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 | 수출 | 증가율 | 수입 | 증가율 | 수지 |
2002 | 21,345 | -32.9 | 563 | 39.8 | 20,782 |
2003 | 27,140 | 27.2 | 947 | 68.0 | 26,193 |
2004 | 38,360 | 41.3 | 4,952 | 423.1 | 33,408 |
2005 | 51,271 | 33.7 | 4,176 | -15.7 | 47,095 |
2006 | 68,205 | 33.0 | 5,594 | 34.0 | 62,611 |
2007 | 64,651 | -5.2 | 1,852 | -66.9 | 62,799 |
2008 | 93,955 | 45.3 | 2,845 | 53.6 | 91,110 |
2009 | 55,411 | -41.0 | 5,471 | 92.3 | 49,940 |
2010 | 130,408 | 135.3 | 3,638 | -33.5 | 126,770 |
2011 | 199,577 | 53.0 | 52,394 | 1,340.3 | 147,183 |
2012 | 160,295 | -19.7 | 105,738 | 101.8 | 54,557 |
2013 | 203,308 | 26.8 | 74,537 | -29.5 | 128,771 |
2014 | 224,302 | 10.3 | 72,656 | -2.5 | 151,646 |
2015 | 224,705 | 0.2 | 19,655 | -72.9 | 205,050 |
2016(1~5월) | 44,959 | -55.8 | 34,932 | 680.6 | 10,027 |
자료원: KITA
## 교역품목
2016년 5월 기준 한국의 對 파라과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승용차, 자동차부품, 화물자동차,
축전지, 타이어, 전선, 도금강판, 무선수신기 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파라과이에서의 기아, 현대 자동차의 인기로
자동차, 자동차부품 및 타이어 수출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특히 전선, 무선수신기, 무선전화기 분야의
수출이 급증했다.
對 파라과이 수입은
매년 품목별 증감폭이 큰 양상을 보인다.
2016년 5월 기준 사료, 동괴 및 스크랩, 연초류,
채유종실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대파라과이 주요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
순 위 | 품목 코드 | 품목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1~5월)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총계 | 224,302 | 10.3 | 224,705 | 0.2 | 44,959 | -55.8 | ||
1 | 7411 | 승용차 | 112,481 | -7.2 | 117,662 | 4,6 | 20,929 | -59.9 |
2 | 7420 | 자동차부품 | 14,535 | 19.3 | 13,227 | -9.0 | 5,942 | -2.6 |
3 | 7412 | 화물자동차 | 18,659 | 66.3 | 13,383 | -28.3 | 2,870 | -49.5 |
4 | 8352 | 축전지 | 2,464 | 22.1 | 3,378 | 37.1 | 1,899 | -7.1 |
5 | 3203 | 타이어 | 7,899 | -26.0 | 7,130 | -9.7 | 1,721 | -55.0 |
6 | 8125 | 무선수신기 | 3,367 | -37.3 | 8,546 | 153.8 | 1,713 | -41.0 |
7 | 8211 | 칼라TV | 7 | -80.7 | 1,775 | 26,724.8 | 905 | 0.0 |
8 | 2190 | 기타석유화학제품 | 2,297 | 81.3 | 3,519 | 53.2 | 750 | -33.2 |
9 | 6137 | 도금강판 | 7,268 | 122.9 | 6,572 | -9.6 | 743 | -62.9 |
10 | 8121 | 무선전화기 | 2,037 | 1,011.7 | 4,083 | 100.5 | 686 | -80.9 |
주: MIT 4 단위 기준, 2016년 5월 기준
자료원: KITA
한국의 대파라과이 주요 수입품목
(단위: 천 달러, %)
순 위 | 품목 코드 | 품목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1~5월)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총계 | 72,656 | -2.5 | 19,655 | -72.9 | 34,932 | 680.6 | ||
1 | 0136 | 사료 | 1,044 | -93.4 | 10,326 | 888.6 | 32,629 | 0.0 |
2 | 6221 | 동괴및스크랩 | 1,287 | 25.9 | 2,022 | 57.1 | 692 | -21.2 |
3 | 0154 | 연초류 | 1,755 | -31.9 | 1,770 | 0.9 | 589 | -62.4 |
4 | 0115 | 채유종실 | 1,926 | 26,044.0 | 2,019 | 4.9 | 273 | -47.6 |
5 | 0114 | 곡분 | 0 | 276.9 | 146 | 298,449.0 | 241 | 0.0 |
6 | 0158 | 당류 | 543 | -34.2 | 293 | -46.1 | 176 | 336.6 |
7 | 0191 | 천연섬유원료 | 346 | 0.0 | 96 | -72.3 | 129 | 0.0 |
8 | 0241 | 육류가공품 | 235 | -18.2 | 187 | -20.2 | 65 | -12.9 |
9 | 0169 | 기타 농산가공품 | 221 | 2.0 | 194 | -12.1 | 40 | 4.4 |
10 | 0319 | 기타 목재류 | 265 | 9.3 | 256 | -3.3 | 34 | -42.9 |
주: MIT 4 단위 기준, 2016년 5월 기준
자료원: KITA
## 수출유망품목~
@ 주요 수출품목
우리나라의 對 파라과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승용차, 자동차부품, 화물자동차, 타이어 등이 대표적이다.
