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의 듣고 복습중에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강의노트 p152.3)고전학파와 비교 에서 케인즈학파는 r을 실물/화폐시장의 연결고리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이게 IS곡선 도출할때 I=I0+iY-br이어서 r을 실물/화폐시장의 연결고리로 본다. 라고 설명을 들은것 같고 그렇게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설명하시면서 케인즈는 r이 투자에 영향을 안준다고 하셨던것 같고, p159.4.IS곡선의 기울기에 관한 추가 논의를 봤을때도 r은 영향을 안준다고 써있는데 그러면 케인즈본인은 r은 연결고리가 아니라고 봤었던건가요?
그리고 그렇게되면 r타겟팅을 해도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p153에는 r타겟팅이 케인즈의 정책이라고 써있더라구요. 그래서 연결고리가 아니어도 r타겟팅이 유효한지, 아니면 케인즈의 이론만으로는 r타겟팅이 유효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시험에는 별로 도움되지 않을것 같긴한데 자꾸 궁금해져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카페 게시글
회계사 질문 게시판
케인즈학파의 r이 실물/화폐시장의 연결고리 질문
우와우우
추천 0
조회 31
24.12.02 15:56
댓글 1
다음검색
첫댓글 안녕하세요, 손병익 회계사입니다.
케인즈가 주장한 내용을 잘 이해하셨습니다. 다만 해당 주장은 현실을 너무 극단적으로 해석한 것이고,
케인즈 학파는 그것보다는 유연하게 해석하여 중간목표 설정 시
r이 투자에 영향을 많이 주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이자율이 화폐시장과 재화시장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폐시장의 불안정 때문에 이자율의 변동성이 크다면 실물시장역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이자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중간지표 내용은 케인즈 학파가 - 케인즈가 아니고 이후의 케인즈 학파가 - r이 이자율에 영향을 잘 미치지는 않지만 금융정책에서 안정화할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면 그나마 이자율을 안정시키는 편이 낫다는 의미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