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애굽기(出埃及記Exodus) 독서 요약(要約) 줄거리
지난번 “창세기” 독후감에서 요셉이 애굽(埃及Egypt)에서 110세로 죽고 야곱의 후손들이 애굽에서 약 400년을 살게 된다고 하였다.
구약 성경에서 “출애굽기(出埃及記)”는 이집트의 노예(奴隸)로 된 이스라엘의 자손(子孫)들을 여호와 하나님의 명에 의하여 모세가 탈출(脫出)시키는 것을 말한다.
“출애급(出埃及)”을 엑서더스(exodus)라고 한다.
*엑서더스(exodus)―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탈출 하는 것
★출애굽(出埃及)의 역사적 배경
“출애굽(出埃及)”에 대한 역사적 배경은 야곱이 가족들을 이끌고 요셉이 총리로 있는 애급(埃及-Egypt)으로 이주하여 그 후손이 431년간을 살게 된다.
야곱의 자손들은 하나님의 약속대로 크게 번성하였고 요셉이 죽은 후 431년이 흐르는 동안
애굽(埃及Egypt)의 정치 체제도 많이 변하여 이스라엘 민족은 노예의 신분으로 전락(轉落)했다.
애굽왕 바로는 이스라엘 민족을 영구(永久)히 노예화할 방법을 모색하지만 하나님은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할 계획을 세운다.
야훼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이란 단지 이스라엘 백성을 애급에서 탈출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약속의 땅인 지금의 이스라엘 국가인 가나안(팔레스틴) 까지 인도하는 계획이다.
*야훼(여호와)-나는 스스로 있는 자
*바로(Paraoh)-태양 큰 집이라는 뜻
*모세(Mose)-물에서 건져 낸다는 뜻
*이스라엘(Israel)-하나님께서 투쟁한다는 뜻
*가나안-낮은 땅
*팔레스틴(Palestine)-성지라는 뜻. 아시아 서쪽, 지중해 동남쪽 기슭에 있는 지방
★출애굽(出埃及) 연대
“출애굽(出埃及)”의 연대(年代)는 약 3445년전인 BC 1445~1440년으로 보고 있다.
★출애급(出埃及)의 성경적 의미
“출애급(出埃及)”의 중요한 의미는 한마디로 말해서 “구원(救援)”을 의미한다.
야훼 하나님의 종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奴隸)로부터 구원(救援)하고 이스라엘 백성과 항상 함께하여 결국은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구원활동이
“출애굽기(出埃及記)”의 핵심(核心)이다.
출애굽기(出埃及記) 독서 요약(要約) 줄거리
★애굽 埃)으로부터 압제(壓制)받는 이스라엘
1장 1절~7절
요셉의 아버지 야곱이 가족을 데리고 요셉이 총리로 있는 애급(出埃)으로 이사한다
야곱의 아들들은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스블론, 베냐민, 단, 납달리, 갓, 아셀등이다.
이사할 당시에는 이미 애급에 있는 요셉까지 합하여 야곱의 혈속(血屬)들이 모두 칠십명이였다.
그후 세월이 흘러 야곱과 요셉 형제들은 다 죽고 이스라엘 자손들은 번성허여 애급 땅에 가득하였다.
그때에는 애급왕 바로도 이스라엘 백성을 모르는 왕이었다.
바로왕은 인구수가 늘어나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급의 적이 될까 두려워하여 별도로 감독관을 두어 관리하게 하고 노예 취급하기 시작했다.
바로왕은 이스라엘 여자가 아이를 낳으면 산파를 시켜 남자아이면 죽이고 여자아이는 살리게 하였다.
그러나 하나민의 은혜로 이스라엘 백성은 점차 그 수가 늘어나고 있었다.
*르우벤(Reuben)-나의 괴로음을 권고하다
*시므온(Shimeon)-하나님의 응답
*레위(Levi)-친함
*유다(Judah)-찬송
*잇사갈(ssachar)-값을 주심
*스블론(zvleron)-동거
*베냐민(enjamin)-행복
*단(Dan)-곡식
*납달리(Naphtali)-경쟁
*갓(gat)-행운
*아셀(Azazel)-기쁨
★모세의 출생
1장 1절~10절
이스라엘의 여자가 아들을 낳으니 그 얼굴이 준수하여 석 달을 숨겼으나 더 숨길수가 없어 나무상자에 넣어 갈대밭에 숨겼다.
그때 바로왕의 딸이 목욕 왔다가 나무상자의 사내아이를 보고 귀여워 유모에게 젖을 먹이고 키워 아들을 삼았다.
★모세가 미디안으로 도망가다
2장 11절~15절
모세가 장성 후에 애급사람이 노역(勞役)하는 히브리사람을 구타하는 것을 보고 의분(義憤)을 참지 못하여 애급사람을 처 죽이고 미디안으로 도망가다.
모세가 미디안 제사장 딸 일곱 중에 십보라와 혼인하여 아들 게르솜을 낳는다.
그동안 세월은 흘러 이스라엘 자손들은 노예로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격고 있다
*미디안(median)-다툼
*히브리(hybri)-건너오다
*십보라(Zipporah)-작은 새
*게르솜(Gershom)-나그네
★모세의 소명(召命)
3장 1절~ 22절
모세가 그 장인 미디안 집에 양을 치며 있을 때 여호와의 사자가 떨기나무 불꽃 가운데서 나타나시다.
애급에서 고통 받는 이스라엘 백성을 구하여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땅으로 가도록 이른다.
여호와는 모세에게 지팡이로 뱀이 되게 하고 문둥이 병이 낫게 하는 하나님의 권능을 보여준다. 모세가 자신은 말재주가 없다고 하자 모세의 형 아론을 대변인자로 선정한다.
그리고 이적을 행할 수 있는 지팡이를 준다.
장인 이드로를 떠나 애급으로 돌아간다.
*떨기나무(shrub)-키가 2~3m의 나무로 밑 둥에서 줄기가 많이 나믐 나무
*이드로(Jethro)-유명하다
★애급으로 돌아온 모세
4장 18절~31절
여호와는 모세에게 미디안에서 애급으로 돌아가라고 한다.
모세는 아내와 가족을 다리고 애급으로 돌아간다
여호와는 모세에게 하나님이 가르쳐준 이적을 바로왕앞에서 행하도록 명령한다.
모세가 애급으로 가는 도중에 광야에서 형 아론을 만난다.
애급으로 돌아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모으고 여호와가 이스라엘 백성을 애급으로부터 구할 것이라는 말을 전한다.
*아론(Aaron)-고상함
★바로의 거부
5장 1절~14절
모세와 아론이 바로왕에게 가서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어 광야(曠野)로 보내줄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바로왕은 여호와를 무시하고 이스라엘 백성을 풀어주지 아니한다.
설상가상으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노역 시키는 벽돌 만드는 재료를 주지 않고 스스로 구하여 벽돌을 만들게 하고 수량도 감하여 주지 않는 핍박(逼迫)을 가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와 아론이 바로를 화나게 하여 고생이 더 심하고 이스라엘 백성을 구하여 주지 않는다고 여호와와 모세를 원망한다.
*광야(曠野desolate plain)-황량한 들판
★언약의 재확인
6장 1절~13절
여호와가 바로에게 하나님의 힘을 보이겠다고 경고한다.
애급사람의 고역(苦役)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할 것을 말한다.
