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죄책감에 대한 영화다. 영화에 시작은 있지만 종결이 없는 것은 그 때문이다. 죄책감은 시간이 흐르면서 의식 표면 아래로 가라앉지만 그렇다고 결코 없어지는 것이 아니며 보상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짐작컨대 원작도 그랬을 것이고,) 영화는 그 점을 정확히 짚고 있다.
지미, 숀, 데이브는 한 마을에서 자랐다. 어렸을 때 친하게 지냈지만, 어느 날인가 세 사람이 놀던 중 데이브가 납치되어 성적으로 학대당하는 사건이 일어나게 되고, 그들은 천행으로 데이브가 돌아올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예전의 관계를 다시 회복하지 못한다. 세 사람은 자연스레 소원해졌고, 20년이 지난 지금은 여전히 아는 사이이긴 하지만 더 이상은 서로를 '친구'라 부르지 않는다. 지미는 한때 범죄에 몸을 담았었지만 지금은 손을 털고 잡화점을 운영하고 있고, 숀은 대학을 나와 경찰이 되어 마을을 떠났으며(내가 받은 인상은 그랬다), 데이브는 그 불행한 사건 이후로 완전히 안으로 움츠러들어 조용하고 소극적인 삶을 살고 있다.
지미의 큰딸이 살해당하면서, 세 사람의 삶은 다시 한데 얽혀든다. 숀은 이 사건을 수사하게 되고, 데이브는 살인 사건이 일어난 밤 모종의 사고를 당해 부상을 입었다. 그 부상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기를 거부하면서 데이브는 서서히 용의 선상으로 떠오르고, 숀은 데이브를 보호하길 원하지만 공적으로는 경찰로서의 중립적인 자세를 견지하며, 지미는 사적인 복수를 위해 독립적인 수사망을 짜 살인자를 찾는다.
이들은 모두 그들이 11살 때 데이브에게 일어났던 사건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유년 시절의 폭력은 한 사람에 대해서 행해졌지만, 그 폭력은 세 사람 안에 모두 살고 있었다. 피해자였던 데이브를 한 마을에서 끊임없이 마주쳐야 하는 지미는 물론이거니와, 셋 중에서 그나마 성공한 사람이 되어 그 마을을 떠나 이제는 다른 삶을 살고 있는 듯 보이는 숀조차도 그 폭력의 기억을 끊임없이 회상한다는 걸 영화가 직접 보여준다. 케이티의 살해자를 찾기 위한 면담이 진행중인데 뜬금없이 데이브 이야기를 꺼내는 지미의 모습이나, 아직 우린 지하실에 갇혀서 달아나기를 원하는 11살 소년이라고 뇌까리는 숀의 모습. 셋은 그 사건 이후 흩어져 그 뒤로는 서로의 삶을 거의 나누지 않고 살아왔지만, 정작 그들은 항상 서로 속에 있었던 것이다.
데이브의 죽음은 두 친구에게 새출발을 시작하도록 해주는 '희생'이 아니다. 그건 그들이 평생 갖고 살아왔던 죄책감, '그 차에 탄 게 데이브가 아니라 나였다면/우리가 그 때 그렇게 멍청하게 서 있지 않고 무언가 했더라면'이라는 죄의식 위에 더 큰 하나를 얹은 거다. 지미의 부인 애나베스는 가족이라는 이데올로기로 그걸 정당화하지만, 그 전에 이미 죄책감을 평생 지고 살아왔던 지미는 그들의 침묵이 그렇게 덮어두고 지나갈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데이브를 죽인 것보다 더 큰 죄는 데이브의 '실종'에 제대로 된 이름을 찾아주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그건 숀도 공범이다). 둘은 앞으로 계속 살아나갈 것이고, 어쩌면 겉으로 보기에 꽤 정상적이고 모범적인 가정을 유지하겠지만, 이미 그 삶은 텅 비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더 난감하게도, 20여년 전에 있었던 데이브의 납치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두 사람 모두에게 책임졌어야 할 진짜 '죄'가 있다.
20여년 전에 있었던 일이 데이브만이 아니라 세 사람의 삶을 모두 갉아먹었듯, 남은 두 사람의 삶은 이제 중첩된 두 사건에 평생 저당잡혀 있게 될 것이다. 영화를 다 보고 나니 그런 공허함이 느릿느릿 허공을 떠돈다. 암담하고 막막하다.
* 잡담
1. 숀이 마을을 떠났다는 인상을 받은 것은, 영화에서 그가 묘사되고 행동하는 방식이 다른 사람들과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데이브와 악수하면서 '7,8년 만인가?'라 건네는 첫 인사 때문이기도 하고, 대학까지 나왔다는 묘사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가족' 때문이다. 지미와 데이브는 모두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는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 아이들도 잘 자라고 있는 듯 보이고. 그러나 숀은 아이를 갓 낳은 상태에서 아내가 자신을 버리고 떠난 지가 6개월이 되어간다. 카톨릭 교회가 마을 생활의 자연스런 일부인 것처럼 묘사되는 것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공동체(보스턴의 아일랜드 계 마을이라는데, 지미가 카톨릭인 것으로 보아 그런 것 같다)는 '정상적인' 인간 관계를 맺으려면 적당한 나이에 결혼을 해서 가정을 꾸려야 하는 사회인 것 같았다. 마지막에 조금은 뜬금없이 애나베스가 가족을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왕으로서의 아버지' 이야기로 지미를 위로하는 것도 그 맥락 안에 놓여 있을 것이다.
(대개 영화 마지막에 나오는 긴 연설은 감독이 하고자 하는 말일 때가 많아서;;, 그 대목에서 잠시 멈춰서 설마 이 영화의 주제가 저거였단 말인가, 하고 황망해했었다.)
1. 위에서 말할 기회는 없었지만, 실은 우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미가 죽여서 영원히 묻어버렸던 레이의 아들이 결국 지미의 딸을 살해하게 됐다는 내용 역시 시사적이었다. 한 다리 건너면 다 친척이고 아는 사이인 그런 좁은 마을에서는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그런데 보스턴 안에 그런 소위 '토박이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 있는지 전혀 몰랐다. 대도시에는 보통 그런 곳이 없다고 생각하기가 쉽지 않나?? 그저 내 편견인가?
1. 케빈 베이컨은 팀 로빈스와 동갑이고, 둘은 숀 펜보다 두 살이 많다. 팀 로빈스의 역이 역이긴 하지만, 믿어지십니까?
첫댓글 정말 멋진 감상평이네요! 무엇보다 세 배우의 열연이 돋보였던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 맨 마지막 질문은, 팀 로빈스의 연기력을 묻는 것이 아니라, 작 중 캐릭터에 관한 질문이겠죠? 이러나 저러나 가물거려서 답변하기는 힘들군요. -.-
실은, 케빈 베이컨이 동안이라는 말을 하고 싶었습니다^^;; 제대로 표현을 못했군요. 출연진 보고 뒤집어졌는데, 심지어 잠깐 지나가는 술집 주인이 무려 Eli Wallach이더라구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보고 너무 막막해서 그날 잠이 안 왔더라지요..
오늘 도서관갔다가 우연히 이책을발견했어요; 그냥지나가던 참이였는데 어디서많이본 제목이라서 생각해봤더니 여기서 봤더라구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