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108(2019)년 3월 18일
집값을 모르는 주인들
내가 살고있는 창전거리가 일떠섰을 때 한 외국인이 우리 인민반을 찾은적이 있었다.
그날 외국인과 우리 인민반 주민사이에는 이런 대화가 오갔다.
《집값이 얼마입니까?》
《모릅니다.》
《어떻게 되여 이 집에서 살게 되였습니까?》
《나라에서 주었습니다.》
《공짜로 말입니까?》
《그렇습니다.》
외국인은 눈이 휘둥그래졌다. 하지만 그가 창전거리의 살림집들을 다 돌아보았다 하더라도 다른 대답을 듣지 못하였을것이다.
실지로 믿어지지 않아 여러 집을 다녀보았지만 그 어떤 질문에도 척척 대답하던 집주인들은 집값이 얼마인가 하는 물음에만은 말문이 막혀 난처한 표정을 지었다. 오히려 외국인이 자기네 나라에서 이만한 집을 쓰고살려면 수십만US$를 내야 한다고 말해주군 하였다. 결국 손님이 주인에게 집값을 알려주었다.
종시 의문을 풀수 없었던 외국인이 어떻게 되여 이런 훌륭한 집을 공짜로 가질수 있는가, 혹시 당신들의 친척중에 권력가나 특권층이 있지 않는가고 다시 물어보았다.
그때 집주인들은 이 거리에 새집들이한 가정들의 대부분이 평범한 로동자, 사무원들이다, 우리가 이 집을 받게 된것은 새 거리가 일떠서기 전에 이 지구에서 살았기때문이다, 나라에서는 낡은 아빠트들을 헐고 단 1년사이에 이처럼 훌륭한 아빠트들을 건설해주었다고 한결같이 말해주었다.

- 창전거리 -
공화국에서는 막대한 자금을 들여 건설한 새 집들을 근로하는 인민들에게 무상으로 나누어주는것이 평범한 사실로 되고있다. 최근년간에 일떠선 미래과학자거리와 려명거리의 현대적인 살림집들에도 평범한 교원, 과학자들이 보금자리를 폈으며 나라의 방방곡곡에서 쉬임없이 일떠서는 문화주택들도 땀흘려 일하는 로동자, 농민들에게 우선적으로 차례지고있다.

- 미래과학자거리 -

- 려명거리 -
하기에 우리 인민들은 자기 이름을 문패에 보란듯이 새기고 살면서도 그 집값이 얼마인지 정녕 모르고있다.
돈이 모든것을 좌우지하는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상상조차 할수 없는 일이다.
어느 한 자본주의나라에는 부자촌으로 불리우는 지역이 있는데 평균 살림집가격은 670만US$에 달한다고 한다.
그런데 바로 그 곁에 판자집과 천막 지어 마대를 이어 만든 집들이 여기저기 줄줄이 늘어져있었다.
그러고도 현지당국이 불안전한 위험요소라느니, 위생시설이 없는 더러운 곳이라느니 하며 모두 떠날것을 강요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보잘것 없는 《안식처》마저 잃고 떠돌아다니지 않으면 안되였다고 한다.
한줌도 못되는 자본가들이 호화주택에서 부패타락한 생활을 하고있을 때 수많은 가난한 사람들은 한칸짜리 집도 없어 거리를 헤매다가 죽는것이 자본주의제도의 인권실상이다.
하기에 우리 인민들은 이렇게 격정을 터치고있다.
- 인민대중의 리익을 최우선, 절대시하며 인민모두를 참다운 문명생활의 주인으로 내세워주는 우리 식 사회주의제도가 세상에서 제일이라고.
창전거리 주민 김명희
첫댓글 주택는 무상보급 토지는 전부 나라 땅 그것이 국가정책 이지요
사회주의에서 부러운 것이 그것이다요 우리 임정에서도 그런
계획 세워는데 외세에 의해서 아직도 외세 입김으로
나의 삶 환경에 있어서
집은 고사하고
안굶어 뒈지려고
필명을 부적처럼 먹고사니즘으로 지었다..
서울에서 왠만한 집 한 체 빚 없이 건사 한다는 건
일생을 강도질,사기질,도둑질을 발바닦 벗겨지게
열심히 뛰지 않는 한 성취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무한경쟁 이남사회에서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살아남기란
인간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인 "도덕,량심,의리"를 개나 줘버려야
그나마 생존을 부지 할 수 있는 형편일 것 같다능..
그래서
따따블 범죄발생이 멈춰지지 않는
범죄 만땅꼬 이남사회라고
이렇게 내일은 없다식 내 생각 임..
이에 아닐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아무래도 인간능력을 뛰어넘는 도사나 귀신일 듯 함..
완전하게 평등할까? 누군 디자인 세련된 고층 아파트?