모세가 여호와의 말씀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나 믿지 아니한다.
모세와 아론은 재차 바로 왕에게 가서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켜줄 것을 요구하나 바로왕은 듣지 아니한다.
★모세와 아론의 계보
6장 14절~17
모세와 아론은 야곱의 아들인 르우벤의 자손이다.
*야곱(Jacob)-발 뒤축을 잡음. 거짓말쟁이
★바로 앞에선 모세
7장 1절~7절
모세와 아론은 다시 바로왕 앞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켜줄 것을 요청한다.
이때 모세의 나이는 팔십세이고 아론의 나이는 팔십삼세이다.
★모세와 아론이 바로왕앞에서 여호와의 여러 가지 이적을 보인다.
7장 8절~25절
모세와 아론은 이스라엘 백성을 애급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여호와의 능력으로 아래와 같은
이적을 행하다
☆뱀이된 지팡이
모세는 바로왕 앞에서 지팡이를 던져 뱀이 되게 한다.
바로의 술객들도 뱀을 만든다.
☆강물을 피가 되게 하다
모세와 아론이 여호와의 명에 따라 강물을 피로 물들게 하였다
고기가 죽고 악취가 만연하였다
바로의 술객들도 따라 하였다
애급 사람들은 강물을 마실 수가 없어 땅을 파서 물을 구하였더라.
☆개구리 재앙
8장 1절~15절
여호와가 모세와 아론에게 시켜 강물과 운하에 개구리들을 들끓게 하여 애급 땅으로 올라오게 하였다
바로의 술객들도 따라하였다
☆이(蝨) 재앙
8장 16절~19절
모세의 지팡이로 티끌을 처서 온 땅에 이가 들끓게 하였다
☆파리의 재앙
8장 20절~32절
모세가 여호와께 기도하여 파리 떼가 왕성하게 하다
☆악질 재앙
9장 1절~7절
여호와가 모세를 시켜 애급 안에 있는 모든 짐승에게 악질 전염병으로 죽게 하였다
☆독종 재앙
9장 8절~12절
모세와 아론은 재(灰)를 날려 애급의 모든 짐승에게 독종(毒腫)이 생기게 하였다.
☆우박 재앙
9장 13절~26절
모세가 하늘을 향하여 지팡이를 들매 여호와가 뇌성과 우박을 땅에 내려 짐승과 채소와 나무 등을 쳐서 꺾게 하였다.
☆메뚜기 재앙
10장 1절~20절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기 위해 메뚜기를 온 애급 땅에 퍼지게 하였다.
☆흑암 재앙
10장 21절~28절
모세가 하늘을 향하여 손을 들매 캄캄한 흑암(黑暗)이 삼일동안 온 애급 땅을 어둡게 하여 사람이 서로 볼 수 없게 하였다
그러나 바로왕은 성질이 더욱 강퍅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 시켜주지 않았다
*흑암(黑暗dark ness)-몸씨 껌껌함.
☆장자(長子) 죽음의 예고
11장 1절~10절
여호와는 모세에게 애급 가운데 사람이나 짐승에게 처음 난 장자(長子)는 모두 죽게 하겠다고 하였다.
★유월절(逾越節)의 제정
12장 1절~14절
여호와는 애급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이달로 너희에게 달(月)의 시작 곧 해(歲)의 첫 달이 되게 하였다.
여호와는 애급의 장자(長子)를 죽이기 위해 어린양을 잡아 그 피를 이스라엘 백성이 사는 집에는 문설주에 발라 표시를 하여두어 피해를 없게 하였다.
그리고 이날을 유월절(逾越節)이라 하여 기념하게 하였다.
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급 땅에 처음난 것 사람이나 짐승의 장자를 모두 죽였다.
이때 비로소 바로왕은 밤에 모세와 아론을 불러 이스라엘 백성들을 다리고 애급 땅을 떠나게 허락하였다.
*유월절(逾越節)-여호와는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시키기 위해 열 가지 재앙을 내렸다
마지막 장자를 죽이는 재앙을 내리기 위해 양(羊)의 피를 이스라엘 백성의 집 문설주에 바르게 하여 이 표시를 보고 넘어가서 애급의 장자만 골라 죽였다.
이날을 가념하여 지키는 절기다. 이날은 처음난 어린 숫양을 잡아 피는 문설주에 바르고 고기는 구워서 먹는다. 다음날부터 1주일동안은 누룩 없는 떡을 먹는다.
★애급 땅을 떠나는 이스라엘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애급 땅 라암셋에서 모여 떠나게 되었는데 어린아이를 제외한 보행(步行)하는 장정이 육십만 명 이었다. 많은 가족과 양과 소와 많은 생축이 함께 하였다.
그들은 급한 김에 누룩 없이 발효되지 않은 빵구웠으니 이는 그들이 애급을 탈출함으로 지체 할 수가 없어 양식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형편이었다.
이스라엘 자손이 요셉이후 애급에 거주 한 세월 430년만에 애급땅을 나오게 된 것이다.
이 유월절 밤은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의 인도로 해방된 날이므로 철저히 지키라고 명하였다.
*라암셋(Raamses)-애급의 동북부 고센 지방의 한 성읍 이름
★유월절(逾越節) 규례(規例)
12장 43절~ 51절
여호와는 모세와 아론에게 유월절(逾越節)을 지키는 규례(規例)를 정허여 주었다.
모든 사람은 돈으로 산 각 종(種)은 할례(割禮)를 받은 후에 먹어야 한다.
이스라엘 백성 외는 먹지 못하리라
한집에서 먹되 그 고기를 조금도 집 밖으로 내지 말고 뼈도 꺾지 말라
이스라엘 회중이 아 이것을 지킬 것이니라.
타국인도 유월절을 지키고자 하거든 모든 남자는 할례(割禮) 받은 후에 지켜야 한다
*할례(割禮circumcision)-이스라엘 남자는 태어난 지 여드레 만에 생식기 끝의 껍질을 끊어내는 종교적 습관이다. 포경수술이다.
★초태생((初胎生)의 구별
13장 1절~10절
여호와는 모세에게 말하기를 이스라엘 자손 중에 사람이나 짐승이나 막론하고 처음 태어난 것은 다 거룩한 것이니 구별하여 여호와에게 바치라고 하였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르기를 애급 종으로 있다가 해방된 기념을 잊지 않기 위해서 7일간은 누룩이 들어있는 부푼 빵(유교병(有酵餠))을 먹지 못하게 하였다.
*초태생((初胎生first born)-모태(母胎)에서 처음으로 태어난 것
★홍해를 건너다
13장 11절~16절
모세가 애급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홍해의 광야 길로 인도 하였다.
모세는 애급을 떠나올 때 요셉의 유골을 가지고 나왔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는 길 앞에는 여호와가 낮에는 구름기둥으로 밥에는 불기둥으로 길을 인도하였다.
*홍해(紅海Red Sea)-갈대의 바다라는 뜻. 아시아와 아프리카 사이에 있는 좁은 바다로서 성경과는 아주 인연이 많은 바다이다. 이스라엘은 몇 번이고 이 홍해를 건넌 것이 하나님의 은총이라고 회상하고 있다. 오늘날 스에즈 운하와 연결되는 것이다.
14장 1절~20절
이스라엘 백성이 애급을 출발하여 홍해 맞은편에 장막(帳幕)을 쳤다.
