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봉, 월급 얼마나 받나요?
2. 일의 강도는 얼마나 되나요? 전문직인가요?
3. 대학은 어느학과를 나와야하나요?
4. 주말에 쉬는지?
5, 건축설계사가 30대후반이면 어느정도 위치인가요?
보험설계사
1. 영업하는거죠?
2. 삼성생명이 가장 비싼곳인가요?
3. 한달에 얼마, 연봉이 얼마정도 되나요?
4. 주말에 쉬나요?
5. 30대 초중반이면 이 업계에서 어느정도 위치인가요?
시구청 도시계획국장
1. 국장이면 나이40대에도 가능한가요?
2. 월급여가 얼마나 되는지?
3. 업무 강도는 얼마나 되나요?
4. 공무원인데 잔업이란게 있나요?
5. 도시계획국(과)이면 아무래도 이공계 나온쪽을 뽑나요?
질문으로 도배해서 죄송합니다 ... 저에겐 약간 중요한 문제라서요 ...
답변 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첫댓글 건축 설계만 직접 해봤으니 말씀 드리면
건축설계사
1. 연봉은 작은곳이나 지방은 초봉 2천도 못받는 곳도 있고 큰곳들이 3천 정도 되는걸로 압니다.
2. 일의 강도는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야근을 밥먹듯이 하는 직업입니다. 전 야근, 특근만 1년에 600~800시간 했습니다. 건축사를 응시할수 있는 전문직입니다.
3. 대학은 당연히 건축과이고 5년제 입니다.
남들보다 1년 등록금 더 내고 더 못버는 직업이죠 ㅋ
4. 주5일이 기본이지만 일있으면 주말 내내 밤샐수도 있죠.
5, 30대후반이면 pm, 실장 급이고 건축사를 가졌거나 의지가 있는 분들은 요즘은 30대 후반에 건축사무소 창업하는 분위기 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보험 설계만 하는 중이니 말씀 드리면
1.네 영업입니다. 주변 사람에서부터 모르는 사람까지 서스름 없이 다가가야 하는 직업입니다.
2. 전체적으로 삼성이 업계에선 최고로 크면서 비싼 편에 속하고, 농협이나 흥국같은 중소보험사들이 저렴한 편입니다.
3. 본인하기에 따라 달렸습니다. 순전히.
보통 수수료는 생명보험사가 손해보험사보다 쎈 편입니다. 그래서 젊은 분들은 생명보험사로 많이 가시죠.
4. 본인 마음입니다. 주말에도 고객이 될 사람이 있다면 열심히 뛰어다니면서 만나셔야죠. 내가 절실한만큼 뛰어야 법니다.
5. 시작이 언제냐, 능력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초중반이면 본인 팀 하나는 꾸릴 정도는 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건축설계쪽에 있다가 현장으로 돌아선 사람입니다...
설계...힘들어요...야근 무지하게 많아요...돈...못 벌어요...30대 후반이면 실장?팀장급인데 건축사 못 따면...에휴...
나름 화이트 칼라로 건물을 설계한다는 자부심은 많이 있어요.
감리로 가면 현장에서 대우도 나름 잘 해주고요...하지만 일부 잘나가는 설계사무실(아님 일명 허가방) 말고는 연봉이 짜도 너무 짜요
인정합니다. 건축사 가지고 있어도 건설경기가 워낙 안좋아서 물량도 없더라구요. 셋중에 뭐할래 하면 전 3번합니다.
답변 감사해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잘 모르지만, 요즘 신도시에 아파트단지 짓는거와는 별개인가 보네요.
저희 외삼촌께서 시구청 도시계획국장을 하셨습니다.
1. 시군구청 국장급이면 4급일텐데.. 40대를 시군구청 국장급에 보한다.라 솔직히 좀 힘들거 같구요(저희 외삼촌도 9급으로 시작하셔서 명퇴 몇년 안 남기고 국장을 다셨습니다.)
2. 월급여 제가 정확히는 모르고, 현재 연금 300만원 정도 수령하시는걸로 압니다. 명퇴하신지 10년정도 됬어요
3. 업무강도 빡쎄더라구요. 삼촌께서 밥 먹자고 하셔서 삼촌 집무실에 가본적이 있는데 회의 회의 회의 회의 회의의 연속이었습니다.
4. 잔업 좀 있었습니다.
5. 이공계 대학 출신은 아니지만 삼촌께서 공고 출신이십니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