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시 승격 50주년 통계로 본 안동 반세기 |
안동시가 올해로 시 승격 50주년을 맞았다.
안동은 1963년 1월 1일 강원도 속초와 경기도 의정부, 충남 천안 등과 함께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했다. 경북에서는 포항과 김천(1949년), 경주(1955년)에 이어 네 번째다.
당시 신안동시 등 승격 시(市) 명칭을 두고 논란을 겪은 끝에 전국에서는 유일하게 시(市)와 군(郡)이 안동이라는 같은 이름으로 분리되었던 안동은 1995년 1월1일 32년 만에 다시 통합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1972년 안동신시장 주변 (자료제공, 안동시) |
시 승격 50주년을 맞은 안동시는 당시 4,672만원 남짓 하던 예산은 지난해 7,911억 원으로 16,933배가 늘었고 버스 19대와 택시 8대, 화물차 71대 등 98대에 불과하던 자동차도 어느새 71,165대로, 일직면에 단 한 대밖에 없던 오토바이는 10,743대로 늘었다.
인구이동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1963년 1월1일 승격 당시 242,043명에 이르던 인구는 1974년 270,188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08년 167,300명으로 최저점을 찍고, 2009년 상승세로 돌아서 지난연말 168,302명으로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로 승격당시보다 73,741명이 줄어들었으나 내년도 도청이전 등과 함께 조만간 통합당시 인구수를 넘어 설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한편 가구 구성은 승격당시 40,195가구로 가구당 인원은 6.02명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69,617가구로 인구에 비해 가구 수는 폭발적으로 늘었으나, 가구당 인원은 2.42명으로 1/3로 줄었다.
연령대별 인구분포는 승격 당시 9세 이하 79,978명으로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하고 있고, 반면 60세 이상 인구는 14,620명으로 6%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9세 이하 인구가 13,686명으로 전체 인구의 8.1%에 그치는 반면, 60세 이상은 41,605명으로 24.7%를 차지하고 있어 베이비 붐 세대가 현재 장년층의 주류를 형성하고 출생율도 현저히 떨어져있다.
따라서 교육시설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여 당시 초등학교 수는 본교 56곳과 분교 13개 등 69곳에서 초등교육을 실시했고, 학급수도 673학급에 초등학생 수는 41,163명에 이르렀으나 반세기를 거치면서 초등학교 수는 35곳으로 줄고, 학생 수도 8,887명으로 1/4로 푹 줄어들었다.
댐 건설로 토지이동도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전(田)은 16,516㏊에서 12,656㏊로 3,860㏊가 줄었고, 10,745㏊에 이르던 답(畓)도 9,601㏊로, 임야 또한 110,277㏊에서 107,748㏊로 줄었으나 대지는 1,383㏊에서 1,982㏊로 늘었다. 줄어 든 경지면적과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당시 93,284명에 이르던 농업종사자는 최근 34,070명으로 줄었다. | |
안동 풍천 ‘어도’복숭아 농가에 효자작목으로 자리매김 |
풍천면 어담·금계리 주민들이 폭염 속에서 복숭아 수확이 한창이다.
올해는 봄철 냉해로 많은 복숭아나무가 고사하고 세균성 구멍병 등 병해충 피해가 커 전년대비 생산량은 20~30% 감소했으나 가격은 5kg 한 상자 2~3만원, 10kg 한 상자 4~5만원에 거래되어 전년대비 20% 오른 금액에 판매되고 있어 농민들의 시름을 덜고 있다.
풍천면에서 복숭아밭이 밀집돼 있는 어담리, 금계리 일대는 해발고도 350~400m로 비교적 높고 보습과 배수가 뛰어난 점질토로 이루어졌으며, 적당한 강우와 큰 일교차로 인해 당도가 높고 맛이 뛰어난 우수한 품질의 복숭아가 생산되고 있다.