애급왕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을 그냥 놓아 보낼 수 없다 생각하고 병거(兵車)를 갖추어 뒤를 추격하여 오고 있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앞에는 홍해가 가로 막고 있고 뒤에는 애급의 군인들이 추격하여 왔다
진퇴양난을 이를 두고 한 말이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외쳤다
두려워 말고 가만히 서서 여호와께서 오늘날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을 보라
여호와는 모세에게 말하였다
너는 어찌하여 내게 부르짖느냐!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여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네가 가지고 있는 지팡이로 바다위로 내밀어 바다를 갈라지게 하라!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가운데 육지로 가게 되리라 !
모세가 바다위로 손을 내어 밀 때 여호와께서 큰 동풍으로 밤새도록 바닷물을 물러가게 하시니 물이 갈라져 바다가 마른땅이 된지라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가운데 육지로 향하고 물은 그들의 좌우에 벽이 되었다.
그 뒤로 애급의 병사들과 말이 뒤쫓아 들어왔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네 손을 바다위로 내밀어 물이 애급 군사들 위에 다시 흐르게 하라
모세가 곧 손을 바다위로 내밀매 물이 애급 병사들을 덮어 한사람도 살아남기지 않았다.
그날에 여호와께서 이같이 이스라엘을 애급 사람의 손에서 구원하니 이스라엘이 바닷가의 애급사람의 시체를 보았더라.
*장막(帳幕)-볕이나 비를 막도록 둘러치는 막.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법궤(法櫃)를 모셨던 거룩한 처소로서 모세가 하나님의 명을 받아 지었다. 이는 광야를 여행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쉽게 옮길 수 있도록 지었으며 내부는 휘장으로 성소(聖所)와 지성소(至聖所)를 구분했고 법궤는 지성소에 안치했다.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
15장 1절~21절
미리암의 노래는 홍해를 건널 때 부른 승리의 노래다.
여호와는 나의 힘이요 나의 구원이시로다.
여호와는 용사이시니 여호와는 그의 이름이시로다----이하 생략
15장은 미리암의 노래다.
*미리암(Miriam)의 노래-높다의 뜻. 홍해를 건널 때 부른 승리의 노래
★마라와 엘림
15장 22절~27절
모세가 홍해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여 광야로 들어갔으나 물을 얻지 못했고, 마라에서는 그곳 물이 써서 마시지 못했다.
백성들이 마실 물이 없자 모세를 원망했다.
그들이 다시 엘림에 이르니 거기 샘물 열둘과 종려나무 70주가 있어 그곳에 장막을 쳤다.
*수르(Tyre)-바위.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 첫 번 이곳에 진을 쳤다가 물이 없어 라마로 갔다.
*마라(Marah)-쓰다. 홍해를 건넌 후 이스라엘이 처음 숙소를 정했던 곳
*엘림(elim)-큰 나무.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후 두 번째로 진을 쳤던 곳인데 열두 우물과 70주의 종려나무가 있다.지금의 오아시스와 같은 곳이다.
*종려(棕櫚hemp palm)나무-야자과의 상록교목.
★만나와 메추라기
16장 1절!12절
이스라엘 백성이 애급에서 나온 후 제이월 십오 일이다.
엘림과 시내산 사이에 있는 신광야에 이르다
그러나 물도 귀하고 먹을 것도 부족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은 오히려 애급에서 종살이 하면서 배불리 먹던 것을 생각하며 모세를 원망하였다.
인간의 생각이 이처럼 간사하다.
이때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양식을 비 같이 내리니 곧 만나와 메추라기였다.
만나는 이스라엘자손이 광야에서 가나안까지 가는 40년 동안 먹었다
*만나(manna)-이스라엘 백성이 애급에서 나와서 광야에서 먹은 양식으로 서리같이 고운 가루
*메추라기(Quail)-꿩과의 새(메추리)
*시내산(Mount Sinai)-홍해 북쪽에 돌출한 산. 이스라엘 백성이 이 산에서 1년간 있는 동안 여호와께서 모세를 불러 십계명과 율법을 주셨다.
★반석에서 나온 물
17장 1절~7절
이스라엘 백성이 신 광야에서 떠나 르비딤에 장막을 쳤으나 마실 물이 없었다.
백성들이 모세에게 먹을 물이 없다고 불평과 원망을 하다.
모세에게 견디다 못하여 여호와께 물이 없다고 하소연을 하다
여호와가 모세에게 말하기를 호렙산 반석(盤石)을 치면 바위에서 물이 나올 것이라고 일러준다. 모세가 그대로 행하니 물이 나와 백성들을 먹이다.
*르비딤(Rephidim)-평야(平野)의 뜻. 시내 광야와 신 광야 사이에 있던 이스라엘 백성의 유숙지(留宿(地)
*호렙산(Horeb mt)-건조지(乾燥地)뜻. 이스라엘 백성이 애급을 탈출 시에 있던 성산(聖山)인데 시내산과 구별된 역사적 증거가 없다.
★아말렉과의 전쟁
17장 8절~16절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의 어려운 생활 중에 아말렉족이 쳐들어왔다
모세는 여호수아로 하여금 상대하여 싸우게 하였다.
모세와 아론은 전쟁터가 내려다보이는 산꼭대기에 올라가서 모세가 손을 들면 이스라엘 군대가 이기고 손을 내리면 아말렉이 이겼다.
모세의 팔이 피곤하여 아래로 쳐지므로 돌을 가져다가 팔을 고여 높이니 이스라엘 군대가 이겼다.여호와가 이 권능을 책에 기록하게 하였다.
모세는 전쟁승리의 기념으로 단을 쌓고 이름을 여호와닛시 라고 이름하였다
*아말렉(Amalek)-호전적(好戰的)인. 골짜기에 사는 자.
*여호수아(Jehoshua)-여호와의 구원. 에브라임 지파 눈의 아들로서 본명은 “호세아”다. 모세의 수종자가 되어 항상 모세 곁에 있었다.
★이드로의 방문
18장 1절~ 27절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애급에서 탈출시키어 광야에 있다는 말을 듣고 그의 장인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가 모세의 아내 십보라와 두아들 게르솜과 엘리에셀을 다리고 광야로 왔다.
이드로가 번제물로 여호와께 감사의 제사를 드린다.
모세가 백성들의 잘못에 대하여 직접 재판하는 것을 보고 이드로가 모세에게 말하기를
직접 재판하지 말고 중간 책임자인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장 십부장을 두어 통솔하도록 권하니 모세가 장인의 말을 듣고 각 책임자를 둔다.
모세는 장인 이드로를 그의 고향으로 돌려보낸다.
*이드로(Jethro)-유명하다. 모세의 장인.
*십보라(Zipporah)-작은새. 모세의 아내
*게르솜(Gershom)-나그네됨. 모세의 장남
*엘리에셀(liezer)-하나님이 도우시는 사람. 모세의 둘째 아들
*천부장-천명의 부하를 거느린 지휘관
*백부장-백명의 부하를 거느린 지휘관
*오십부장-오십명의 부하를 거느린 지휘관
*십부장-십명의 부하를 거느린 지휘관
★시내산에 도착한 이스라엘 백성
19장 1절!6절
이스라엘 백성이 신광야인 르비딤을 떠나 시내산 광야에 장막을 치다.
