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1. 고혈압의 단계
소아의 혈압은 정상, 고혈압 전단계, 고혈압 1단계, 고혈압 2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상혈압은 동일한 성별과 연령을 가진 소아 혈압의 90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백분위수라 함은 측정치를 순서대로 나열한 값으로, 가장 작은 값을 1 백분위수, 가장 큰 값을 100 백분위수라고 정의하며, 비슷한 키를 가진 소아의 혈압과 비교해야 합니다.)
고혈압 전단계는 90-95 백분위수 미만 또는 이보다 적더라도 120/80mmHg 이상인 경우이며, 고혈압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요구되는 단계입니다.
고혈압 1단계는 95 백분위수에서 99 백분위수+5mmHg 사이이며, 고혈압 2단계는 99 백분위수+5 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 키가 50 백분위수인 5세 남아 혈압의 95 백분위수는 수축기 혈압이 112mmHg, 이완기혈압은 72mmHg 정도로 이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미국소아과학회에는 만 3세 이후부터 정기적인 혈압측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크기를 가진 혈압대로 수은혈압계를 이용한 청진법이 추천되고 있으며 외래에서 최소 3회 이상 고혈압으로 진단되어야 확진할 수 있습니다.
만일, 전자혈압계로 95 백분위수 이상이라면 반드시 수은혈압계를 이용한 청진법으로 이를 검증해야 합니다. 3세 이전이라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병력을 가진 소아라면 정기적인 혈압측정이 필요합니다.
- 미숙아로 태어난 경우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적이 있는 경우
-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소아
- 반복되는 요로감염 및 혈뇨, 단백뇨를 가진 소아
- 신장 및 요로계에 기형을 가진 소아
- 가족력 상 유전성 신장질환이 있는 소아
- 장기이식을 받은 소아
- 악성종양을 진단받은 소아
- 혈압을 높이는 약물을 복용 중인 소아
- 고혈압과 연관된 전신질환을 가진 소아(예: 신경섬유종증)
- 뇌압 상승의 증거가 있는 경우
2. 혈압 측정법
소아의 혈압을 처음 측정하는 경우는 반드시 사지의 혈압을 측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지의 혈압이 상지의 혈압보다 10 mmHg정도 높은데, 상지 혈압이 더 높다면 대동맥 축착증이나 다까야스 동맥염 같은 드물지만 소아에게 가능한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아의 혈압을 측정할 때는 혈압대의 너비가 적당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압대 너비는 어린이 상완 중간 둘레의 약 40%정도 되는 것이 적당합니다. 좁은 혈압대를 쓰면 혈압이 실제보다 높게 나오고, 넓은 것을 쓰면 실제보다 낮게 나올 수가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예를 들어, 작은 어린이에게 성인 혈압대를 사용한다면 실제보다 혈압이 낮게 나와 고혈압 진단을 놓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혈압계가 있으며 그 중 청진법을 이용한 수은혈압계가 가장 정확합니다. 전자혈압계는 아직 표준화 및 품질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 시 주의가 요구되며 특히, 손목이나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전자혈압계는 매우 부정확하여 추천하지 않습니다.
3. 검사항목
고혈압으로 진단된 소아는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하여 이차적인 원인과 합병증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소아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