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비넥타이 매고 “이게 뭡니까”라고 외치던 산남(山南) 김동길(金東吉·1928~2022) 선생의 목소리가 그리워진다.
편하게 만날 수 있었던 선생의 홈페이지 ‘석양에 홀로 서서(www.kimdonggill.com)’도 지금은 열리지 않는다.
서울대 정치학과 최명(崔明·82) 명예교수는 매주 월요일 마다 ‘석양에 홀로 서서’에 글을 올렸다. 2020년 4월 중순부터 만 2년 반 동안 이어졌다. 코너 이름은 ‘이 생각 저 생각’. 재미와 교양이 가득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산남 선생에 대한 그리움에, 그리고 한 편씩 공들여 쓴 글이어서 미련이 남았다. 최근 이 글을 모두 묶어 556쪽에 이르는 《이 생각 저 생각》을 펴냈다.
1. 저자 최명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법학사, 1962년)를 졸업했다. 또 미국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정치학석사, 1967년; 정치학박사, 1970년), 미국 Monmouth College 전임강사(1969~1970년),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 조교수(1972~1975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 조교수𐄁부교수𐄁교수(1975~2006)를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현대중국의 정치》(1974), 《현대중국의 이해》(1975), 《미국정치론》(1975), 《비교정치학서설》(1979, 1985, 1998), 《소설이 아닌 삼국지》(1994), 《소설이 아닌 林巨正》(1996), 《춘추시대의 정치사상》(2004), 《나의 글 나의 정치학》(2006), 《술의 노래》(2014), 《술의 반란》(2018), 《몸과 마음》(2021), 《정치분석입문》(2021) 등의 저서와 《비교국가론》(1985), 《민주국가론》(1985), 《중국정치사상사》(1988, 1999) 등의 역서가 있다.
2. 《이 생각 저 생각》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들
신간 《이 생각 저 생각》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똬리에 똬리를 틀고 있다.
무애(无涯) 양주동(梁柱東·1903~1977)의 《문주반생기(文酒半生記)》(1960), 수주(樹州) 변영로(卞榮魯·1898~1961)의 《酩酊四十年(명정사십년)》(1953), 후지와라 데이(藤原 貞)의 실록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번역한 정광현(鄭廣鉉)의 《내가 넘은 삼팔선(三八線)》(1949), 후지와라 마사히코(藤原 正彦·1943~)의 여러 편의 글과 논문들, 데일 카네기(Dale Carnegie·1888~1955)의 《우도(友道)》, 천리구(千里駒) 김동성(金東成·1890~1969)의 《미주(米洲)의 인상(印象)》 등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이야기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여러 화제(話題)에 담긴 이야기마다 최 교수는 유려한 문체로 ‘이 생각 저 생각’을 거침없이 쏟아내는데 그 깊이와 넓이에 깊이 빠져들게 된다. 평생 학자로 쌓아올린 지적(知的) 편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유능한 독자라면 하룻밤 사이에 한 자리에 앉아 550쪽이 넘는 책을 다 읽을 수도 있을 만큼 흥미롭다.
3. 양주동의 술 이야기
《이 생각 저 생각》에는 양주동 선생의 이야기가 비중있게 나온다. 자칭 국보(國寶)였던 무애의 이야기 중에 술[酒]을 빼놓을 수 없다.
무애는 술 잘 먹는 DNA를 갖고 태어났는데 아버지를 닮은 것이었다. 아버지는 문재(文才)와 산재(算才)에 뛰어났다. 여기에 평생 술을 좋아하여 하루에 삼백배(三百杯)를 마시는 대주호였다. ‘술로 말미암아 아버지는 내가 다섯 살 때 뜻밖의 횡액으로 세상을 떠났거니와, 그 문(文)과 산(算)과 주(酒), 삼장(三長)을 고스란히 내개 물려준 것은 슬프고도 고마운 일’이라고 무애는 아버지를 기렸다.
다섯 살엔 아버지 잔의 술을 빨아마시던 철음(啜飮)이, 열 살에는 광에서 훔쳐 마신 도음(盜飮)으로 발전했고, 열한 살에는 모음(募飮)으로 진보했다.
4. 변영로의 술 이야기
무애의 《문주반생기》와 함께 수주 변영로의 《명정사십년》 역시 왕년 주당(酒黨)들의 애독서다. 수주 이야기도 흥미롭다.
수주 역시 대단한 애주가였다. 수주가 5~6세였을 무렵, 술이 먹고 싶어 어른에게 청해 보았자 소용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그는 술을 훔쳐마시기로 작정하였다.