여호와가 모세를 불러 여호와의 말을 순종하여야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것을 명령하다.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의 장로들을 불러 여호와의 말씀을 전달한다.
여호와가 모세에게 옷을 깨끗이 빨아 입고 정결하게 기다리면 스스로 백성 앞에 강림하겠다고 한다.
그리고 시내산에 함부로 오르면 죽임을 당한다고 한다.
여호와 몸에 손을 대면 돌에 맞아 죽는다고 한다.
모세가 산에서 내려와 백성들에게 여호와의 말씀을 그대로 전한다.
제 삼일 후 아침에 우레와 번개가 나고 시내산에 연기가 자욱하며 불 가운데서 여호와가 강림하시다.
그리고 모세를 부르다.
여호와가 모세에게 말하기를
내려가서 백성을 신칙(申飭)하라.
백성들이 나에게 가까이 못 오게 하라. 죽는다.
제사장들의 몸을 성결(聖潔)케 하라. 그렇지 않으면 여호와가 친다.
*시내산-가시나무 숲의 뜻
*신칙(申飭)-단단히 일러 경계함
★십계명(十誡命)
20장 1절~17절
여호와가 위의 모든 말씀을 한 후에
나는 애급 땅에서 종살이 하던 너희들을 구한 여호와니라
1.너는 나 외에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
2.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속에 있는 것의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며
3.그것들에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나 여호와 너의 하나님은 질투하는 하나님인즉 나를 미워하는 자의 죄를 갚되 아비로부터 아들에게로 삼사 대까지 이르게 하거니와 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대(千代)까지 은혜를 베푸느니라.
4.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나 여호와는 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
5.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 할 것이나 제칠 일은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너나 네 아들이나 네 딸이나 네 남종이나 네 여종이나 네 육축이나 네 문(門)안에 유하는 객이라도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제칠 일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그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
6.네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
7.살인(殺人)하지 말지니라
8.간음(姦淫)하지 말지니라
9.도적질하지 말지니라
10.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
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지니라 네 이웃의 아내나 그의 남종이나 그의 여종이나 그의 소나 그의 나귀나 무릇 네 이웃의 소유를 탐내지 말지니라.
★참된 제사를 요구하시는 하나님
20장 22절~26절
여호와가 모세에게 당부하기를 내가 하늘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말하는 것을 친히 들었다
너희들은 은(銀)이나 금(金)으로 너희를 휘하여 신상(神像)을 만들지 말라
그리고 흙으로 제단(祭壇)을 쌓아 양(羊)과 소(牛)로 번제(煩提)와 화목제(和睦祭)를 내게 드려라
돌로 제단을 쌓을 때는 정으로 다듬은 돌로 쌓지 말라 부정 탄다
제단(祭壇)밑에 돌층계를 만들지 말라
네 하체(下體)를 나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번제(煩提)-구약시대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법의 하나로 희생(犧牲)의 제물을 불에 태워드렸다.
*화목제(和睦祭)-화합고 화목하는 제사. 예수님께서 화목제물이 되셨다.
★남종과 여종에 대한 자세
21장 1절!23절 33절
히브리인을 종으로 사면 6년 후에는 자유롭게 하여 주어라
주인이 여자를 종에게 주어 자녀를 두었으면 내 보낼 때 여자와 자녀는 주인에게 두고 혼자만 내어 보낸다.
만일 종이 자기 아내와 자식과 같이 가기를 원하면서 주인과 헤어지기를 원하지 않으면 재판장 앞에서 송곳으로 귀를 뚫어 영원히 상전을 섬기도록 맹서한다.
종이 자기 딸을 여종으로 팔았으면 남종에게 오지 못하며 주인이 그를 기뻐아니하여 상관하지 아니하면 팔린 여종의 몸을 자유롭게 할 것이나 그 여종은 다른 나라에는 팔지 못한다.
만일 여종을 자기 아들에게 주기로 하였으면 그를 딸같이 대접할 것이요
주인이 여종에게 장가들면 동침하는 것을 거절 못한다.
★사형에 해당하는 죄
21장 12절~25절
사람을 죽인 자는 반드시 죽여야 한다.
만일 계획 없이 실수로 죽였다면 여호와가 정하는 곳으로 도망할 지니라
이웃을 미리 계획하여 모살(謀殺)하였으면 제단(祭壇)에서 끌어내어서라도 죽여야 한다.
자기 부모를 죽인 자는 반드시 죽여야 한다.
사람을 후린(유괴)자가 그 사람을 팔았던지 자기 수하에 두었든지 그를 반드시 죽여야 한다.
부모를 저주(咀呪)하는 자는 반드시 죽일지니라.
사람이 서로 싸우다가 한쪽이 돌이나 주먹으로 상대방을 쳤으나 그가 죽지 않고 지팡이를 짚고 기동하면 그를 친자가 형벌은 면하되 그 아픈 기간동안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주인이 매로 남자종이나 여자종을 쳐서 죽으면 반드시 형벌을 받는다.
종이 일어나 일을 하면 주인은 형벌을 면한다. 종은 상전의 금전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서로 싸우다가 아이밴 여자를 다쳐 낙태케 하였으나 다른 해가 없으면 재판장의 판결대로 벌금으로 대신한다.
그러나 다른 해가 있으면 갚아야 되는데
생명은 생명대로,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손은 손으로, 발은 발로, 데운 것은 데움으로, 상(傷)하게 한 것은 상함으로 때린 것은 때림으로 갚는다.
*후린-유괴(誘拐)
※참고사항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에 “눈에는 눈으로 이에는 이로”라는 말이 있다고 하나 코란에서는 보지 못했다, 그리고 코란은 서기 610년경에 만들어 졌기 때문에 BC1445년에 기록된 출애급기와 년대 차이가 많이 난다.
고대 바빌로니아 제1왕조의 제6대 왕인 함무라비왕(HammurabiBC 1792∼BC 1750)이 그의 만년인 BC 1750년경의 성문법인 함무라비법전(Code of Hammurabi)에 “눈에는 눈으로 이에는 이로”라는 말이 있다.
그리고 한의학에서 황제내경(黃帝內經BC 202∼)에
以毒制毒(이독제독)-독으로 독을 치료함.
以熱治熱(이열치열)-열은 열로써 다스림.
以夷制夷(이이제이)-오랑캐로 오랑캐를 제지함.
글이 있으나 출애급기와 년대 차이가 많이 난다.
논어(論語BC770~BC221) 헌문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으로
以直報怨(이직보원)-원망하는 이에 대해서는 공명정대한 태도로 보복하고
以德報德(이덕보덕)-은혜를 입은 이에게는 은혜로써 보답하라
라는 게 있다. 역시 출애급기와 년대 차이가 많이난다.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희극 중에 “자(尺)에는 자(尺)로(Measure for measure)”라는 작품이 있는데 “법에는 법으로”라는 뜻다.
이작품 역시 1604년작이므로 출애급기와 년대와 관계가 없다.
다만 연대가 앞서는 BC 1750년경 기록한 함무라비법전(Code of Hammurabi)에 “눈에는 눈으로 이에는 이로”라는 말을 출애급기 기자가 인용한 것이 아닌가 추측이 간다.
필자 주
★소유주의 책임에 관한 규례
21장 26절~36절
주인이 남자종이나 여자종의 눈을 쳐서 상하게 하면 그 눈대신 종을 자유롭게 한다.
