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 철도외 공공교통 2013년 서울발 고속버스 승객수
서울 급행 추천 0 조회 1,118 14.02.22 23:13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2.23 02:17

    첫댓글 서울(센트럴)-광주 노선은 5분 간격 투입이니... 이용객이 ㅎㄷㄷ 하죠~ 금호고속이 팍팍!/서울(강남)-진주 버스 노선 은 역시 진주역이 외곽으로 옮겨가버리는 바람에(구> 개양역 근처) 접근성이 떨어져부니 오히려 버스 타기가 많아진 것 같네요../저희 친가쪽(정읍/서울 센트럴시티-정읍) 가는 노선은 31위네요~

  • 14.02.23 10:11

    작년에 대구역 사고와 장기간 철도파업으로 주말에 일반열차와 ktx가 빠진것에 많이 편승했으나 수서고속철도가 개통한 이후부터가 관건이 되겠죠. 다만 수도권고속철을 분리했기에 마산,전주,포항,구포 방향을 초기에 수서에서 운행하지않는게 변수가 될수 있습니다. 호남고속철 개통이 임박해가고 있으나 호남고속철용 차량이 바로 증차되는게 아니라 수서고속철 개통후 신차가 운행되므로, 호남고속철 개통후의 호남고속선 승객증가효과가 바로 크게 나오진 못하겠죠. 버스업계는 수도권고속선 개통후부터가 문제가 되는겁니다. 다만 현재 ktx 차량으로 포항,인천공항까지 당장은 감당해야되는게 버스업계에선 단기간으론 다행이긴하겠죠

  • 작성자 14.02.23 11:36

    증차는 안되더라도 호남고속선 뚫리면 소요시간 대폭 단축으로 차량 회전률이 증가하니 증회할 여력이 되긴 합니다. 다만 서울쪽 선로용량 포화가 걸림돌이지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14.03.03 11:20

    진주행 KTX이용객중 서울,광명에서 진주까지 가는 사람이 65%인데요? 제대로 아시고 말씀하는건지..? 게다가 서울에서 진주가는 이용객이 가장 많습니다

  • 작성자 14.03.03 17:13

    @KTX부산역 글쎄요? 정작 통계상으로는 진주 KTX 승객수는 계륵정도밖에 안되는 수준입니다만. 편성당 승객수로 봐도 창원에 압도적으로 발립니다.

  • 14.02.23 10:28

    호남고속선과 수도권고속선이 개통되면 대전노선 제외하고는 고속버스 수요 빠질겁니다..여수나 순천이 재작년대비 승객이 줄은 것은 여수엑스포와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의 영향이 커서 이 행사들이 끝난 이 후 승객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됩니다..호남고속선이나 수도권고속선 KTX수서역이 생기면 센트럴-광주도 5분배차는 안하고 배차간격 늘어날 것입니다..

  • 14.02.23 10:32

    호남고속선이 개통되면 익산 정읍 목포는 식물인간될거고 김제,장성(전환시외로 함평행과 능주행도 장성경유),나주, 함평,무안(함평 무안은 전환시외임)은 폐지될 겁니다..김제 나주는 센트럴발 시급 노선 중 승객이 없다시피하고 김제는 예전 금호고속서 터미널을 시외로 이전할려 했을때 김제시장이 막았었죠..3년전에 시외로 들어갔지만 이 노선 금호고속 입장서 폐지시키고 싶지만 애통리경유로 인해 안하는 거 같습니다..호남고속선 개통되면 폐지하고 애통리 주민들한테는 전주가서 타라고 하던가 하겠죠..

  • 14.02.23 10:35

    경부선 고속버스 특히 대구,부산이 승객이 는건 제 생각에는 전용차로와 더불어 중부내륙고속도로 및 신대구부산 고속도로 개통도 한몫했다 봅니다..그리고 대구,부산은 일반열차승객들이 버스로 옮겨서 그러한데 문제는 강남-대구는 천일이랑 한일 제외하고 신차투입을 안한다는 겁니다..특히 동양차급이 금호보다도 안좋죠..울산은 늘기는 해도 KTX울산역 생긴이래 고속버스랑 항공은 반토막 났습니다..울산역 접근성이 안좋은데도 말이죠..

  • 14.03.04 00:29

    서울-부산 노선은 KTX와 경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률이 늘어났네요. 서울-부산사상 이용객수의 증가도 눈에 띕니다.

  • 14.03.04 17:13

    논산. 연무대 노선은 무슨 이유로 승객이 배로 늘었나요?

  • 14.03.10 22:36

    2013년부터 수료식 면회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영향이라고 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