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테츠 특급형 전동차 12400계/12410계/12600계(서니카)
[미수집 편성] NN01, NN03, NN15 편성 / Last Update 241106
1. 제원
데뷔 - 1977년(12400계) / 1980년(12410계) / 1982년(12600계)
길이/폭/높이 - 20720 / 2800 / 4150
편성 - 4량편성(2M 2T)
영업최고속도 - 120km/h
설계최고속도 - 160km/h
가속도 - 2.5km/h/s
궤간 - 1435mm
전기방식 - 직류 1.5kV
주전동기 - 직류직권전동기 MB-3127-A(180kW)
편성출력 - 180kW * 4 * 2량 = 1,440kW(10량편성시)
기어비 - 3.81
제어장치 - 저항제어방식(미츠비시 ABFM-254-15-MDHA/B)
대차 - 슈릴렌방식 볼스터 에어스프링대차 KD-71F/KD-71G(12400계)
슈릴렌방식 볼스터 에어스프링대차 KD-83/KD-83B(12410계/12600계)
브레이크방식 - HSC-D 발전브레이크 병용 전자직통브레이크
신호장치 - 긴테츠형 ATS
수상 - 1978년 제21회 블루리본상 수상차량
긴테츠 12400계 전동차는 1977년부터 제조된 긴테츠의 범용 특급차량으로, 후속으로 제조된 12410계와 12600계와 같이 <서니카> 애칭으로 불리는 범용 특급 차량이다. 전산기호는 3차량 통틀어서 NN을 부여받았다.
우선 12400계는 노후화된 10100계를 교체하기 위해 도입된 범용 특급 차량으로, 4량편성으로 제조되었다. 원래는 12200계의 증비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차세대 특급차량인 비스타카 30000계의 도입구상으로 인하여 실내 구조 및 외관이 변경되어 제조되었으며 변경된 외관과 내부 구조에는 비스타카 30000계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다. 1978년에 21회 블루리본상을 수상하였다. 4량편성 3편성이 제조되었으며, 바로 12410계로 이행했으므로 소규모로 제조된 그룹이다. 12400계는 차체갱신을 1997~1998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2차 차체갱신은 2009~2010년에 행하였다. 또한 흡연실 설치공사를 시행하였으며, 행선판도 LED로 교체하였다.
그 다음으로 등장한 12410계는 1980년에메이한 갑특급(논스톱)용으로 제작한 차량으로 도카이도신칸센 이용객을 잡기 위해 신조되었다. 원래는 3량편성으로 제조되었으나 이후에 4량편성으로 증량되었다. 대차는 30000계에 채용한 KD-83이 채용되었다. 차체의 갱신은 2000~2002년에, 2차 차체갱신은 2015~2016년에 NN11~NN13편성에 한해서 실시되었다. 또한 22000계와 맞추어서 신도색화가 진행되었다.
다음 세대로 등장한 서니카의 개량형인 12600계는 1982년에 등장하였다. 교토선/카시하라선의 츠리카게식 구동 특급차량이었던 18000계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다. 4량편성으로 등장했으며 2편성 8량이 제조되었다. 이후에 어번라이너가 제조되었으므로 서니카 형태의 선두부를 가진 특급차량은 이 차량이 마지막이 되었다. 1차 차체갱신은 2002년에 진행되었고 2차 갱신은 2017~2018년에 진행되었다. 또한 22000계에 준한 도색변경도 이 때 같이 시공되었다.
2020년 3월부터 서니카 전 차량이 묘죠검차구로 전속되어 현재는 오사카난바/교토~카시코지마 방면의 특급열차와 나고야선 계통의 특급으로 운용 중이다.
2. 운행노선
긴테츠 나고야선/야마다선/오사카선 특급에 주로 운용.
3. 차량기지 / 편성표
긴키일본철도 묘죠검차구 소속.
12400계 NN01~NN03편성 4량편성 3편성 12량 운용.
12410계 NN11~NN15편성 4량편성 5편성 20량 운용.
12600계 NN51/NN52편성 4량편성 2편성 8량 운용.
서니카 계열 총 10편성 40량 운용.
4. 회원 투고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