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생 남자 아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일주일 전 제 생일날 가족이 같이 외식을 하던 중에 고2 아들이 모의고사 성적이 너무 안 좋게 나와서
학원을 옮기는 문제로 얘기를 하다가 아이와 남편과의 의견 충돌이 있었고
평소에 남편이 아이에게 대화를 할 때 자주 선택에 대한 책임감에 대해 강조하면서 얘기 하곤 했어요.
근데 제 생일날에 이런 문제로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체한 느낌이 든다며 화장실을 가더니 오질 않더라고요.
걱정이 되어서 가보니 과호흡 증상과 온몸 경련을 보였습니다.
30분 정도 계속 증상을 보이다가 조금 진정된 후에 엘리베이터를 타려는데
아들이 남편의 모습을 보고 다시 과호흡증상이 왔습니다.
다시 진정시키고 집에 도착해서 씻고 있는데 갑자기 남편이 저를 다급히 불러 나가보니
아이가 다시 과호흡과 온몸이 떨리는 증상을 보였습니다.
남편 얘기로는 화해하려고 아들 방에 갔는데 본인을 보고 갑자기 증상을 보였다고 했습니다.
남편도 많이 놀라서 증상을 찾아보니 공황장애 증상이었습니다.
처음 보는 모습이라 저희 부부도 많이 놀랐습니다.
남편은 아이를 생각해 마주치지 않는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해서
어머니 댁에서 지내면서 떨어져서 생활했어요.
일주일이 지났는데도 아이는 아빠에 대해 한마디도 묻지도 않고 아빠의 연락에도 대답도 하지 않아요.
아들은 저랑은 평소처럼 잘 지내고 있는데 남편과는 교류를 하지 않으려는 것 같아 걱정이 되네요.
남편은 아이가 고등학생이 되고 매일 아침 저녁으로 학교와 학원을 등하교 시키고 있었고
둘의 사이가 좋은 편이었습니다. 증상이 있던 날 아이가 저에게 아빠가 싫은 건 아니라고 했었는데
상황이 나아지질 않네요.
아이를 무조건 기다리는게 맞는건지. 병원에 가서 상담을 받아야 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는 게 좋은 방법일까요?
A.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우선 청소년정신과 가서 진단받고 투약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과호흡과 호흡곤란 증상의 원인을 알고 적절한 의학적 처치가 필요합니다.
정신과 외의 의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정신과 약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낮출 뿐 근원적인 치료책은 아닙니다.
약을 복용한다고 해서 그 증상이 근원적으로 사라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필수적으로 심리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심리치료는 심리 정서를 자극하는 원인을 찾아서 근원적인 치료적 접근 하게 됩니다.
병행하여 증상이 점차 완화되면 약을 줄이면서 끊기도 합니다.
어머님이 짐작하신 것처럼 공황장애라면,
그 증상이 2차적 위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공황발작 상황에서 길에 쓰러지거나 하면 또다른 위험에 노출 됩니다.
추가적으로 안내 드리자면 심리치료 하기 전에 심리평가를 실시하게 됩니다.
심리평가를 통하여 학생 내면의 불편감과 불안감 그 외의 사고과정과 지각 등의 부분의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를 권유드립니다. 고교시기의 스트레스는 생각보다 큽니다.
코로나19의 어려움이 학생들의 일상생활을 더 침수시키고 있습니다.
결정적 시기를 놓치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공황장애 진단기준
*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에 의하면,
공황발작은 다른 신체적인 질환이 없고 다음 증상 중 4 가지가 10 분 이내에 나타나면 공황을 의심해야 한다.
▶ 가슴이 떨리거나, 심장박동수의 증가
▶ 땀이 많이 남
▶ 손, 발 혹은 몸이 떨리거나 흔들림
▶ 숨이 가빠지거나 혹은 질식
▶ 질식할 것 같은 느낌
▶ 가슴이 아프거나 압박감
▶ 어지럽거나, 불편하며, 어지러우면서 약간의 현기증이 나거나 혹은 현기증이 날 때
▶ 죽을 것 같은 느낌
▶ 지각 이상(마비되거나 혹은 따끔따끔한 느낌)
▶ 몸에서 열이 오르거나 오한이 남
▶ 비현실감 혹은 이인증(자기 자신에서 분리된 것 같은 느낌)
▶ 미쳐버릴 것 같은 두려움에 대한 제어 상실
* DSM-5 의 변경된 진단 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진단 기준을 만족하여야 공황장애로 진단한다.
1) 예측하지 못한 공황 발작이 반복된다.
2)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발작 후에, 한 달 넘게 다음 중 하나 이상이 해당해야 한다.
① 공황 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혹은 공황 발작의 영향이나 결과에 대한 걱정
(예: 통제력 상실, 심장 마비, 미쳐버리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
② 공황 발작과 관련한 현저하게 부적합한 행동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예: 공황장애를 피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들: 운동을 하지 않거나 낯선 장소를 피하는 등의 행동)
3) 공황 발작이 약물이나, 갑상선 기능 장애와 같은 생리적 영향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어야 한다.
4) 공황 발작이 공포증이나 강박장애, 심한 스트레스 장애 때문에 생긴 경우가 아니어야 한다.
[소장님 칼럼 및 인터뷰] >> 이향숙 소장 인천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18년 6월 18일 "청소년 자녀의 학교 적응을 돕는 방법
[상담후기] >> (가명) 이성윤 상담 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자료 출처
공황장애의 합리적 접근법; 약학정보원
*사진출처 : pixabay
*작성자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안준영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