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창투사 | 메타,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소식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메타)이 한국의 인공지능(AI) 칩 설계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해짐. 메타는 퓨리오사AI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인수가 이달 안에 완료될수 있다고 알려짐. 퓨리오사AI는 데이터센터 서버용 AI 추론 연산 특화 반도체를 개발하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스타트업으로 메타가 이 스타트업에 눈독을 들인 것은 자체 AI 칩 개발을 위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퓨리오사AI 투자사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나우IB를 비롯해 LB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HB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 등 창투사 테마가 상승. 퓨리오사AI와 AI 반도체에 화질 개선 AI 서비스를 탑재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한 바 있는 포바이포, 퓨리오사AI의 투자사이자 협력사인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ID)을 관계사로 보유한 엑스페릭스도 시장에서 부각. 퓨리오사AI와 방산 진출 협력 계약을 체결한 바있는 팬스타엔터프라이즈도 시장에서 부각. |
조선/ 조선기자 재 | 美, 동맹국의 美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상승 |
▷11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 리 공화당 의원 등은 지난 5일해군과 해안경비대의 준비 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법안 두 건을 발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은 외국 조선소에서의 해군 함정건조를 금지하는 법을 개정해 한국 등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에 있는 조선소에 해군 함정 건조를 맡길 수 있도록 하는 법으로 알려짐.
▷한편, 법안은 특정 국가 언급은 없으나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체결한 인도·태평양 국가 중 첨단 해군 함정을 건조할역량을 갖춘 국가는 한국과 일본뿐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이후 "한국 조선업과의협력을 기대한다"라며 한국 조선업계에 협약의지를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중공업, HJ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STX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방산업계, 올해 영업이익 3조원 돌파 기대감 및 정부, 600억원 규모 방산펀드 조성 소식 등에 상승 |
▷금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대로템·한국항공우주(KAI)·LIG넥스원 등 국내 주요 방산업체 '빅4'의 지난해 합산 영업이익은 2조6,528억원으로 전년대비 114.2% 증가했으며 매출 역시 22조5,337억원으로 28% 증가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업계 관계자는 "K-방산의 글로벌 시장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올해 방산 매출이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폴란드, 이집트 등 추가 납품 및 신규수주 가능성 등으로 올해 빅4 합산 영업이익은 3조원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중소 방산기업육성·지원을 위한 정책펀드를 조성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방위사업청은 올해 방산 벤처기업을 위한 정책 펀드를 결성할 계획으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600억원을 투입하며 올해는 200억원의 예산이 편성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아이쓰리시스템, RF시스템즈, 한화시스템, STX엔진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인터넷 대표주/ 반도체/ 제약/바이오 등 | 美 금리인하 속도 조절 전망 등에 하락 |
▷지난밤 美 상원 은행위원회 증언에 나선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발언을 내놨음. 파월 의장은 "현재의 정책 기조가 이전보다 상당히 덜 제약적인 상태이며 경제가 여전히 강한 만큼, 우리는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있어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힘. 이어 "정책 긴축을 너무 빠르거나과하게 완화하면 인플레이션 둔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반대로 정책 긴축을 너무 늦거나 적게 완화하면 경제 활동과 고용이 지나치게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윤곽이 명확히 드러날 때까지 금리를 계속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편, 현지시간으로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가 적용될 예정인 가운데, 추가적인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도 지속.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나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검토중"이라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성장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와 SK하이닉스, 케이알엠, 이미지스, 파두, 삼양엔씨켐, 와이씨켐, 알에스오토메이션, 피에스케이홀딩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아울러, 금리 변동에 따른 밸류에이션 변화가 큰 녹십자웰빙, 에스티팜,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넥스 등 제약/바이오관련주도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