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
시지의 점수 배분에서는 밤낮의 기온차가 크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밤낮의 기온 차만큼 오행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물론 월지의 겨울과 여름의 오행 변화보다는 작지만 시지 또한 오행의 변화가 크다. 따라서 시지는 15점을 준다.
<일지>
일지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나 아침, 점심, 저녁, 밤 등 하루 중 기온 차에 따른 오행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다. 그러나 日柱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15점을 준다.
<연지>
연지는 천간과 마찬가지로 10점을 준다.
※ 사주팔자의 점수 배분
태어난 생년월일의 천간과 지지를 점수로 환산하면 해석학 때 편리하다. 연간, 월간, 일간, 시간은 모두 똑 같이 10점을 준다. 일간은 나인데 왜 10점만 주는지 궁금해 하지만 사주팔자 모두가 나이고 일간 하나만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기에 모두 10점 씩 준다.
지지의 점수 배분은 오랜 임상경험과 공부가 필요하다. 예로 지지 중에서 子는 水에 해당되지만 오행 중에서 가장 차가운 성질이며 음의 성질도 가장 강하다. 자가 오는 해는 갑자, 병자, 경자, 임자, 등 5가지다. 그런데 이러한 수의 해는 화의 기운이 가장 강한 오화가 들어있는 해보다 추운가? 다시 말해서 차가운 음의 기운이 뜨거운 火의 기운보다 더 강한가? 그렇지 않다. 연지에 따라서 춥거나 더운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월지는 연지의 경우와 달리 子와 午으 큰 차이가 있다. 자는 한겨울의 매우 춥고 음의 기운이 왕성하며, 오는 한여름의 매우 덥고 양의 기운이 왕성하다. 이와 같이 사주 안에서 오행의 성질을 가장 강하게 나타내는 것이 월지이고, 이 얼지의 분석이야말로 사주 분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월지에 30점을 배정하는 것이다. 이 수치는 필자가 경험적으로 판단한 수치로, 월주의 기가 사주팔자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시지이다. 하루 중에도 시간에 따라 온도차가 생기고 그에 따라 오행을 배정하므로 시지의 작용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15점을 준다. 시지나 시지의 점수 배정은 아직 연구할 것이 많이 남아 있으므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일지는 기후의 변화가 없다. 그러나 일지의 기운이 사주 주인공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명예살에 해당하는 辰戌丑未, 역마살에 해당하는 寅申巳亥, 도화살에 해당하는 子午卯酉, 고집을 상징하는 백호대살, 괴강살, 양인살의 유무에 따라 사주 주인공이 성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지에는 15점을 배정한다.
단 월지와 시지의 점수 배정은 단순히 오행만으로 계량화 할 수 없음을 주의해야 한다.
(3) 오행의 발달과 과다
사주팔자에서 오행의 발달과 과다를 구별하는 기준은 오행의 개수와 사주팔자를 계량화 한 점수이다. 동일한 오행이 3개 있으면 발달로 보는데 월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2개만 있어도 발달로 본다. 점수로는 30∼40점이면 발달로 볼 수 있다. 과다는 개수로 4개 이상이고 점수로는 50점 이상이면 해당된다.
발달의 경우에는 오행의 부드러운 성격과 특징이 많이 나타나는가 하면 오행의 강한 특징은 적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런 구분은 평소 생활에서 나타나는 장단점을 말한 것이지 특정 오행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단점만은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오행이든 발달은 오행이 많다고 반드시 단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발달한 오행은 안정작인 면을 발휘하고 과다한 오행은 모험적인 면을 많이 발휘한다. 단순히 발달인지 과다인지 만을 보고 그 사람의 인생을 분석하려 들지 말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월지의 분석>
사주에서 오행의 발달과 과다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주 내의 오행과 기의 흐름을 분석해야 한다. 우선 계절에 따른 오행의 변화를 알려면 월지를 분석하고 하루의 기후 변화 즉 아침, 점심, 저녁, 밤에 따라 달라지는 기후 변화를 알려면 시지를 분석한다.
사주명리학은 실제적인 기후 변화를 중시한다. 이것은 節機曆을 사용하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예로 사주명리학에서 한 해의 시작은 음력 생일도 아니고 양력 생일도 아닌 입춘이 지나는 시점이다. 또한 1달의 시작은 양력 1일이나 음력 1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12절기의 절입일은 기준으로 한다.
사주명리학은 절기를 바탕으로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기운을 음양과 오행으로 바꾸어서 해석한다. 추운 겨울은 水, 더운 여름은 火, 봄은 木, 가을은 金으로 그 기운을 표현한다. 여기서 목은 양의 기운 즉 화의 기운 속에서 음의 기운이 존재한다고 보고, 금은 음의 기운 즉 수의 기운 속에 양의 기운이 존재한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봄은 여름의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기 전에 점차 더워지는 기운이고, 가을은 겨울의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기 전의 점차 차가워지고 있는 기운으로 본다.
사주명리학은 추운가 더운가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이자 調候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계절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사주 분석에서 계절을 어떻게 판단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많은 학자들이 서자평의 학설을 따라서 일간 중심으로 사주의 身强身弱을 평가한다. 물론 일간으로 육친을 분석해 내는 것은 사주명리학계의 커다란 업적임에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사주명리학의 기본 바탕이 계절과 조후학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사주팔자는 연간, 연지, 월간, 월지, 일간, 일지, 시간, 시지로 이루어진다. 사주팔자 여덟 글자의 변화를 읽어가면서 점수를 매길 수 있다면 대부분의 사주는 쉽게 해석할 수 있고 용신 분석도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일반이론과 다른 부분이 있어서 처음에는 이해하기 쉽지 않겠지만 제대로 알아둔다면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면서 실력이 부쩍 늘어날 것이다.
첫댓글 한 참을 읽었습니다^^
신비나라님도 받아보세요... 모든 자격증에 대한 자료를 무료로 받을수 있네요..
60가지가 넘는 자격증 무료자료받기
제 아이디를 클릭하시어 제 블로그로 들어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