만주의 시인 노발리스의 대표작 ‘밤의 찬가’와 비교한다. 거의 비슷한 시기(1800년경)에 쓰인 두 시는 “그리스 신화의 세계와 그리스도교적 세계를 아우르는 역사철학적 구상”을 품고 있다는 점에서 쌍둥이처럼 닮았다. 시의 배경이 밤이라는 것도 같다. 그러나 닮은 점만큼이나 다른 점도 있다.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가 연인(조피 폰 퀸)의 이른 죽음이라는 커다란 상실을 노래한다면,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는 예고 없이 찾아오고 떠나는 시적 영감을 주제로 삼는다. 노발리스에게 죽음은 연인과 다시 만나는 통로다. 죽음은 단순한 사라짐이 아니라 잃어버린 것을 되찾는 재회의 약속이다. 노발리스는 ‘죽음을 향한 그리움’으로 시를 끝낸다.
그러나 횔덜린의 시는 신들이 떠난 이 황량한 세계 자체에 더 관심이 있다. “비록 신들은 살아 있으나, 머리 위 저 멀리 다른 세상에 살고 있다.” 이 구절에 이어 유명한 시구 “이렇게 가난한 시대에 시인을 어디에 쓰려는가?”가 나온다. 흔히 “궁핍한 시대에 무엇을 위한 시인인가?”라고 번역되는 그 시구다. 여기서 ‘궁핍한 시대’란 신들이 떠나버린 시대를 뜻한다. 시인의 쓸모는 그 떠나버린 신의 말씀을 받아내 대지의 백성에게 전해주는 데 있다. 시인의 그런 운명을 이야기하는 시가 또 다른 작품 ‘마치 축제일처럼’이다. 이 시에 그려진 시인의 임무는 “아버지가 내리는 빛의 줄기”를 잡아 “민중을 향한 노래 안에 감추어 넘겨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 시는 “내 재앙이로다” 하는 불길한 말과 함께 미완성으로 끝난다.
이 미완성 시의 육필 원고 여백에 따로 쓴 것이 ‘생의 절반’이라는 시다. 2연으로 된 이 시의 두 번째 연에서 횔덜린은 “가엾어라, 겨울이 오면/ 나는 어디에서 꽃들을, 또/ 햇볕을, 그리고 어느/ 대지의 그림자를 취하면 좋으랴?” 하고 탄식하는데, 마치 자기 생의 후반부를 예고하는 듯하다. 이후 횔덜린은 두 번의 충격적인 사건을 겪고 1806년 튀빙겐의 정신병원에 강제로 입원했다가 8개월 뒤 치료 불가 판정을 받고 퇴원한다. 이때 횔덜린을 받아준 사람이 목수 에른스트 치머였다. 횔덜린 소설 ‘휘페리온’에 감명받은 치머는 그 불운한 시인을 자기 집으로 들인다. 횔덜린은 죽을 때까지 36년 동안 그 집 작은 탑 2층 방에 머물렀다.
https://naver.me/5Ya3w4q5
이렇게 광기의 난바다에서 표류하던 시기에도 횔덜린의 시적 정신은 계속 타올라 마지막까지 수많은 시를 생산했다. 그 최후기 시 가운데 48편이 살아남아 탑에 갇힌 광인의 내면을 전한다.
횔덜린의 그 시들은 2층 탑에서 바라본 풍경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묘사하는데, 시 안에는 3인칭 현재의 이미지만 존재한다. “나도 너도 없고 이름도 시간도 없는” 이 환상의 공간에서 이미지가 흘러간다. 이런 기이한 시적 세계가 20세기 아방가르드 시에 영감을 주었고, 게오르크 트라클, 파울 첼란 같은 당대 최고의 시인들이 횔덜린의 이미지 속에서 시어를 길어 올렸다.