누군 밋밋한 고층 아파트?
더 멋있는 집에 사는 사람들은 특권층?
사실 집 모양이 멋있고 세련되면 그 안에 사는 사람도 그 기운을 느낀다
그래서 집을 화려하고 멋있게 지으려고 소재, 재료, 디자인에 신경을 쓰지
그렇다면 북한은 완전 평등을 위해서 박스형 완전 똑같은 집이 지어져야 맞을 것이다
인공위성으로 평양을 본다면 주변 지역에 판자촌 마냥 구식 집들이 밀집해 있는 걸 볼 수 있다!
거기 사는 사람은 개을러서 거기에서 사나?
도시가스가 없는 그런 집은 땔감이나 석탄을 난방 연료로 사용하는데 북한도 미세먼지 때문에 죽을 거 같다
북한판 거지들이 사는 곳이겠지?
http://cafe.daum.net/sisa-1/dtCc/1037
북맹탈출
@작설차 이미 망한 사회주의인데 북맹탈출이라뇨
뭐 개념이 낮으니까 무개념이 좋다고 하는 거 아닌지요
@연민 또는 사랑 망한사회주의인지 흥한 사회주의인지는
북한 사회 메뉴를 보면 알겠지요
연간 7%정도 고도성장
진천규 기자 ㅡ검색
신은미 방북기 ㅡ검색
@작설차 뭐 성장이야 바닥에서 올라가니까 그렇지요
그리고 그런 지식을 어디에서 북한식이라며 습득했을까요?
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과 또 경쟁에서 나은 제품으로 지식이 쌓이고 그런 지식은
사회주의가 못 따라가는 것이지요
결국 첨단 제품의 각축장이 자본주의에서 나오고 훨씬 편리한 세상이 됩니다
그중에 북한이 수용해서 북한식이라며 떠드는 것이지요
뭐 특허제도가 없으니 남의 지식 재산권 훔쳐 간들 뭐라 하겠어요?
@연민 또는 사랑 현재 북한은 농사를 짓거나,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세금 30% 거두고,
70%는 농민이나 공장 직원들 몫...고로 생산량이 급증.
기술개발 경쟁이 붙여 상전벽해로 바뀌었다고
중국 학자나 재미동포들이 방문하여 상점 상품 종류는 중국 마트와 비슷하고
중국산에서 90%이상 북한산으로 바뀐걸 보고 확인..품질도 차이가 거의 없다고 함.
우리는 CT도 수입..북한은 자체개발...독일이 품질이 좋고 저렴해서 수입한다고 함.
첨단기기 개발이 무서울정도로 발전..
세계특허도 출원한게 많음..계속 늘어난다고 함.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843
“북 천연흑연제품 개발로 세계시장 독점 가능성” <조선신보>
@작설차 우리식이라며 가는 북한인데 특허는 왜 출원했을까요?
그리고 ct보다는 mri로 갑니다 ct는 방사선 때문에 인기가 없어요
북한산으로 바뀐다고 하는데 당연하겠지요 살 돈이 없으니 만들어야죠
첨단 제품이 무서울 정도면 세계적인 히트 상품이 되어 털리기 쉬운데 조심해야겠군요
참나
@연민 또는 사랑 작년인가 방사능이 거의없는 CT를 개발..
왜 특허를 내는지 모르는 모양이죠?
@작설차 어쨌든 MRI가 해상도나 모든 면에서 우수합니다 등급이 다른 거지요
뭔 말인지 몰라요?
@연민 또는 사랑 해상도는 MRI와 거의 동격...그래서 독일에서 수입??
@작설차 저기요 사양 좀 가져와 보세요
그리고 영상 출력을 컴퓨터가 하는데 그게 해상도를 결정하는 건 컴퓨터죠
컴퓨터의 성능도 좋아야죠
그러면 북한은 자체 cpu나 그래픽 gpu를 생산 한다고 합니까?
참나
@연민 또는 사랑 http://nktoday.kr/?p=9863
북한, 첨단의료기기 CT 자체 개발
http://nktoday.kr/
북한뉴스
@작설차 한국은 mri라니까요 참나
그리고 예전에 비디오 헤드 한 개에서 점차 8개까지 늘리면서 화질 좋아졌다고
했지만
그래봐야 해상도가 600*480인가 했었고
그걸 뛰어 넘은 게 디지털 녹화 방식으로 바뀐 겁니다
지금이야 UHD녹화 재생도 가능한 휴대폰이지만
ct라는 x선의 태생적 한계가 있는 겁니다
뭐 싼 인건비에 대량 생산을 한다면 경쟁력이 있겠지만
그런 제품이 서방에 잘 팔려서 돈 왕창 벌까요
뭐 돈 개념이 없으니 널리 쓰이진 않겠죠?
