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운 자여 그대 이름은
“나는 모임도 많고 바쁜데 우리 남편은 친구가 없어요.
다른 집들을 봐도 비슷해요.
여자들은 친구가 많은데, 왜 남자들은 친구가 없지요?”
어느 모임에서 한 지인이 말했다.
“그게 무슨 말?
우리 남편은 너무 모임이 많아서 얼굴 보기도 힘든데-”
하면, 아직 젊었다는 말이다.
부부가 혹은 남편이 은퇴하고 난 60 70대 여성들은 친구 없고 모임 없는 ‘방콕’ 남편 때문에 속이 부글부글 끓는다고 하소연들을 한다.
70대 후반인 지인은 말을 이었다.
“나이가 들수록 남자들은 위축되는 것 같아요.
전에 어울리던 사람과도 연락을 안 하고 좀처럼 외출도 안 해요.
평생 밖으로만 다녀서 은퇴 후에는 그냥 쉬고 싶어서 그러는 걸까요?”
은퇴와 함께 행동반경은 ’집안‘, 대인관계는 ’아내‘로만 줄어드는 노년의 남성들이 적지 않다.
자주 연락을 하지 않으니 친구들은 점점 줄고, 그만큼 밖에 나갈 일도 없어져 자의반 타의반 세상으로부터 고립되는 남성들이다.
그럴수록 아내에 대한 의존도만 높아지니 노년의 아내들은 뒤늦게 ’무슨 시집살이!’라며 답답해 한다.
친구들 모임에 나가도 남편이 집에 있으니 바늘방석이고,
친구들과 여행을 가고 싶어도 집에 혼자 우두커니 있을 남편을 생각하면 좌불안석 언감생심이다.
간혹 아내를 따라 여자들 모임에 나오는 남성들도 있다.
젊었을 때는 이 또한 별로 어색하지 않다.
여자들 모임에 합류한 남성들은 카리스마로 좌중의 대화를 이끌고 때론 밥값도 내며 자리를 즐겁게 하고는 한다.
하지만 노년이 되면 그림은 달라진다.
대개의 남성은 옆자리에 우두커니 앉아있어서 보기에도 안쓰럽고 서로가 어색하다.
노년이 되면 남성들은 왜 친구가 없는 걸까? 젊었을 때의 그 많던 친구들은 다 어디로 간 걸까?
노년의 ’건강‘과 ‘장수’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친구’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노년에 외톨이가 되는 문제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배우자와 자녀 등 가족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지만,
건강하게 장수하는 데는 우정인 친구와의 관계가 최고라고 한다.
친구와 관련된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멀리 보면 수렵채취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성들은 산 넘고 물 건너 사냥을 나가고, 여성들은 인근 동산에서 열매를 따고 나물을 캐서 먹을거리를 장만했다.
사냥 중 남성들은 오로지 목표물에 집중하지만, 열매를 따면서 여성들은 아웃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동네 아이들을 같이 돌본다.
아득한 그 시절의 경험이 유전자 속에 각인되어 남성들은 목표지향적이 되고, 여성들은 관계지향적이 된다고 학자들은 분석한다.
그래서 친구를 사귈 때도 남성들은 어떤 활동을 중심으로 교분을 쌓는다.
어려서는 스포츠나 게임을 같이 하면서 친구가 되고 어른이 되면 일을 중심으로 사회 연결망이 형성된다.
’일 중심‘으로 만들어진 남성들의 관계는 일을 떠나고 나면 와해되기 마련으로,
수십년 일로 만났던 사람들이 은퇴하고 나면 연락하기도 어색한 사이가 된다.
평생 목표를 향해 달리며 말로만 관계를 맺어온 남성들은 노년에 친구가 없을 수 밖에 없다.
반면 여성들은 ‘사람 중심’이다.
만나서 그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여성들의 친구 사귀는 법이다.
기쁘고 슬프고 섭섭하고 화나던 온갖 일들을 시시콜콜 털어냄으로써 서로 위로 받고 서로 이해하는 것이 여성들의 우정 내용이다.
그렇게 수십년 동안을 존재와 존재로 쌓은 교분으로, 은퇴해 시간이 많아지면 더 자주 만나게 된다.
그래서 여성둘은 바쁠 수 밖에 없다.
노년에 남성들은 의식적으로 친구를 사귈 필요가 있다.
가만 있으면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다.
노년의 삶은 단조롭고 가슴은 외롭다.
그래서 동무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