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승유오 (知勝有五): 자고로 승리를 예측할 수 있는 다섯가지
故知勝有五: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 識衆寡之用者勝, 上下同欲者勝, 以虞待不虞者勝, 將能而君不御者勝, 此五者, 知勝之道也
(고지승유오: 지가이전여불가이전자승, 식중과지용자승, 상하동욕자승, 이우대불우자승, 장능이군불어자승, 차오자, 지승지도야)
Therefore, there are five factors that can predict vicory in war. The one who knows when to fight and when not to fight will win. The one who understands the effective use of large and small forces will triumph. When higher and lower ranks share a conmmon goal, their combined strength leads to victory. The unit that prepares for the unexpected triumphs over a unit that does not prepare. Victory belongs to the army whose general is competent and unhampered by the sovereign. The aforementioned five factors are the keys to foreseeing victory.
싸워야 할 때인지 아닌지와 용병법 알고
철저히 대비하며 적의 허점 기다리고
장수 유능하고 상하 일심동체면 이긴다
손자는 전쟁을 하기 전에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지를 미리 아는 다섯가지 길이 있다고 말한다.
첫째 '지가이전여불가이전자승 (知可以戰與不可以戰者勝)'은 싸워야 할 때(when to fight)와 싸우지 않아야 할 때(when not to fight)를 알면 이긴다는 말이다. 싸워야 할때인지 싸우지 않아야 할 때인지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것(the most important thing)은 승산의 유무(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ce of winning)다. 손자는 다산승(多算勝) 소산불승(少算不勝), 즉 승산이 많으면 이기고 승산이 적으면 이기지 못한다고 했다. 적의 의도와 능력(enemy's intent and ability), 강점과 약점(srengths and weaknesses), 전장환경(battlefield environment)과 주변 정세(the surrounding situation)를 정확히 분석하면 승산이 있고 없음을 분명하게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현대에는 시뮤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과학적으로 승산을 따져 보고 싸울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한다. 승산이 있어 이길 수 있으면 단기 결전으로(in a short decisive battle) 승리를 취하고, 승산이 없으면 무모하게 싸움을 벌이지 않는 것이 장수의 지혜다.
둘째 '식중과지용자승(識衆寡之用者勝)'은 대부대와 소부대의 용벙법을 아는자는 승리한다는 말이다. 여기서 손자가 말하는 소부대와 대부대는 단순히 부대 규모뿐 아니라 상대적인 전투력(relative combat power)의 우세와 열세(superiority and inferiority)도 포함한 의미다. 대부대는 규모의 우위(advantage of scale)를 활용해 강력한 압박(strong pressure)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되 기동성(mobility)과 유연성(flexibility)면에선 약점을 안고 있다. 소부대는 압도적인 적의 대부대(overwhelming enemy force)앞에서는 중과부적(衆寡不敵)이지만 예측이 어려운 전투 상황에서 효과작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agility)과 즉응성(responsiveness)이라는 강점을 갖고 있다. 손자는 이러한 대부대와 소부대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약점을 최소화하며 적과 상황에 맞게 유연한 전략과 전술을 구사할 수 있으면 승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셋째 '상하동욕자승(上下同欲者勝)'은 상하간에 일심동체이면 이긴다는 뜻이다. 손자의 이 가르침은 조직 내에서 상하 간에 목적의 일치(unity of purpose)와 단결의 중요성(the importance of unity)을 강조한다. 이 기르침은 임금과 장수,장수와 부하 사이의 의지와 목표가 통일될 때 전투력이 극대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잔는 이러한 단결이 전투의 승패를 결정짓는 (determinimg the outcome of battles) 핵심적 요소(key elements)임을 강조하며, 팀워크와 소통이 전체 부대의 결속력(cohesion)과 효율성(efficiency)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원칙은 조직 내의 모든 구성원이 하나의 목표를 향해 노력할 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심오한 뜻(profound meaning)을 내포한다.
넷째 '이우대불우자승(以虞待不虞者勝)'은 우리는 대비하고 적이 대비하지 않는 때를 기다리면 이긴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우(虞)'는 예상하다(expect), 경계하는(revigilant), 우려하는 (concerned) 등 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군사적인 예측, 경계 및 대비 등 적의 의도나 행동을 예상하고 적절히 대응한다(respond appropriately)는 뜻이다. 결국 철저히 대비하고 (prepare thoroughly) 경계하면서(stay alert) 적이 허점(loophole)을 드러낼 때를 기다리면 승리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장능이군불이자승(將能而君不御者勝)'은 장수가 유능하고 (competent)군주가 간섭하지 않는 (non-interferfering) 측이 승리한다는 말이다. 장수의 유능함은 정확한 전장 상황(battlefield situation) 파악능력(ability to grasp), 전략적 사고 (strategic thinking) 및 작전 구상 능력(operational planning ability), 결정적 작전 실행 능력(ability to execute dicisive operations)을 의미한다. 반면 군주의 불간섭은 장수에게 군사적 결정(military decision)과 작전 수행 권한을 위임함의로서 장수에게 군사전문성(military expertise)과 판단력(judgment)을 최대한 (to the maximum extent) 보장하는 것이다. 국가의 튼튼한 안보(nation's robust security)는 장수의 능력(gneralsl's competence)과 통수권자(commander-in-chief)의 영도력(supreme leadership)이 조화를 이름으로서 얻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군군신신(君君臣臣), 즉 군주는 군주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한다는 말은 여기서도 적용된다.
능력을 영어로 표현하면
'Ability'는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육채적(Physical), 정신적(mental). 법적(legal). 도덕적(moral). 재정적(financial) 능력을 이르며, 일반적인 의미의 능력을 말한다.
'Capability'는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역량이나 능력을 뜻한다. 특히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의 범위를 강조하는 어감의 능력을 말한다.
'Competency'는 역량이라고 표현할 수있는 말로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기술, 지식, 행동이 두루 가춰져 다양한 상황에 적절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으른다.
'Expertise'는 특정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심층 연구를 통해 쌓은 깊은 지식과 전문성,숙련도를 의미한다. 그런 사람을 전문가(expert)라고 한다. SME는 '주제전문가(Subject Matter Expert)'로 특정 주체의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뜻한다.
'Resourcefulness'는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창의 적이고 기민하게 대처해 해결책을 찾아내되, 혁신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예상치 못한 도전에 직면해서도 어떻게든 해결책을 찾아내는 자질 또는 수완을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