술독 앞에 다다랐지만 술독이 높았다. 그래, 책상과 궤짝 등을 포개어 놓고 기어오르다가 그만 실족하여 떨어지고 말았는데 얼마나 다쳤는지 아프다고 우는 통에 난리가 났다. 곡절을 안 자당은 등반에 실패한 그 독에서 표주박으로 술을 가득 떠서 주셨다고 한다. 감격해서 마셨을 것이다.
5. 후지와라 데이 이야기
《이 생각 저 생각》에서 최명 교수는 후지와라 데이가 쓴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의 국내 번역서인 《내가 넘은 삼팔선》을 길게 인용한다.
이 책은 주인공 후지와라 데이가 남편과 이별한 후 혼자 여섯 살, 세 살, 생후 1개월 된 아이 셋을 데리고 고국으로 돌아가면서 겪은 실록이다. 날품팔이를 해가며 평안도 선천에서 부산까지, 그리고 송환선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고향에 가기까지 긴 여정을 담고 있다.
6. 후지와라 마사히코의 교육론
최명 교수가 《내가 넘은 삼팔선》을 소개한 것은 데이의 둘째 아들 이야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후지와라 마사히코가 쓴 〈읽고 쓰기 주판으로 밖에 인간을 만들 수 없다〉 등등의 논문을 읽고 ‘이 생각 저 생각’을 드러낸다.
2차 세계대전 전의 일본에는 〈교육칙어(敎育勅語)〉란 것이 있었다. 국체(國體)라는 말이 최고의 가치로 존중되고 ‘공(公)’의 개념이 강조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전후의 〈교육기본법〉은 그 반동으로 ‘개인의 존엄’과 ‘개인의 가치’를 내세웠다. 작용이 있으면 반작용이 있게 마련이지만, 새로운 움직임은 과거의 판단기준을 완전히 마비시켰다고 한다. 아이들의 ‘버릇없는 짓’이 무슨 대단한 ‘개성’인 것으로 존중되었다는 것이다.
7. “수학에 몰두하면 미적 감수성이 발달”
읽기를 통한 지식습득에만 만족해선 안 된다. 후지와라 마사히코에 따르면 “주판(籌板)이 더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판은 산수를 말한다.
읽기와 계산 연습은 뇌의 전두전야(前頭前野)에 혈액을 증가시킨다. 전두전야는 대뇌의 앞부분인 이마 근처인데 사람의 개성을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 지혜를 늘리는 기능도 한다.
사람들이 흔히 수학에 몰두하면 논리의 힘이 증대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은 그게 아니라 미적 감수성이 발달된다. 미적 감수성은 독창력과 관계가 있다. 수학천재가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다. 모국어와 계산력을 가르친 결과다.
8. 사람을 다루는 기술 3가지
최 교수는 데일 카네기의 국내 번역서인 《우도(友道)》를 자세히 다룬다. 8·15 해방 이후 연세대 신과대학 이환신(李桓信·1902~1984) 교수가 번역한 책이다. 책을 읽으며 다양한 인간관계의 기술을 자연스레 배울 수 있다. 최명 교수의 말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생각 저 생각》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들
신간 《이 생각 저 생각》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똬리에 똬리를 틀고 있다.
무애(无涯) 양주동(梁柱東·1903~1977)의 《문주반생기(文酒半生記)》(1960), 수주(樹州) 변영로(卞榮魯·1898~1961)의 《酩酊四十年(명정사십년)》(1953), 후지와라 데이(藤原 貞)의 실록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번역한 정광현(鄭廣鉉)의 《내가 넘은 삼팔선(三八線)》(1949), 후지와라 마사히코(藤原 正彦·1943~)의 여러 편의 글과 논문들, 데일 카네기(Dale Carnegie·1888~1955)의 《우도(友道)》, 천리구(千里駒) 김동성(金東成·1890~1969)의 《미주(米洲)의 인상(印象)》 등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이야기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여러 화제(話題)에 담긴 이야기마다 최 교수는 유려한 문체로 ‘이 생각 저 생각’을 거침없이 쏟아내는데 그 깊이와 넓이에 깊이 빠져들게 된다. 평생 학자로 쌓아올린 지적(知的) 편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유능한 독자라면 하룻밤 사이에 한 자리에 앉아 550쪽이 넘는 책을 다 읽을 수도 있을 만큼 흥미롭다.
양주동의 술 이야기
《이 생각 저 생각》에는 양주동 선생의 이야기가 비중있게 나온다. 자칭 국보(國寶)였던 무애의 이야기 중에 술[酒]을 빼놓을 수 없다.
무애는 술 잘 먹는 DNA를 갖고 태어났는데 아버지를 닮은 것이었다. 아버지는 문재(文才)와 산재(算才)에 뛰어났다. 여기에 평생 술을 좋아하여 하루에 삼백배(三百杯)를 마시는 대주호였다. ‘술로 말미암아 아버지는 내가 다섯 살 때 뜻밖의 횡액으로 세상을 떠났거니와, 그 문(文)과 산(算)과 주(酒), 삼장(三長)을 고스란히 내개 물려준 것은 슬프고도 고마운 일’이라고 무애는 아버지를 기렸다.
