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2023-04-04)
★ K-웹툰 성장 시나리오
▶️ 국내 및 글로벌 웹툰 시장
-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디지털 콘텐츠 수요 급증에 따라 웹툰 시장 성장 발생. 원천 IP 확보를 위해 CP사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고, 국내 플랫폼 업체들은 일본과 미국을 넘어 유럽 및 아시아로 지역 확장 중.
- 이용빈도 증가 및 유료 결제자 비율 상승은 긍정적이나, 무과금에서 저과금 유저로의 전환 또는 유료 결제의 절대 이용금액 제고가 필요
- 출판만화 레거시가 충분한 아시아와 일본, 중국, 미국, 프랑스 등이 디지털 만화 시장에서 잠재력도 충분히 보유. 일본은 만화와 애니메이션 그리고 성인 대상 만화 소비인구의 강점을 보유, 미국은 원천 IP의 트랜스 미디어 또는 OSMU에서 강력한 경쟁력 확보
▶️ K-웹툰 전략
- 국내 웹툰 선두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웹툰의 유통 채널 확보를 위한 글로벌 확장과 크리에이터 풀, 트랜스 미디어를 위한 인수합병을 활발히 진행 중
- 웹툰 플랫폼의 글로벌 성장 및 침투 등을 판단할 때 팬덤을 보유한 특화 콘텐츠에 집중하여 독점화 강점 획득 필요
- 원천 IP 수급을 위해 인기 + 신인 + 아마추어 작가를 동시에 확보하고 웹소설 등과 전략적 IP 창작 협업 시스템 구축
- 웹툰의 원천 IP 활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원천 IP 수준에서는 수익성 기여가 크지 않기에 기획 단계부터 원작 및 2차 판권에 대한 다양한 유통 전략을 적극적으로 개선시킬 것으로 전망
- OTT의 경쟁심화, 드라마와 영화의 주연배우 경쟁, 웹툰 주 수요층 성인 공략 대상 등을 고려할 때 드라마로 1차 개화한 웹툰 IP의 확장은 애니메이션 시장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음
▶️ 투자 전략: 덕후만 믿을 수는 없다. 원천 IP를 기반으로 세밀한 유통전략이 강점인 곳에 투자
- 업종 Top Picks: 스튜디오미르, 애니플러스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4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