2014~2015년 사이에 크게 증가한 對 파라과이
수출 품목 중에 자동차부품, 무선전화기, 의약품 등이
있으나, 2015년 하반기부터 달러 가치 상승,
그리고 주변국가들의 경제위기 영향으로
對 파라과이 수출이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2016년 1월~5월 기준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출이
대폭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품목별 대파라과이 수출 동향(MTI 4단위)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코드 | 품목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1~5월)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총계 | 224,302 | 10.3 | 224,705 | 4.6 | 44,959 | -55.8 | ||
1 | 7411 | 승용차 | 112,481 | -7.2 | 117,662 | -28.3 | 20,929 | -59.9 |
2 | 7412 | 화물자동차 | 18,659 | 66.3 | 13,383 | -9.0 | 2,870 | -49.5 |
3 | 7420 | 자동차부품 | 14,535 | 19.3 | 13,227 | 153.8 | 5,942 | -2.6 |
4 | 8125 | 무선수신기 | 3,367 | -37.3 | 8,546 | 62.8 | 1,713 | -41.0 |
5 | 8500 | 전선 | 5,024 | 2,408.6 | 8,182 | -9.7 | 92 | -98.8 |
6 | 3203 | 타이어 | 7,899 | -26.0 | 7,130 | -9.6 | 1,721 | -55.0 |
7 | 6137 | 도금강판 | 7,268 | 122.9 | 6,572 | -5.1 | 743 | -62.9 |
8 | 2262 | 의약품 | 5,247 | 111.5 | 4,979 | 100.5 | 82 | -98.1 |
9 | 8121 | 무선전화기 | 2,037 | 1,011.7 | 4,083 | 24.7 | 686 | -80.9 |
10 | 5421 | 낚시용구 | 3,154 | -24.0 | 3,932 | -38.9 | 432 | -72.5 |
자료원: KITA(순위 2015년 기준)
@@ 유망 제품
농업용 장비, 기계 및 비료
파라과이는 농축산업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인 농업 중심 국가이며,
콩, 밀, 쌀 등의 경작이 많은 곳이다.
따라서, 농업에 필요한 장비, 기계 및 트랙터 등의
장비 수요가 많으며, 비료 수입도 많다.
비료의 경우 자체 제조업이 있기는 하나 미미한 수준.
농업용 장비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진출이 유망한 분야라 할 수 있으나,
주로 대형 농기구를 사용하므로
현지 수요 제품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화장품, 가전제품 등 소비재 제품
시우닷 델 에스테, 페드로 후안 데 까바예로 등
브라질 국경 지역의 경우, 브라질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향수, 소형가전제품 등이 많이 판매되고 있어
저렴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제품의 경우,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국경 지역뿐만 아니라
아순시온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에
대형 쇼핑 센터와 슈퍼마켓이 다수 건설되는 등
소비자 구매력이 높아지고 있어서
이 분야의 수요가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스마트폰, 인터넷 관련 IT 장비
스마트폰 및 관련 액세서리, 인터넷 관련 인프라 장비,
케이블 등 전반적인 일반 소비자 및 산업용 IT
장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경쟁력 있는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기에 유망한 분야이나,
중국산 저가 제품이 다수 진출해
있어서 가격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다.
전력 기자재 및 인프라 관련 제품
파라과이의 경우 전력 생산량은 높지만 배전 및
송전시설 현대화와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므로
향후 정부 입찰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력 기자재 납품 및 인프라 구축 관련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입찰 참여 등도
유망한 분야라 할 수 있다.
조명기구
조명기구의 수요는 건설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최근 파라과이 주요 도시(아순시온, 시우닷 델 에스테,
엔카르나시온, 살토 데 과이라 등) 내에
고층빌딩, 쇼핑센터, 고급 아파트 등 건설 붐에
영향을 받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LED조명의 경우, 아직 기존 조명대비 높은 가격으로
인해 수요증가에 한계가 있지만,
전력효율성 등을 감안해 점차적으로 이용이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파라과이는 전기료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아직 전력효율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므로
시장확대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철평판압연제품 등 건축자재
최근 파라과이 정부 차원의 인프라
(교통, 에너지, 상하수도 및 통신 인프라)
프로젝트들이 다수 추진되고 있으며,
민간 건축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파라과이 건축협회에 따르면 진행되고 있는
민간업체 투자액은 약 10억 달러에 달하며
철평판압연제품를 비롯한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
에폭시수지, 플라스틱 팰릿류, 철 비합금강의 등의
건축 자재가 주요 대 파라과이 수출유망품목으로
부상하고 있다.
KOTRA에서 자료 편집~
|
첫댓글 남미의 중심축인 파라과이가 꿈틀거리고 있습니다,
특히 건설경기가 호조로~~~
파라과이에 이렇게 희망나무 가족들이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속에 무궁한 발전을 이루길 바랍니다~
파라과이에 이렇게 정성을 다하는 희망나무 공동체만한 헌신자는 없을 것입니다!!!!
파라과이를 어떻게 재능기부로 함께 할 것인가?
파라과이에 약초로 무언가 몸에 좋은 것을 만들어 보고 싶었는데요...
계속 관심을 가져보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