다섯 살엔 아버지 잔의 술을 빨아마시던 철음(啜飮)이, 열 살에는 광에서 훔쳐 마신 도음(盜飮)으로 발전했고, 열한 살에는 모음(募飮)으로 진보했다.
변영로의 술 이야기
무애의 《문주반생기》와 함께 수주 변영로의 《명정사십년》 역시 왕년 주당(酒黨)들의 애독서다. 수주 이야기도 흥미롭다.
수주 역시 대단한 애주가였다. 수주가 5~6세였을 무렵, 술이 먹고 싶어 어른에게 청해 보았자 소용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그는 술을 훔쳐마시기로 작정하였다.
술독 앞에 다다랐지만 술독이 높았다. 그래, 책상과 궤짝 등을 포개어 놓고 기어오르다가 그만 실족하여 떨어지고 말았는데 얼마나 다쳤는지 아프다고 우는 통에 난리가 났다. 곡절을 안 자당은 등반에 실패한 그 독에서 표주박으로 술을 가득 떠서 주셨다고 한다. 감격해서 마셨을 것이다.
후지와라 데이 이야기
《이 생각 저 생각》에서 최명 교수는 후지와라 데이가 쓴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의 국내 번역서인 《내가 넘은 삼팔선》을 길게 인용한다.
이 책은 주인공 후지와라 데이가 남편과 이별한 후 혼자 여섯 살, 세 살, 생후 1개월 된 아이 셋을 데리고 고국으로 돌아가면서 겪은 실록이다. 날품팔이를 해가며 평안도 선천에서 부산까지, 그리고 송환선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고향에 가기까지 긴 여정을 담고 있다.
후지와라 마사히코의 교육론
최명 교수가 《내가 넘은 삼팔선》을 소개한 것은 데이의 둘째 아들 이야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후지와라 마사히코가 쓴 등등의 논문을 읽고 ‘이 생각 저 생각’을 드러낸다.
2차 세계대전 전의 일본에는 〈교육칙어(敎育勅語)〉란 것이 있었다. 국체(國體)라는 말이 최고의 가치로 존중되고 ‘공(公)’의 개념이 강조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전후의 〈교육기본법〉은 그 반동으로 ‘개인의 존엄’과 ‘개인의 가치’를 내세웠다. 작용이 있으면 반작용이 있게 마련이지만, 새로운 움직임은 과거의 판단기준을 완전히 마비시켰다고 한다. 아이들의 ‘버릇없는 짓’이 무슨 대단한 ‘개성’인 것으로 존중되었다는 것이다.
“수학에 몰두하면 미적 감수성이 발달”
읽기를 통한 지식습득에만 만족해선 안 된다. 후지와라 마사히코에 따르면 “주판(籌板)이 더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판은 산수를 말한다.
읽기와 계산 연습은 뇌의 전두전야(前頭前野)에 혈액을 증가시킨다. 전두전야는 대뇌의 앞부분인 이마 근처인데 사람의 개성을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 지혜를 늘리는 기능도 한다.
사람들이 흔히 수학에 몰두하면 논리의 힘이 증대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은 그게 아니라 미적 감수성이 발달된다. 미적 감수성은 독창력과 관계가 있다. 수학천재가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다. 모국어와 계산력을 가르친 결과다.
