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핵심은 지혜(智慧)요 자비(慈悲)입니다.
지혜와 자비가 양대 산맥을 이루는 종교가 불교요, 지혜와 자비가 두 바퀴가 되어큰 수레를 잘 굴러가게 하는 종교가 대승불교입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양족존(兩足尊)이라 칭합니다.
지혜와 자비를 구족하신 분이라는 뜻입니다.
그럼 불자(佛子)는 어떠한 존재인가? 아버지를 닮기 위해 아버지인 부처가 되기 위해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곧 자비와 지혜를 함께 갖춘거룩한 인물이 되고자 노력하는 존재가 불자입니다.
지혜가 스스로의 내면세계를 개발하는 것이라면 자비는 나 밖의 세계또는 대인 관계를 원만히 이루어 내는 것입니다.
지혜가 자리(自利)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자비는 이타(利他)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자연, 자리인 지혜가 원만히 갖추어지면 이타인 자비를 지혜롭게 발현시킬 수 있고, 이타행인 자비가 깊어지면 깊어질수록 스스로를 이롭게 하는 자리(自利)의 삶이 크게 열리기 마련입니다.
실로 불교의 목표는 지혜와 자비를 함께 갖추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혜는 개인의 수행이나 능력과 함께 하는 것이므로, 이 법문에서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자비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 가고자 합니다.
자비는 복잡한 것이 아닙니다.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몸과 말과 뜻! 곧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으로 만나는 사람들에게 따뜻하고 흐뭇하고 고맙고 보탬이 되는 생활을 하고 말을 하고 마음을 쓰는 것이 자비입니다.
자비는 마치 봄기운과 같은 것입니다.
만물이 봄기운을 받게 되면 얼음도 녹고 새도 울고 풀도 돋고 꽃도 피어나듯이, 자비의 기운을 받으면 인생이 살아납니다.
삭막하던 현실에 봄기운이 감돌기 시작합니다.
자비심은 어버이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과 같습니다.
항상 사랑을 베풀고, 잘못한 것을 너그럽게 이해하며 바른 길로 이끌고, 큰 잘못까지도 능히 용서할 수 있는 마음입니다.
정말 가난하고 못 배우고 불행하고 병들고 부족한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어, 어루 만져 주고 다독거려주고 보탬이 될 수 있는 말 한마디, 행동하나, 마음 한 번 써 주는 것이 자비입니다.
그러나 힘있는 나가 나보다 모자라는 사람에게 베푸는 것을 자비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나보다 모자란다, 부족하다, 너는 돈이 없다, 너는 인물이 못생겼잖아, 너는 벼슬이 없고 나보다 밑이잖아...
이러한 생각이 있으면 올바른 자비가 발현되지 않습니다.
베풀면 나에게 큰 복이 돌아오고, 기분이 좋아지고, 득을 보기 때문에 베푼다는 식의 행위라면 어찌 자비라 할 수가 있겠습니까?
하물며 스스로를 자비로운 모습으로 포장하여 남에게 돋보이고자 하는 위선적인 행동이라면 오히려 죄악이 될 뿐입니다. 진실로 자비심이 깊은 사람은 진실을 외면한 거짓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나보다 못한 존재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생각합니다.
불성(佛性)을 지닌 거룩한 분, 장차 부처가 되실 분으로 봅니다.
무학대사(無學大師)의, 부처님 눈에는 부처님으로 보이고, 돼지 눈에는 돼지로 보인다는 말씀이 바로 이 이야기입니다(계속)
첫댓글 감사합니다 ()
옴 아비라 훔 캄 스바하 ()()()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
덕분에 좋은글 감사합니다
고맙읍니다
성불하세요...............()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