@연민 또는 사랑 독일이 왜 수입했겠어요?
님은 박사모?
@연민 또는 사랑 http://surprise.or.kr/board/view.php?uid=163637&table=global_2&start=8800
북의 과학자, 얼마나 많기에 그 많은 기술 100% 자립할까?
@작설차 독일이 수입한 게 성능 때문이라면 수입하라고 하세요
그렇다고 그게 뭐 대단한 거라고 한다면 할 말이 없고요
그리고 독일이 수입을 몇 대나 했고 그 사용하는 의료진이 얼마나 만족하며
또 주문이 필요한 병원이 몇이나 되나요?
그러니까 한 대 샘풀로 수입한 건지
뭐 정보가 없네요
그리고 싼 인건비에 싸게 수입했다면 불공정 행위로
제재가 들어갈 겁니다
또 컴퓨터 cpu나 gpu등 서방 제품이 아니라면
그런 부속, 부품은 어떤 제품 사양인가 말하는 겁니다
단순히 독일에서 수입했으니 인정해 달라?
@연민 또는 사랑 반도체도 삼성보다 먼저 개발했다고 함.
자동차,컴,스마트폰(650만대).기타 등등 생산
@작설차 그렇게 대단하면 돈 많이 벌어서 남한 거지에게 기부좀 하라고 하세요
그리고 그 기술이란 게 인터넷 뒤지면 나오는 거 아닙니까?
그리고 은밀이라고 한다면 내부망 즉 내부에서만 연결하는 것은 외부로 갈 수 없는 겁니다
단순한 것도 대단한 것인냥 확대 해석하는 건 아니지요
그리고 사업목적이나 대량 통신 인공위성 북한이 아직 올린 게 없어요
그리고 광통신은 중국애들이 모방한 거 부품 사다가 깔면 되는 거고 북한도 모방으로 만들어 깔 수도 있겠죠
대단한 거라고 한다면 뭐 그 분야 지식을 몰라서 대단하다고 밖에 말 못 한다 밖에요
그리고 인구 이천 오백만 되는 나라에 그만한 일 안 하는 나라 없어요 더 대단한 일 하는 나라 많죠
@연민 또는 사랑 광명성 3호 - 검색
은하 로켓 - 검색
100% 자립?
@연민 또는 사랑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3716826
위성로켓기술, 이렇게 어렵다니..!
http://www.diodeo.com/news/view/1811216
정지위성 분출시험 성공적으로 진행.
@작설차 광명성 3호'의 무게는 100kg, 수명은 2년, 용도는 지구관측위성
즉 통신 위성이 아니지요
뭐 통신 위성이 제대로 되려면 정지 궤도까지 올려야하고
수명도 5년은 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서 무게도 몇 톤은 되어야 하는데
뭐 답은 알아서 판단하세요
@연민 또는 사랑 한국에서 타국에 의뢰해서 올린 위성은 10년도 더 사용하는것 같은데요?
@연민 또는 사랑 연민씨 진실은 대적할수가 없담니다. 수고하셨음니다...혹여 뽀너스가.???..주어없음...ㅋㅋㅋ
어이 연민씨 반가워요. 한동안 조용하기길래 궁금했는데 엄청 반갑네요. 재미있는 사람이라 더욱 연민이 갑니다. 건강하시고 이제는 공부 좀 할 때가 된 것도 같은데~ 정의에 대하여.
집값도 없고
치료비도 없고
교육비도 없고
그런 걱정만 없어도 좋지요
사람이 살만 하지요
묻지마 살인 걱정도 없고
사기협잡 당할 일도 없고
갑질 폭력 폭행 당할 일도 없고
유괴 당할 일도 없고
살인청부로 귀신도 모르게 죽임을 당할 일도 없고
생활비관으로 자살할 일도 없고
아직 여러가지로 부족한것도 많고
물질적으로 넉넉하지는 못해도
직위고하는 있어도
직업의 귀천이 없고
굴종이나 강요도 없고
빈부격차 불평등 갈등이 없는 게
조선의 실상이지요
하여튼 연민씨는 재미난 사람이라니까 수폭은 아무나 가지나, ICBM은 아무나 가지나, IRBM은 아무나 가지나, 양키하고 맞짱은 아무나 뜨나, 악랄한 제재는 아무나 이겨내나, 식민지 똥개나라들은 꿈도 못 꾸지롱. 그라고 막말로 이놈의 나라에서 공짜집 한번이라도 줘 봤나.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올리려면 소재 에너지 통신 프로그램 센서 반도체 CNC 등의 첨단기술이 합쳐져야 올라가지 않겠나. 누구처럼 허접하면 양키랑 짱깨 등이 현재와 같은 포지 취하겠나. 마 그만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