사람을 다루는 기술 3가지
최 교수는 데일 카네기의 국내 번역서인 《우도(友道)》를 자세히 다룬다. 8·15 해방 이후 연세대 신과대학 이환신(李桓信·1902~1984) 교수가 번역한 책이다. 책을 읽으며 다양한 인간관계의 기술을 자연스레 배울 수 있다. 최명 교수의 말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시작의 글
제1장 처음 〈이 생각 저 생각〉
제1화 장비 이야기 1: 참는 것도 한도가 있다
제2화 장비 이야기 2: 정음사 《삼국지》
제3화 장비 이야기 3: 최영해와 박태원
제4화 오빠 생각 1: 최순애
제5화 오빠 생각 2: 이원수
제6화 중화론(中禍論): 중국을 경계하자
제7화 생각고(考): 생각에 대한 생각
제8화 지자막여부(知子莫如父) 1: 관중과 포숙
제9화 지자막여부(知子莫如父) 2: 자식에게 이기는 부모는 없다
제10화 6·25사변: 잊어서는 안 된다
제11화 8월 15일: 8·15는 대한민국 건국일이다
제12화 사계절: 사라 콜리지
제13화 설거지론(論) 1: 이순신 전법
제14화 설거지론(論) 2: 구체적 방법
제15화 설거지론(論) 3: 물을 절약해야 한다
제16화 이순신: 문무를 겸전하다
제2장 다시 〈이 생각 저 생각〉
제1화 글쓰기: 쉬운 것은 없다
제2화 스승 1: 가르치려 하지 마라
제3화 스승 2: 그래도 배워야 한다
제4화 기망(旣望): 〈전적벽부〉
제5화 패션 1: 발
제6화 패션 2: 맨발
제7화 마당 1: 정원과 공원
제8화 마당 2: 〈바우고개〉
제9화 마의태자: 비극의 왕자
제10화 등왕각: 중국의 누각
제11화 새치: 이호민과 이덕형
제12화 군밤 1: 땍때굴 굴러 나왔다
제13화 군밤 2: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네가 알고 내가 안다
제14화 군밤 3: 군밤과 속담
제3장 무애 양주동
제1화 국학의 기재(奇才)
제2화 <가시리>
제3화 술의 DNA
제4화 술의 묘미
제5화 연애
제6화 무애와 유엽, 백기만
제7화 무애와 고월 이장희
제8화 술과 추태
제9화 무애와 횡보 염상섭
제10화 무애와 춘성 노자영
제11화 〈朝鮮의 脈搏〉
제4장 수주 변영로
제1화 삼변(三卞)
제2화 시와 수필
제3화 <불혹과 부동심>
제4화 〈朝鮮의 마음〉
제5화 술 술 술
제5장 《내가 넘은 38線》
제1화 다시 읽고 싶은 책
제2화 세계대전의 종료
제3화 이별과 재회
제4화 그 어머니의 그 아들
제6장 후지와라 마사히코
제1화 국어교육론
제2화 국어의 중요성
제3화 국어와 정서교육
제4화 읽기 쓰기 그리고 주판
제5화 다시 읽기 쓰기 그리고 주판
제6화 수학 수학 그리고 수학
제7화 수학과 정서 그리고 자연환경
제8화 수학의 아름다움
제9화 저널리스트와의 대담
제10화 한국의 수학
제7장 데일 카네기의 《友道》
제1화 최초의 번역본
제2화 가정교육의 중요성
제3화 책 읽는 방법
제4화 사람을 다루는 기본기술
제5화 비평하지 말고 칭찬하라
제6화 사람을 낚는 방법
제7화 진심으로 대하라
제8화 미소를 지어라
제9화 이름을 기억하라
제10화 남의 말을 경청하라
제11화 상대의 관심사를 얘기하라
제12화 자신이 중요하게 느끼도록 만들어라
제13화 하나님의 실수
제14화 변론하지 마라
제15화 논쟁하지 마라
제16화 잘못을 바로 시인하라
제17화 늘 친구 대하듯 하라
제18화 ‘예’라고 말하도록 유도하라
제19화 말하게 하고 들어라
제20화 노자의 지혜
제21화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보라
제22화 상대의 소원을 들어줘라
제23화 사람마다 좋아하는 호소
제24화 사상을 극화시켜라
제25화 시작과 끝
제26화 경쟁심을 돋우어라
제27화 지도자가 되는 방법
제28화 비판은 간접으로
제29화 상대방의 마음을 고치는 방법
제30화 명령 대신 질문
제31화 상대방의 체면을 살려라
제32화 칭찬을 아끼지 마라
제33화 칭찬은 많을수록 더 좋다
제34화 위신을 세워줘라
제35화 격려하면 잘못은 쉽게 고쳐진다
제36화 항상 기쁜 마음으로 일하게 하라
제37화 편지 쓰기
제38화 편지와 노래들
제39화 다시 편지 이야기
제40화 가정의 화목
제41화 톨스토이와 링컨의 부인
제42화 뛰어난 정치가들의 아내
제8장 천리구 김동성
제1화 천리구와 만나다
제2화 천리구의 책들
제3화 사진으로 보는 천리구
제4화 마천루
제5화 안창호에게 보낸 엽서
제6화 유학시절의 사진
제7화 이런저런 《米洲의 印象》
제8화 첫 미국 여행
제9화 뉴욕 여행에서 깨닫다
제10화 시골생활과 아웃하우스
제11화 미국의 시골
제12화 미국 교회 인상기
제13화 미국의 가정
제14화 춤 이야기
제15화 자동차 이야기
제16화 옷 이야기
제17화 개구리 다리
제18화 충돌사고
제19화 우편배달부
제20화 사랑 이야기
제21화 나의 사랑
제22화 부드럽고 온유한 사랑?
제23화 여성참정권
제24화 대학 사교 모임
에필로그 1: 산남 김동길 선생과 나
에필로그 2: 마지막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