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화학개념을 잡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답답해 보일 수도 있습니다 ㅠㅠ
일단 문제부터 알려드릴게요
문제 . 다음은 원자 번호가 12인 마그네슘의 원자와 이온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1s 2s 2p 3s 3p
(가) [↑↓] [↑↓] [↑↓][↑↓][↑↓] [↑↓] [ ][ ][ ]
(나) [↑↓] [↑↓] [↑↓][↑↓][↑↓] [↑ ] [↑ ][ ][ ]
(다) [↑↓] [↑↓] [↑↓][↑↓][↑↓] [↑ ]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ㄷ. (다)는 안정한 이온의 전자 배치이다.
요깃는 ㄷ 때문에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물론 이것이 틀렸다는 것은 이해합니다.
왜냐하면 가장 바깥쪽 전자껍질에 전자 8개가 배치되어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루어야만 안정한 이온의 전자 배치가 되기 때문이지요.
근데 (다)를 보시면 파울리 배타 원리에 따르면서 쌓음 원리와 훈트 규칙을 만족하는 전자 배치입니다.
그럼.. 이것은 바닥상태의 전자 배치아닙니까 ㅠㅠ?
그래서 제 머리엔 두 가지 혼란이 있는데요,
바닥상태에서의 안정하고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의 안정 , 어떻게 구분해서 생각해야 하나요
첫댓글 마그네슘이니깐. 2개잃어야 안정하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요?
문제 속에 답이 있는거 같네요
제 생각엔 이온이란 단어가 들어가고 안들어가는 차이 같아요
감사합니다 ^ ^
안정한 이온이니까 2+를 의미하는 거겠죠?
안정한, 이온의 배치라면 말이 되기도 하네요...^^
아.. 안전한 이온의 배치이다는 전자를 따져주고
안정한 전자 배치는 상태를 따져주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 ^
안정하단건 에너지적으로 안정 하단것입니다. 탄소원자의 sp3모형을 에너지적으로 살펴보시면
이해가는데 도움이 될거 같고요... Mg가 +2가 될때는 에너지적으론 더 높아집니다.<= 이온화 에너지 때문에...
그러나 결합을 통해서 에너지적으로 안정해진다는것이고요. Mg+2는 전자배치가 비활성 기체와 같은 상태가 되어 안정한 전자배치라고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덕분에 이해가 잘되네용
감사합니다 ^ ^
음...덧붙여 말씀 드리자면 하잉님께서 바닥상태라는 말과 안정한 이온상태라는 말을 혼돈 하신 것 같으네요..원자상태에서 바닥상태라고 하면 중성인 원자상태에서 전자들이 파울리의 베타원리와 훈트규칙등을 만족하면서 전자가 가장 안정한 상태로 채워진것을 말하지만 안정한 이온이라고 하는 것은 옥텟규칙을 만족하는 이온의 상태를 말한합니다^^;
네 정확합니다 ㅠㅠ
제가 혼돈이 있었는데 해결되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