남자 여자종의 이빨을 쳐서 상하게 하여도 종을 자유롭게 한다.
소가 사람을 받아 죽이면 그 소를 돌로 쳐서 죽일 것이다
소를 단속하지 못한 주인도 같이 죽일 것이다.
만일 속죄금을 내면 소만 돌로 쳐 죽인다.
이 사람의 소가 저 사람의 소를 받아 죽이면 산소를 팔아 반으로 서로 나누고 죽은 소도 반으로 나눈다.
주인이 소가 받는 버릇이 있는 줄 알고도 그 임자가 단속하지 아니하였으면 주인은 자기소로 상대방에게 갚을 것이요 죽은 것은 주인의 소유가 된다.
★배상법에 관한 규례
22장 1절~15절
사람이 소나 양을 도둑질하여 팔아먹으면
소 한 마리에 다섯 마리로 양 한 마리에 네 마리로 갚는다.
도적이 뚫고 들어옴을 보고 그를 쳐서 피를 흘리면 죄가 없으나
해가 돋은 후이면 피 흘린 죄가 된다.
도적은 반드시 배상해야 하나 배상할 돈이 없으면 몸을 팔아서라도 배상해야 한다.
만일 도적질한 소나 양이 살아있으면 갑절을 배상해야 한다.
사람이 자기 짐승을 남의 포도원이나 밭에 먹이다가 포도원을 망치면 자기 밭의 제일 좋은 것으로 배상해야 한다.
남의 밭에 불을 놓아 농사를 망치면 불 놓은 자가 배상한다.
사람이 돈이나 물품을 이웃에게 맡겨 지키다가 도적맞았으면 재판장의 판결에 의한다.
물건을 이웃사람에게 맡겨 지키게 하였다가 상하거나 도적질 당하면 여호와 앞에 결백함을 맹서한다.
*봉적(逢賊)-도적을 만남
★인간관계에 대한 법
22장 16절~31절
사람이 정혼하지 아니한 처녀를 꾀어 동침하였으면 빙폐(聘幣)를 드려 아내로 삼을 것이요
만일 그 아비가 딸을 주기를 거절하면 그는 딸에게 빙폐(聘幣)값을 주어야 한다.
너는 무당을 살려 두지 말지니라.
짐승과 음행(淫行)하는 자는 반드시 죽일지니라.
여호와에 다른 신에게 희생(犧牲)을 드리면 죽일지니라.
이방나그네를 학대 하지 말라. 너희도 애급 땅에서 나그네였다
너는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지 말라
여호와의 노(怒)가 맹열하므로 내가 칼로 너희를 죽이리니 너희 아내는 과부가 되고 너의 자녀는 고아가 되니라
네가 남에게 돈을 빌려주면 채주(債主)같이 하지 말고 이자를 받지 말라
네가 만일 이웃의 옷을 전당(典當) 잡거든 해가 지기 전에 그에게 돌려주어라
너는 재판장을 욕하지 말며 백성의 유사(有司)를 저주하지 말지니라.
너의 추수한 것과 처음난 아들을 내게 줄지어다.
너의 소와 양들도 칠일동안 어미와 함께 있게 하다가 팔일만에 내게 줄지어다.
너희는 내게 거룩한 사람이 될지니 들에서 짐승에게 찟긴 고기를 먹지 말고 개에게 던질 지어다.
*빙폐(聘幣)-혼인때 신랑이 신부를 데려오기 위해 신부 집으로 보내는 예물
*유사(有司)-하나님의 총회에서 뽑은 행정 지도자들
★재판의 공정성
23장 1절~13절
너는 허망한 풍설을 전파하지 말며
악인과 연합하여 무함하는 증인이 되지 말라
다수를 따라 악을 행하지 말며 송사(訟事)에 다수를 따라 부정당한 증거를 하지 말라
가난한자의 송사라고 편벽(偏僻)되이 두호(斗護)하지 말라.
*편벽(偏僻)-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
네가 만일 미워하는 자의 나귀가 짐을 싣고 엎드러짐을 보거든 그냥 버려두지 말고 그를 도와 그 짐을 부릴지니라
너는 가난한자의 송사라고 공평(公平)치 않게 하지 말며
거짓일 을 멀리하며 죄없는 자와 의로운 자를 죽이지 말라 나는 악인을 의롭다 하지 아니하겠노라.
너는 뇌물을 받지 말라.
뇌물은 밝은 자의 눈을 어둡게 하고 의로운 자의 말을 굽게 하느니라.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라 너희가 애급 땅에서 나그네 되었던 처지를 생각하라.
너는 6년 동안은 너의 땅에 파종(播種)하여 그 소산을 거두고.
제칠 년에는 갈지 말고 묵여두어서 네 백성의 가난한 자로 먹게 하라.
너의 포도원과 감람원도 그리할지니라.
너는 6일 동안에 네 일을 하고 제칠일에는 쉬라.
네 소와 나귀가 쉴 것이며 네 계집종의 자식과 나그네가 숨을 돌리리라.
내가 네게 이른 모든 일을 삼가 지키고 다른 신들의 이름은 부르지도 말며 네 입에서 들리게도 말지니라.
*두호(斗護)-두둔한다는 뜻
★지켜야 할 세 명절
23장 14절~19절
너는 매년 삼차 내게 절기를 지켜라
무교병(無酵餠)의 절기를 지켜라
내가 네게 명한대로 아빕 윌의 정한 때에 칠일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이는 그달에 네가 애굽에서 나왔음이라
맥추절(麥秋節)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밭에 뿌린 것의 첫 열매를 거둠이니라.
수장절(收藏節)을 지키라
너희는 내 희생의 피를 유교병(有酵餠)과 함께 드리지 말며 내 절기 희생의 기름을 아침까지 남겨 두지 말라
너의 토지에서 처음 익은 열매의 첫것을 여호와전에 들릴지니라
너는 염소새끼를 어미의 젖으로 삶지 말라
*무교병(無酵餠)-누룩을 넣지 않고 만든 빵으로 부풀지 않음
*압입-유대인의 월력으로 정월에 해당한다.
*맥추절(麥秋節)-무교절이 끝난 뒤로부터 49일이 지난 후인 50일째 되는 날 지키는 절기
*수장절(收藏節)-가을 추수가 끝난 뒤인 일곱째달 (9월 중순~10월 중순)
★가나안 땅에서의 주의 사항
23장 20절~33절
내가 사자를 네 앞에 보내어 길에서 너를 보호하여 가나안에 이르게 하리라
나의 사자가 네 앞서 가서 너를 아모리 사람과 헷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가나안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에게로 인도하고 나는 그들을 끊으리라
너는 그들의 신을 숭배하지 말며 섬기지 말라
너의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라
그러면 네 나라에 낙태하는 자가 없고 잉태지 못할 자가 없을 것이라
네가 번성하여 그 땅을 기업으로 얻을 때 까지 내가 그들을 네 앞에서 조금씩 쫓아내리라
*아모리(Amorite)-산중 사람뜻.가나안이 아모리 족속의 조상등 11족속의 조상을 낳았다
*헷(Hittites)-두려움의 뜻. 구약성경에서 이민족과의 역사를 대조하여 보면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가나안 원주민 10족속중에 참예한다.아브라함이 헷족속에게서 막벨라굴을 샀다
*브리스(Vries)-마음에 속한. 가나안 원주민
*히위(Hivites)-촌사람. 가나안 7족속중의 하나인 히위족속의 거주지
*여부스(Jebus)-짓밟힌.예루살렘의 옛 이름인 동시에 가나안 7족속중의 한 이름
★시내산에 오른 모세
24장 1절~18절
여호와가 모세에게 이르시기를
너는 이스라엘 장로 70인과 여호와에게로 올라 와서 멀리서 경배 하고
너 모세만 여호와께 가까이 오라
모세가 여호와의 말씀을 기록하고 이른 아침에 산 아래 단을 쌓고 이스라엘 십이지파대로 열두 기둥을 세우고 여호와께 화목제를 드렸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산에 올라 내게로 오라
너로 하여금 이스라엘 백성들을 가르치려고 내가 율법과 계명(誡命)을 친히 기록한 돌판을 네게 주리라.
