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증명은 뒷부분의 논리가 좀 허술하엿으므로
싸이클로톰을 빌려와서
증명을 시도하였음)
지수 P = 3의 경우,
A^3 +B^3 = C^3 ------ (1) 은 아래 두 식으로 분리된다
A+B = S^3 ------------ (2)
A^2 - AB + B^2 = T^3 ---(3)
(2), (3) 에서
좌변끼리는 서로소이고 A, B , S, T 는 서로소이고
C=ST
그리고 A, B, C >> (P =3)
이다.
(여기에서 P | (A+B), C, 혹은 B or A인 경우도 있으나 조금 모양이 복잡해질 뿐
증명방법은 마찬가지이다.
(2) 를 제곱해서 (3)을 빼면,
3AB = S^6 - T^2 = (S^2 - T)(S^4 + S^2*T + T^2) --(4)
여기에서
우변의 S^2 - T = (S^3 -ST)/S = (A+B-C)/S = P^i * Ax * Bx * L)
(왜냐하면, 작은정리 P | (A^P – A + B^P – B –C^P + C)
에서 A^P + B^P – C^P = 0 을 소거하면
P | (A+B-C) 이므로
A+B = C+P^i*K가 유도됨
그리고 추후
K = Ax*Bx*L*S (S 는 A+B = S^P의 인수임)
도 밝혀짐)
q * Ay * By = (S^4 +S^2*T +T^2) = { (A+B)^2 + (A+B)*C + C^2 } --- (5)
(Let A= Ax * Ay, B= Bx * By 인자들은 서로소)
(4) 를 다시 정리한
(5) 에서 좌변의 q는 적절한 상수
C-B = Ax^3 에서
C^2 + CB +BA^2 = Ay^3 --- (6)-1
마찬가지로
C-A = Bx^3 에서
C^2 + CA + A^2 = By^3 --- (6)-2
(5)와 (6)-1, (6)-2를 동치시키면, A+B = S^3 (혹은 P^j * S^P 형태도 무방)
q * (A+B)^2 *(C^2 + CB + B^2 )*(C^2 + CA + A^2 ) = { (A+B)^2 + (A+B)*C + C^2 }^3 --- (7)
식 (7)에서
(C^2 + CB + B^2 )
(C^2 + CA + A^2)
{ (A+B)^2 + (A+B)*C + C^2 }
은 각각 싸이클로톰이고 포지티브 싸이클로톰이라고 부른다
(싸이클로톰은 다른 아마추어 수학자 Nico de Jong 이 붙인 명칭임)
네가티브 싸이클로톰은
(C^2 - CB + B^2 )
(C^2 - CA + A^2)
{ (A+B)^2 - (A+B)*C + C^2 }
와 같이 +와 –가 교대로 반복되는 형태를 말한다
쌍대인 네가티브 싸이클로톰과
포지티브 싸이클로톰을 곱하면
또 다른 포지티브 싸이클로톰이 나온다
예;
(C^2 + CA + A^2) * (C^2 - CA + A^2) = C^4 + C^2 * A^2 + A^4 --- (8)
복소수 싸이클로톰의 예;
(C^2 + CA j + A^2) * (C^2 – CA j + A^2) = C^4 + 3 *C^2 * A^2 + A^4 ---- (9)
(j 는 j = root( -1) )
그러나 (9)의 모양은, 사이클로톰이라기보다는 유사 싸이클로톰이다.
따라서,
식 (7)을 다시 보면
q * (A+B)^2*(C^2 + CB + B^2 )*(C^2 + CA + A^2 ) = { (A+B)^2 + (A+B)*C + C^2 }^3 --- (7)
좌측과 우측에 포지티브 싸이클로톰(줄여서 싸이)이 있으므로,
어떤 포지티브 싸이와 네가티브 싸이의 쌍대가 존재해서
(각각을 X, Y라 부름, )
SX * SY = { (A+B)^2 + (A+B)*C + C^2 }
C^2 + CB + B^2 = X^3
C^2 + CA + A^2 = Y^3 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SX * SY = { (A+B)^2 + (A+B)*C + C^2 }을 다시 쓰면,
X * Y = S^4 + S^2*T + T^2 ---- (10)
X, Y 각각은 Ay, By 이고 둘 다 O(S^2) 이므로, (ß (6)-1 & (6)-2 )
X = S^2 – S * T^(1/2) + T
Y =S^2 + S * T^(1/2) + T ---- (11)
로 놓는 것이 이상적이다.
(혹시 정확하게 이렇게 인수분해가 되지 않더라도
그 결과는, 즉 Ay+By 값은 위의 경우와 거의 같다)
두 식을 합하면
Ay + By = 2(T+ S^2)
S (Ay+ By) = 2 (A + B + C)
S(Ay + By) = 2 (Ax*Ay + Bx*By +C ) ---- (12)
가 나온다.
(12)에서
Ax < Ay, Bx < By 이고
Ax=Ay=1, C= 0, S=2 가 가능한 솔루션으로서
3차의 경우 (P=3), Ax , Bx 가 둘 다 1이면 페르마식의
성립이 불가하다.
(Bx^3 = C- A, Ax^3 = C-B 에서 둘 중 하나는 반드시 1보다 커야 함)
(증명 끝) P=3
P=5 혹은 그 이상인 경우에도 (12)와 유사한 식이 나온다
(다시 정리)
(P=5à A+B = S^5 , T= A^4 – A^3*B + ~ + B^4)
(
A+B)^4 = S^20 = (S^5)^4
A^4 – A^3 B + A^2B^2 – AB^3 +B^4 = T^5
두식을 빼면
5(AB)(A^2+AB+B^2) = S^20 – T^5
= (S^4 –T) (S^16 + S^12*T + S^8*T^2 + S^4*T^3 + T^4)
S^4 – T = PAxBxL 로 놓음
Ay By (A^2+AB +B^2) = L (S^16 ~~~ +T^4)
Ay By = L1 *(S^8 + S^6*(T)^(1/2) + S^4*T + S^2*T^(3/2) + T^2)
A^2 + AB + B^2 = L2 * (S^8 - ~ + S^4*T - ~ + T^2)
로 놓음 (Ay, By >> Ax, Bx)
다시 P=3 경우와 유사한 방법으로,
Ay + By = (L3*S^4 + L3*T + r)
S (Ay + By) = (L3*S^5 + L3*ST + rS)
= (L3*A + L3*B + L3*C + rS)
과 같이 되어서
P=3과 유사하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