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 반가운 통계 입니다.
왜냐 하면 제가 사용 하는 신금은 해수를 매우 좋아하여서 신금은 곧 해수라 할 정도의 이론을 후학에게 전수 햇는데.. 맥을 같이 하는 거 같습니다. 따라서 신금은 해수 상관과 친하여 남녀 불문하고 관성을 극하니 여성은 남성과 가정 보다 자신 위주이고 남성도 마찬 가지로 가정보다 자신의 기분에 결정을 내리는 것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니...이혼이 많은 것은 타당한 것 같습니다. 반대로 계수는 상관과 관성과 친하기 때문에 신금과는 조금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역산 유경준 ...
--------------------------------------------------------------------
깜딱하지마 .. 원본글..
경기대 석사 논문 중 명리이론과 궁합의 상관관계 연구에 따르면
이혼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본 결과..
남녀 공히 신금일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떤 이유가 있을지..
첫댓글 신금을 이기는 오행은 무엇인가요?
신금은 정화를 극히 싫어한다고 들었어요 ..
정화라고 볼수 있지만 상관이 있으면 유정합니다.
유경준님...상관[해수]위에 정화편관이 있는데도 둘이 유정하다고 볼 수 있는지요?
녜 유정합니다. 천간에 붙어 있는 정임합의 합살은 폭이 작고 정해가 더욱 합살의 공이 지대 합니다.
친절하신 답변 감사합니다.
계수
신금 일주는 혼자만 깨끗하려는 성분으로 상대의 가슴에 비수를 꼽는 말들을 많아하기에 상대에게 상처를 남깁니다.
또 신금 일주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성분이기에 더럽고 추잡한것을 가장 꺼리는 습성 때문일것입니다.
약간 상대를 찌르는듯한말...동감합니다..상처 마니받았음 ㅠㅠ..
네...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제가 신금일주인데 혼자 깨끗하려는 경향은 있네요. 눈물도 많고ㅠㅠ 그렇지만 성격 더럽지는 않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