모세가 그 종자 여호수아와 함께 하나님의 산으로 올라가며 장로들에게 아론과 함께 있으라고 당부하였다.
모세가 산에 오르매 구름이 산을 가리며 여호와의 영광이 시내산 위에 머무르고 구름이 육일동안 산을 가리우더니 제칠일에 여호와께서 구름가운데서 모세를 부르시니라.
모세는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40일 40야를 산에 있으니라
*계명(戒名)-하나님의 명령 특히 율법 십계명
★이스라엘이 드릴 예물
25장 1절~9절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하시기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여 내게 예물을 갖어오게 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내는 자에게서 내게 드리는 것을 너희는 받을 지니라.
내게 바칠 예물은 금,은 놋청자홍실과 가는 베실과 숫양의 가죽 해달의 가죽 염소털 조각목(皂角木), 등유 관유에 드는 향품과 분향할 향품 호마노 에봇과 흉패에 물릴 보석이다.
그것들로 내가 거할 성소를 지어라
*조각목(皂角木)-아카시아나무의 일종
*호마노(Onyx)-반귀금속 옥수 보석의 한가지
*에봇(Ohod)-신탁 계시
*관유(灌油)-희생제사때 쓰는 기름 올리브유를 말한다.
★증거궤(證據櫃)
25장 10절~22절
이스라엘 백성들은 조각목(皂角木)으로 궤를 만들었다.
정금(精金)으로 궤의 안팎을 싸고 금으로 테를 둘렀다.
정금(精金)으로 속죄소(贖罪所)를 만들어 궤속에 넣었다
*정금(精金)-정금이 상징하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속죄소(贖罪所)-화해의 장소로 속죄의 제사를 드리는 곳
★진설병(陳設餠)을 놓는 상
25장 23절~30절
조각목(皂角木)으로 제사음식을 차릴 상을 만들다
*진설병(陳設餠)-얼국의 떡이라는 의미로 성소에 떡을 차려 놓는 상
★등대(燈臺)
25장 31절~40절
정금(精金)으로 제사시에 불을 밝힐 등잔대를 만들다.
★성막(聖幕)
26장 1절!37절
성막을 만들다.
성막은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궤와 속죄소를 덮고 있는 천막으로서 그 내부는 아름다운 천으로 장식된다. 성막 외부의 덮개는 이중으로 되어 있는데 안쪽은 붉게 물들인 숫양 가죽으로 바깥쪽은 해달의 가죽으로 만들었다.
*성막(聖幕)-성전을 짓기까지의 임시 성전
★번제단(燔祭壇)
27장 1절~8절
조각목(皂角木)으로 이동하기에 편리하게 제작된 제단이다.
번제단에서도 여호와의 임재의 성격을 볼 수 있다
*번제단(燔祭壇)-불에 태운 제물을 드리는 제단
★성막(聖幕)의 뜰
27장 9절~19절
성막의 뜰은 여호와께서 비록 일시적이지만 잠시 거주하는 유일한 장소이다
이 뜰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회집(會集)시키는 장소이다.
성막의 뜰에는 이스라엘 백성이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었다. 번제단의 희생제사를 통하여 백성들은 하나님께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구원의 장소 생명의 장소로 상징된다.
★등불 기름
27장 20절~21절
감람(橄欖)으로 찧어낸 순결한 기름 등불을 켠 대(臺),
여호와 앞에서 밤새도록 타오르는 등불은 성소 안에 간직하도록 하였다.
*감람(橄欖)-감람나무의 열매 푸른빛이 나는 타원형의 열매로 맛이 좀 쓰고 떫으며 먹을수록 단맛이 난다.
★제사장(祭司長)의 옷, 흉패, 겉옷 패, 속옷, 관, 띠
28장 1절~43절
여호와는 현존해 계시며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임재에 응답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제사장의 옷은 두 가지 사실을 상징한다. 하나는 제사장 직분의 권위를 상징하며 다른 하나는 그 권위의 원천에 대한 제사장의 직분의 끊임없는 순종을 상징한다.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과 아론의 아들들을 불러 이른다.
하나님은 모세로 하여금 각 제사장마다 옷을 입히고 기름을 부어 위임식을 행하여 제사장 직분을 감당하도록 하였다.
*제사(祭司)-하나님께 백성을 대신하여 제사를 드리는 던 사람
*제사장-제사(祭司)들 중의 우두머리
★제사장(祭司長) 직분의 위임
29장 1절!34절
제사장 직분의 위임식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장소에서 절차에 따라 거룩하게 진행된다.
이런 의식을 진행하는 이유는 제사장들로 하여금 백성들을 대표하여 기름부음을 받아 백성들을 대신하여 하나님 앞에서 예배의 직무를 감당하기 위해서다.
먼저 아론과 그 아들들은 몸을 깨끗이 한다음 예복을 입고 희생제물들을 갖추어 위임식을 준비한다. 그리고 숫양 한 마리를 그들을 대신하여 번제단 위에 태움으로써 여호와께 완전한 헌신을 상징하는 화제(火祭) 제사를 거행한다.
제사장 직분의 위임식은 7일동안 계속된다.
회막문에서 번제와 소제(素祭)와 전제(奠祭)를 날마다 드리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다.
*기름부음-기름을 머리에 부어 부어 왕이나 제사장을 지도자로 세움
*소제(素祭)-볶은곡식의 이삭과 기름으로 드리는 제사. 기름과 유향과 함께 드리며 소금을 반드시 첨가한다. 기름은 성령을 소금은 변치 않은 언약을 상징한다.
*전제(奠祭)-포도주나 기름을 부어드리는 제사로 짐승으로 드리는 희생물과 과자를 수반한다
★향단(香壇)
30장 1절~10절
너는 분향(焚香)할 단을 조각목(皂角木)으로 만들어라
분향(焚香)은 기도(祈禱)를 상징한다.. 계속 타오르는 향(香)은 하나님의 앞에서의 끊임없는 기도를 의미한다.
*향단(香壇)-하나님앞에 향을 피우는 단
*분향(焚香)-향(香)을 피우는 것
★생명의 속전(贖錢)
30장 11절~17절
여호와가 모세에게 말한다.
네가 이스라엘 자손의 수효를 따라 그 사람의 생명의 속전(贖錢)을 여호와께 드려라.
생명의 속전(贖錢)이란 하나님의 임재(臨在)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적 신앙 고백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구조사를 통하여 자신들을 구권해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생명의 속전(贖錢)-속전이란 “덮어버리다”의 뜻으로 죄를 벗어나려고 바치는 돈
★물두멍
30장 17절~21절
여호와가 모세에게 말하기를
너는 물두멍과 그 받침을 놋으로 만들고 손을 씻게 그 속에 물을 담아라.