풍천면의 복숭아 재배면적은 30여ha, 조생종 및 백도, 황도 등 만생종까지 다양한 품종의 복숭아가 10월까지 생산된다. 현재 10kg 한 상자에 4~5만원 정도의 시세를 유지한다면 올해 15억정도의 농가소득을 올릴 것으로 보여 톡톡한 효자작목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병윤 어담복숭아 작목반장은 “올해 전국적으로 냉해와 병해충 피해가 심하지만 어담·금계 지역은 철저한 관리와 방역으로 품질 좋은 복숭아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항상 최고품질의 복숭아를 생산해 명품 어도복숭아를 생산하겠다.”며 품질 좋은 어담·금계 복숭아에 대한 자부심을 내비쳤다. | |
피서는 안동의 먹자골목에서! 골목골목 유명 먹거리집 즐비 |
대부분의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여름철 보양식을 찾는 이들이 안동의 유명 ‘먹자골목’으로 몰리고 있다.
|
▲ 구시장 인근의 막창집, 8개의 막창집에서 맛 경쟁을 펼치고있다. |
한국관광공사 이참 사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안동시내 ‘막창골목’은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곳으로 타 지역보다 덜 기름지고 젊은이들과 자연스레 어울릴 수 있는 곳"이라며 안동의 최고 맛 집으로 ‘막창집’을 꼽았다.
그동안 크게 유명세를 타지 않았던 ‘막창골목’이 한국관광공사 사장의 입맛을 사로잡을 만큼 안동에는 갈비, 찜닭, 보리밥, 헛제사밥, 황구, 불고기, 떡볶이 등 유명 먹거리들이 즐비하다.
구시장을 중심으로 막창골목과 인접한 찜닭골목에는 원조 안동찜닭의 맛을 볼 수 있는 곳으로29개의 찜닭 집에서 만들어내는 안동찜닭은 매콤한 맛과 달콤하면서도 간간한 맛이 일품이어서 찜닭의 참맛을 보기위해 전국에서 피서객들이 몰리고 있다.
또한 바로 인근 제비원 상가에 위치한 보리밥 골목도 구수한 숭늉과 보리밥, 시레기 무침에 생채나물, 고추장, 꽁치구이 등 이 한상 가득해 옛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안동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유명한 곳이며 구시장 길목에 위치한 10여개의 떡볶이 포장마차도 젊은이들이 항상 붐비는 곳이다.
운흥동 안동역 앞에 위치한 갈비골목은 서울 반값으로 안동한우의 진 맛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현재 14개의 갈비식당이 운영되고 있으며 생갈비 1인분(200g) 22,000원이면 맛 볼 수 있어 많은 외지인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봉제사접빈객의 전통이 살아있는 안동에서 제사밥과 똑같이 제수음식을 준비해 비벼먹을 수 있도록 한 비빔밥의 일종인 헛제사밥은 실제 제사에 쓰이는 각종 나물과 미역부각, 상어고기, 가오리, 문어 등의 산적과 여기에 육탕, 어탕, 채탕의 삼탕을 고루 섞은 막탕이 나온다.
헛제사밥 골목은 안동댐 월영교 부근에 위치해 있다. 비록 헛제사밥 식당수는 3개에 불과하지만 한꺼번에 3백명 이상의 손님을 치를 수 있을 만큼 비교적 대형화가 잘 이루어진 곳으로 유교문화가 뿌리내린 안동 전통의 맛을 잘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여름철 최고의 보양식으로 알려진 황구골목은 옥야동 중앙신시장 안에 위치해 있다. 황구골목은 중앙신시장 현대화 사업과 함께 과거에 비해 정비가 잘 된 곳으로 5개의 보신탕집이 여름철 보양을 돋아 주고 있다.
특히 풍산장터 일원에서는 안동한우불고기의 참맛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지난 2007년 한우불고기 축제 이후 풍산장터 주변에 대형 음식점 3곳등 총 16곳의 한우전문점이 성업을 이루고 있어 하회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이 빠지지 않고 들르는 곳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밖에도 안동에는 안동의료원에서 화랑로에 이르는 음식의 거리에서 갈비, 안동국수, 해물탕, 추어탕 등 다양한 안동의 맛을 선보이고 있으며 안동댐 부근 와룡면 중가구리 동악골에는 민물고기 매운탕의 참 맛을 볼 수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