이 유폐의 시기에 횔덜린은 ‘스카르넬리’라는 낯선 필명을 사용했다. 더 눈길을 끄는 것은 스카르넬리라는 서명이 달린 그 시들에 ‘상상 속의 날짜’를 써 놓았다는 사실이다. 가장 이른 것이 1648년이고 가장 늦은 것이 1940년이다. 횔덜린은 스카르넬리의 가면을 쓰고서 과거와 미래를 자유롭게 오갔던 것이다. 탑에 갇힌 시인은 자신의 시가 재발견되는 미래를 보았던 걸까. 1940년이면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가 횔덜린의 시를 철학적 언어로 한창 재해석하던 때다. 이 재해석을 통해 횔덜린은 궁핍한 시대를 넘어 새로운 미래를 예언하는 사상가로 떠오른다.
https://naver.me/Gc4eros7
“가장 현대적이고 가장 창의적인”
횔덜린의 대표 시 해설
1800년대 독일 문학계의 주류 사조였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횔덜린의 작품은 당대의 이해지평을 넘어서 있던 탓에 생전에는 크게 인정받지 못했다. 동시대 문호인 괴테, 실러의 그늘에 가려 생전 수수한 문명(文名)으로 만족해야 했지만, 20세기 초 헬링라트, 릴케 등에 의해 독일 현대시의 선구자로 재평가받고 부활하여 후기 문학가와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감과 영향을 주었다. 고전 그리스문학 번역가로서, 지상에서의 소명을 노래한 시인으로서, 그리고 정신병의 그늘에서 고통받는 한 인간으로서 극한을 추구하는 정신에서 이루어낸 그의 문학은 오늘날까지도 가장 현대적이며 가장 창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횔덜린- 존재와 판단
https://naver.me/x4uPiMiT
F. 횔덜린, 「판단과 존재」(1795)
존재(Sein) - 주체와 객체의 결합을 표현한다.
주체와 객체가 부분적으로 뿐만이 아니라 절대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분할될 것의 본질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분할할 수 없다면, 지적 직관(intellektualen Anschauung)의 경우에서처럼 다름 아닌 바로 그곳에 절대적 존재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존재는 동일성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내가 "나는 나다"라고 말한다면, 주체로서의 나와 객체로서의 나는 분할될 것의 본질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분할할 수 없는 식의 방법으로는 통일되지 않는다. 오히려, 나는 나로부터의 나의 분할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내가 어떻게 나라고 말할 수 있는가! 자기의식 없이? 그러나 자기의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나 자신에 대한 나 자신의 대립을 통해서, 나 자신으로부터의 나 자신의 분할을 통해서, 그러나 이런 분할에도 불구하고, 나는 대립하는 나 자신을 동일한 것으로서 인식한다. 그러나 그 동일함은 어느 정도인가? 나는 이에 대해 질문할 수 있고, 질문해야 한다. 왜냐하면 또 다른 측면에서 그것은 그 자체와 대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성(Identität)은 절대적으로 발생하는 객체와 주체의 통일이 아니며, 따라서 동일성은 절대적 존재와 동일하지 않다.
판단(Urteil)은, 가장 고차적이고 엄격한 의미(Sinne)에서는, 지적 직관에서 가장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두 종류의 것인 개체와 주체의 본래적인 분할이다. 이 본래적 분할을, 근원적 구별[근원적 분리; 판-단함](Ur-Teilung)1을 통해 주체와 객체는 실현될[가능할/성립할] 수 있게 된다. 이 구별의 개념에 개체와 주체의 상호 관계(gegenseitigen Beziehung)라는 개념과, 그러한 개체와 주체를 부분으로 포함하는 전체라는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이미 속해있다. "나는 나다"(Ich bin Ich; I am I)는 이론적인 판단으로서의 판단 개념의 가장 적합한 예시이지만, 실천적인 판단에서 나는 나 자신을 나 아닌 것[비아(Nicht-ich; 非我)]에 대립시킨다.
현실적인 것과 가능적인 것은 각각 직접적 의식과 간접적 의식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내가 한 대상(Gegenstand)을 가능한 것으로서 사유할 때, 나는 그저 이 대상이 현실적으로 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전의 의식을 반복할 뿐이다. 우리에게 사유가능하며 현실적이지 않은 가능적인 것은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능적인 것의 개념은 이성의 대상에 대해서는 전혀 유효하지 않다. 이성의 대상은 필연적인 것의 개념으로서만 의식에 나타나지, 그것이 그것이어야 할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이다. 가능적인 것의 개념은 오성(Verstandes)의 대상들에게, 지각과 직관의 대상들의 현실성의 대상들에게 유효하다.
역주:
1) 보다시피 횔덜린은 판단(Urteil; Ur-Teil)이란 단어를 근원적인(Ur) 구별[분할; 분리](Teil)로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