제사장이 여호와 앞에 나아갈 때는 손과 발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죽임을 당한다. 왜야하면 부정한 손과 발로 성물(聖物)을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물두멍(caudron)-물을 길어 넣고 쓰는 큰 가마
★관유향(灌油香)
30장 22절~38절
하나님께 바치는 관유(灌油)와 향(香)은 거룩한 것이므로 특별한 제보법에 의하여 최상의 품질로 만들어야 한다. 성막(聖幕)에 있는 다른 기구들처럼 관유와 향도 하나님만을 위해 거룩하게 사용해야 되기 때문이다.
*관유향(灌油香)-관제(灌祭)에 쓰는 향
관제(灌祭)-각종의 희생제(犧牲祭)중의 하나로 포도주를 부어 드리는 제사
★공교(工巧)한 일꾼들
31장 1절~11절
성막에 있는 모든 재료들이 최상의 것이어야 함과 같이, 장인(匠人)들도 최고의 것을 만들어 내어야 한다. 하나님의 영으로 충만한 브살렐의 인도 아래 성막은 완성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성막은 하나님과 사람이 같이 만들어 내는 합작품이 되ㄹ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명령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인간의 오류나 실수는 전혀 잇을 수 없다.
*공교(工巧unexpectet)-뜻 밖에 맞거나 틀리다.
*장인(匠人artisan)-물건을 만드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브살렐(Bezalel)-성막치는 감독
★안식일(安息日)에 관하여
31장 12절~17절
여호와는 모세에게 이르기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나와 너희 사이에 너희 대대의 표징(表徵)이니 나는 너희를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인줄 너희로 알게 함이라.
하나님은 모든 지시사항을 마무리하시면서 마지막으로 안식일 계명에 대해 말씀 하셨다. 안식일은 하나님의 임재를 계속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날은 하던 일을 중단하고 회막에 모여 하나님을 경배하면서 교제하는 날이다.
*안식일(安息日)-하나님이 천지 창조를 마치신날
*표징(表徵)-겉으로 들어나는 표적
★금송아지를 만든 이스라엘
32장 1절~6절
모세가 시내산에 십계명을 받으면서 더디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호와의 임재를 금송아지 우상으로 바꾸어 버렸다.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성기게 된 동기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있고 없는 사이의 긴장 관계에서 비롯된 갈등으로서, 백성들은 금송아지를 봄으로써 하나님의 부재를 가시화(可視化)하여 또 다른 하나님을 느껴보려고 아론을 부추겨 만들었던 것이다.
모세가 산에서 내려올 때 하나님이 주신 십계명의 두판이 손에 들려 있었다.
모세가 산에서 내려오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금송아지와 춤추는 것을 보고 크게 노하여 손에서 그 판들을 산아래로 던져 버렸다.
모세가 그송아지를 불살라 부수어 그 가루를 이스라엘 백성에게 먹이니라
그리고 여호와편과 반여호와편을 구분하여 반여호와편 3천명을 죽이니라
★진 밖에 있는 회막
33장 1절~6절
이스라엘 백성은 여호와께서 지시한 땅으로 가야만 했다.
그런데 하나님 임재 없이 가야 하는 것이 문제였다.
금송아지 우상을 섬긴 죄는 이스라엘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거절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하나님과의 관계가 재정립되지 않은 한, 이스라엘은 영원히 홀로일 수밖에 없다.
★하나님의 임재를 위한 모세의 기도
모세는 여호와께서 계속 이스라엘과 함께해 달라고 간구한다..
결국 하나님은 자신의 임재를 약속해 주신다. 하나님의 약속을 받아 내자, 모세는 그 약속을 철저히 확인하고 싶어 했다. 끈질긴 모세의 기도는 참으로 놀라웠다.
왜냐하면 하나님 영광의 실재(實在)는 중보자(中保者)이신 그리스도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외의 방법으로는 인생의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오직 은혜로써 자신을 드러내 주셨다. 단, 얼굴은 제외하고 !
*중보자(中保者)-두 쪽 사이에서 일을 주선하는 사람. 예수
★새로만든 돌판 십계명(十誡命)
34장 1절~9절
십께명의 판을 다시 받으므로써 깨어져 버렸던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언약은 다시 새롭게 정립된다. 시내산에서 언약을 처음 수립했던 때처럼 부정한 것의 출입이 금지되었고, 하나님은 다시 강림하셨다. 다만 여기서는 하나님의 이름을 여호와라고 다시 강조되고 사랑과 공의의 하니님이 새롭게 선언 되었다.
34장 10절~25절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있어서 언약 갱신의 주체 자는 물론 여호와이시다.
“10절에 내가 언약을 세우나니”
따라서 언약을 수행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이스라엘은 다른 신을 절대로 섬겨서는 안 되며 구원해주신 하나님을 기억하는 무교절을 지키고 또한 3대절기인 초실절(初實節)
수장절 유월절을 지켜 이스라엘의 주인은 누구인가를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초실절(初實節the Harvest Festival)-보리를 처음 수획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절기
*수장절(收藏節the Harvest Festival)-추주절 또는 초막절로 불리며 추수감사절의 성격을 띤다
*유월절(逾越節)-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탈출시킬 때 악한 바로왕에게 열가지 재앙을 내렸다. 마지막에 장자를 죽이는 재앙을 내릴 때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르게 하여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것임을 표시하였다. 이 표시를 보고 넘어가 장자를 쳤다. 이날을 기년하여 지키는 절기이다.
★안식일(安息日)의 규례(規例)
35장 1절~3절
성막을 세우기에 앞서 또다시 안식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바쁜 나머지 하나님과의 교통하는 안식일을 소흘히 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드디어 성막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이 총동원 되었다.
이런 자원들이 어떻게 준비되었는가가 중요하다. 하나님이 명하신 것은 맹목적인 의무가 아니라 자발적인 봉사로 해야 하는 것이다.
모세의 말을 들은 이스라엘 박성들은 마음이 감동되어 자원하여 예물과 재료들을 즐거운 마음으로 바쳤다.
★성막(聖幕)을 위한 일꾼들
35장 30절~36절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유다지파 홀의 손자요 우리의 아들인 브살렐 지명하여 성막짓는 일을 시키셨다.
성막 짓는 사람들은 하나님에 의해 정해진다. 하나님께서 그들의 마음을 감동시켜 그들에게 지혜와 총명과 지식과 더불어 일에 대한 능력과 기쁨을 주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일은 자신들이 선택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하나님이 시키는 대로 해야 한다.
*유다지파(Judah) 송. 야곱의 넷째아들 자손들
*홀(hall) 다에 있는 제사장의 거주 성읍
*브살렐(Bezalel)나님의 그늘. 성막치는 감독
★성막(聖幕)
36장 8절!38절
브살렐과 오홀리압 등은 하나님이 명하신 대로 충실히 성막을 지어 나갔다. 성막은 “거처. 미쉬칸”란 뜻으로서 하나님께서 사람들 가운데 더불어 계시는 장소를 의미한다. 뒷날 건축된 솔로몬의 성전은 사람과 함께 거하시는 하나님의 집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서로 안과 옆을 연하여 만든 앙장은 같이 한 몸을 이루고 있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개개인을 가리킨다.
