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사회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공동체, 교육공동체, 학교공동체, 마을공동체라는 용어는 그 의미가 정확하게 이해된 채 일관성 있게 사용되고 있나? 이러한 다양한 공 동체를 형성하고 구현하려는 노력은 과연 교육과 학교와 마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 키고자 하는 의도와 의지를 지니고 있나? 이에 답하고자 나는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서 그 개념과 필요성과 함께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1 부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역사적 개관
1장 들어가는 글
2장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1. 학교, 마을, 교육 공동체
2. 학교와 마을의 관계 맺기
3. 학교공동체와 마을공동체의 상생
3 장 왜 마을교육공동체인가?
1. 현대 학교체제의 한계에 대한 대안
2. 교육 불평등 해소 방안
3. 미래핵심역량 교육을 위한 장
4. 마을 활성화의 원천
4 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적 개관
1. 우리나라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
2. 서구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
2부 마을교육공동체의 과거
5장 일제강점기 교육정책과 학교 실태
1. 일제강점기 교육정책
2. 일제강점기 학교 실태
6 장 오산학교와 평북의 용동마을
1. 오산학교의 설립 배경
2. 주요 인물: 이승훈과 이찬갑
3. 오산학교의 설립 이념과 교육활동
4. 오산학교와 용동마을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
7 장 명동학교와 북간도의 명동촌
1. 명동학교의 설립 배경
2. 주요 인물: 김약연과 김하규
3. 명동학교의 설립 이념과 교육활동
4. 명동학교와 명동촌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
8 장 송산고등농사학원과 평남의 송산마을
1. 송산학원의 설립 배경
2. 주요 인물: 김두 혁과 함석헌
3. 송산학원의 설립 이념과 교육활동
4. 송산학원과 송산마을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
9 장 사례 학교들 간의 비교 논의
3부 마을교육공동체의 현재
10장 마을교육공동체 논의의 현황과 방향
1. 교육개혁의 방편과 목표로서의 마을교육공동체
2. 평생교육의 장으로서의 마을교육공동체
3. 협력적 교육 거버넌스로서의 마을교육공동체
4. 이상적인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11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최근 국내 사례
1. 시흥시의 평생학습마을
2. W대학교와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12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최근 해외 사례
1. 미국의 오클랜드연합교육구 커뮤니티 스쿨
2. 미국의 칼빈대학교와 그랜드래피즈시의 파트너십
4부 마을교육공동체의 미래
13장 학생의 미래역량과 마을교육공동체
1.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와 미래교육
2. 코로나19와 교육의 미래 그리고 미래역량
3. 미래교육과 마을교육공동체
14장 학교와 마을이 상생하는 마을교육공동체
1. 학교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개혁과 마을교육공동체
2.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마을교육공동체
나가는 글
표, 그림,사진 차례
참고 문헌
저자 소개
저 : 강영택
필자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도, 대학도 아닌 이름 없는 작은 공부 모임이었다. 필자가 오랜 시간 교육받은 고려대(학사), 연세대 (석사), 미시간주립대(박사)에 고마운 마음을 갖긴 하지만, 이 대학들이 진정으로 학생의 학문적, 인격적 성장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지에는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돌이켜 보면 이 대형 대학들은 자신들의 높은 위상을 홍보하고 관리하느라 분주한 듯했다.
결핍이 많은 필자가 그나마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형식적 교육기관이 아니라 간판도, 체계적인 교육과정도, 뛰어난 교수도 없는 무형식의 작은 공부 모임에서 얻은 배움의 결과다. 서울로 유학 온 대학 시절 어두컴컴한 지하 교회당 대학부실에서 선배와 함께했던 공부모임을 통해 신앙과 세계에 눈을 떴고,
고등학교 교사 시절 힘들게 다니던 대학원에서 채워지지 않던 우리 시대 교육에 대한 가슴앓이를 교내외 교사 공부 모임을 하면서 해소하였다.
늦은 나이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우석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면서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과 공부 모임을 결성하여 부족한 지식과 인격을 채우고 있다. 몇 년 전부터는 급격히 늘어난 중국 대학 원생들과 함께 성찰과 대화를 통해 전인적 배움을 경험하는 공부 모임을 시도하였다. 최근에는 교회에서 공동체 공부 모임을 만들어 머리, 가슴, 손발로 하는 전인적 공부를 배우며 서로의 다름을 수용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유학 이후 지금까지 함께하는 한연구소(CSERC)는 필자가 전인적 지식을 즐거운 마음으로 배울 수 있는 귀중한 배움의 공동체다. 우리가 살아가는 마을에서 다양한 타자와의 만남과 대화를 통해 모두의 배움과 성장이 일어나는 열린 배움의 공동체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며 살고 있다. 저서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고통의 교육에서 희망의 교육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운동: 세계적 동향과 전망』(공저), 『쉼이 있는 교육』(공저) 등이 있다.
책 속으로
우리 사회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공동체, 교육공동체, 학교공동체, 마을공동체라는 용어는 그 의미가 정확하게 이해된 채 일관성 있게 사용되고 있나? 이러한 다양한 공 동체를 형성하고 구현하려는 노력은 과연 교육과 학교와 마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 키고자 하는 의도와 의지를 지니고 있나? 이에 답하고자 나는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서 그 개념과 필요성과 함께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학 교 실태를 알아보고, 당시 마을학교라 할 수 있는 오산학교, 명동학교, 송산고등농사 학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논의를 범주화하여 앞으로 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 국내외 사례를 소개할 것이다. 무엇보다 ‘학교와 마을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려면 마을교육공동체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그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본문 중에서
추천평
마을과시대를품는교육이나라를살린다
한국마을교육공동체의과거,현재,미래를찾아서
우선 몇 명이라도 시대를 앓는 이들이 같이 모이자. 마을에 평민을 위한 대안학교도 대학교도 만들거나 돕자. 거기서 학문과 기술을 평생 배우고 실천하는 사람을 기르자. 사회 변화는 언제고 창조적 소수에서 시작하였다. 그들이 작은 범위로 교육과 마을공동체를 동심원으로 형성하여 농축수산임업 유기농 먹을거리를 생산,가공, 유통하고 에너지, 직접민주주의, 여러 형태의 협동조합, 금융, 교육, 문화, 인터넷, 교통 모든 면에서 아래에서부터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자립을 목표로 하면서 바깥 마을공동체와 손을 잡고, 도시공동체와 필요하면 세계와도 교류 연대하자. 거기 교육을 통한 평화와 생태 사회 실현의 열쇠가 있다. 지금은 그런 쪽으로 바닥에서 온 세계가 움직이고 있다. 강선생은 책에서 긴 노고가 끝나고 연구가 끝 무렵에 이르렀다고 했는데, 한국 교육이 마을과 세상과 역사를 품고 사상과 현장이 하나가 되고 진리와 사랑이 혼이 되어 마을과 시대와 역사를 바꾸는 일은 끝나지 않았다. 시작이다.
- 홍순명 (전 풀무학교 교장, 전 홍동밝맑도서관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