도한 성막의 구조물들이 금과 은으로 각종 실로 가늘게 꼰 베실로 나무로 만들어 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화중도 서로 다른 많은 지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오홀리압-아버지의 천막. 단지파 아히사막의 아들 성막을 잣는 부분에 봉사하다
*솔로몬-평화롭다.다윗왕이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취하여 낳은 아들서 예루살렘에서 낳았다.
*앙장(仰帳)-천장이나 상여 따위에 치는 휘장.
★성막안 가구들
37장 1절~29절
성소안의 가구들, 곧 궤와 속죄소와 상과 등대 관유와 향의 제작법이 언급되어 있다. 본문의 강조점은 하나님이 시키는 대로 만들었다는 사실에 있다. 그래서 본문에서는 만들고 싸고 두르고 달고 되었더라는 표현 어법이 자주 둥장한다. 이것은 하나님과 그 백성의 교통은
하나님의 방법과 양식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지성소 안에는 정금으로 만든 속죄소 아래에 안치된 법궤가 있다. 이 법궤는 하나님의 보좌로서 이스라엘 한가운데 좌정해 계시는 하나님의 처소를 상징한다. 그리고 성소 안에는 진설병을 놓은 상과 등대와 향단이 있다. 이 기구들은 하나님의 위엄과 권위를 상징한다. 그저 단순한 상징으로 이해 해서는 안된다. 여기에는 실제적인 효능의 요소도 반드시 갖추져 있다.
*속죄소(贖罪所)-속죄의 제사를 드리는 곳
*지성소(至聖所)-하나님의 법궤를 두었던 가장 거룩한 곳
*법궤(法櫃covenant box)-하나님이 두 돌비에 친히 쓰신 십계명과 광야에서 먹었던 만나와 아론의 싹난 지팽이가 들어 있는 궤
★성막안 뜰
38장 1절~20절
여기서는 지성소와 성소 밖에 있는 기구들 번제단과 물두멍과 성막의 포장에 관해서 언급하고 있다. 성모사가 하나님을 위한 곳이라고 한다면 성막 뜰은 사람을 위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백성들은 대속의 희생 제물을 통하여 하나님의 집에 거 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진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삶의 방식에 적응되고 조정되며 그에 복종해 가는 것이다
*대속(代贖)- 갑을 지불하고 형벌과 죄에서 구원함
★예물의 합계
38장 21절~31절
성막 건축에 사용된 물자의 명세서가 아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수량에 대한 정확한 계산으로 보아 모든 일이 매우 철저하게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별히 금과 은과 동에 대한 총량을 기록한 것은 이 재료들이 성막 기구들을 제조하는 데에 가장 귀중한 금속들이었기 때문이며 여호와의 임재를 가장 명확히 나타내는 데 사용된 금속들이기 때문이다. 한편 풍부한 예물들의 합계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아낌없는 헌신과 여호와께 대한 신앙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제사장의 복장
39장 1절~31절
제사장의 복장은 청저하게 하나님이 명하신 대로 일일이 만들어졌다.
이것은 제사장의 옷이 얼마나 거룩한 것이며 또 그 일이 얼마나 정확하고 신중하게 시행되어야 하는 지를 보여준다. 여기서 아론의 제사장 직분은 그리스도 중심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예수그리스도는 친히 자신의 피로 희생되신 희생제물이며 제단이시다. 아론과 그 아들들은 날마다 자신의 육체를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제사를 드리는 신약의 신자들처럼 날마다 하나님께 제사를 드림으로써 제사장 직분을 감당하였다.
그러므로 제사장의 옷은 정교하게 아름답게 화려하게 겸손하게 성결하게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다.
★성막과 마든 가구의 완성
39장 32절~43절
성막과 모든 가구들은 모세가 시내 산에서 받은 양식대로 만들어서 모세에게로 가져왔으며 모세는 하나님의 지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선물이 남아 있으니 그것은 영원한 하나님의 임재이시다. 그래서 모세는 그들을 축복해 줌으로써 백성들이 이 선물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 시켰다.
40장 1절~33절
모세는 하나님의 지시대로 성막을 세우고 성막 기구들에 기름을 발라 거룩하게 한 후 정한 위치에 배치하였다. 또한 아론과 그 아들들도 기름 부음을 받아 영원한 제사장 직분을 부여 받았다. 하나님이 명하신대로 번제와 소제를 드리고 아론과 그 아들들로 하여금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고 마지막으로 모세가 성막과 사면 뜰에 포장을 치고 뜰문의 장을 닫았다. 이로써 모든 역사는 드디어 끝나게 되었다.
40장 34절~38절
성막이 하나님께 봉헌된 후 하나님의 영광은 성막에 가득하였다. 하나님은 광야생활 내내 그분의 임재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알려 주었다. 구름을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임재는 백성들이 만든 성막을 받으셨음을 보장해 줌과 동시에 기꺼이 그분의 백성들과 거주하시겠다는 증거를 보여 준다. 하나님의 임재가 너무나 충만하여 모세조차도 가까이 갈 수 없었다.
이 마지막 40장은 성막의 모든 것 하나하나가 여호와의 임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총괄적으로 보여준다. 백성들 사이에 계신 여호와는 그들과 가까이 계시면서 그들을 보호하고 안도하고 지도하고 복을 주신다. 여호와의 임재는 이스라엘의 중아에 정주하시며 여호와의 임재는 그들의 삶의 자리에 언제나 어느 때나 그들 안에 계신다.
★출애굽기(出埃及記Exodus) 독후감 맺는말
애급에서 노예 상태인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으로 해방시키고 이스라엘 백성중에 임재하셔서 결국은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구원 활동의 내용이다.
성경의 구원 사상은 구약성경 출애급기에 기록된 언약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과정을 통해 하나님 자신이 역사의 주인이며 동시에 그를 따르는 백성들은 구원받는 자임을 계시하였다.
구약성경의 출애급사건은 신약성경의 십자가사건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갖인다.
출애급기에는 최소한 몇 가지의 기본적인 신학사상이 깔려 있다.
첫째-하나님의 자기 계시
둘째-하나님의 속성
셋째-구속사상
넷째-하나님의 율법과 그에 대한 예배 방법이다
또한 언약의 중재자인 모세의 소명과 사역 등으로 다양하다.
하나님 속성의 초점은 “여호와” 라는 이름과 그의 영광의 임재에 있다.
또한 역사의 주관자로서 그의 영광 거룩함 위엄 능력에 비교될 자가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출애급이라는 언약의 책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어떻게 경배할 것인지를 가르치고 있다.
성경은 기독교의 주관적 신학이다.
출애급기 독후감을 요약하면서 필자의 객관적 생각과 배치되는 부분이 많고 제시하고 싶은 의견도 많지만 성경은 특별한 주관적인 종교 경전이므로 세상적인 생각으로 평가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기에 성경적 사실에 입각하여 이글을 맺는다.
2011. 3. 20
☺농월
첫댓글 출애굽에 대해 이해가 이제 좀 됩니다. 무척오래전에 영화 '十戒' 를 본 기억이 생생해 집니다. 화려한 궁궐이며 그 스팩터클..신비의 바닷길 홍해가 갈라지는광경등.. 구약성서를 이해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배우 '찰톤헤스톤' 이 출연하는영화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보는 광 펜이었답니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