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신도시와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해답을 원도심개발에서 발견했다.
시는 2022년까지 약 2조원의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10년이상 정체됐던 동인천역 주변지역을 ‘생명친화적인 도시재생사업’으로 추진한다고 6일 발표했다.
이 지역에는 앞으로 80층 규모의 대규모 복합시설과 뉴스테이 방식으로 5816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된다.
뉴스테이에는 원주민들을 재입주할 수 있게 해 새로운 형태의 ‘둥지 보존형 개발’이 될 전망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동인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지금까지 엠바고로 관리된 고급정보였다.

동인천지역은 2007년 5월 ‘동인천역 주변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고 주거환경개선과 기반시설 확충 등 도시기능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사업성 악화 등으로 인해 공영개발을 시행하지 못하고, 10여년간을 정체된 지역으로 남아 있었다.
인천시는 재정비촉진지구 내 일부를 공영개발로 시작했으나 보상비 및 사업성 등의 사유로 진행하지 못했던 동인천 지역에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뉴스테이가 연계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일대 지역을 원도심의 랜드마크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을 야심차게 제시한 것이다.
이번 사업은 현재 십정2구역과 송림초교 주변구역의 기업형임대주택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마이마 알이(舊㈜스트레튼 알이)가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사업을 공동으로 시행하자는 제안을 인천시가 받아들여 성사됐다.
사업시행은 민간사업자와 공동으로 시행하게 된다.
인천시는 행정지원, 사업자는 자금조달 및 사업시행을 맡게 된다.
토지면적의 80%이상 매각 동의 받아 공익사업으로 지정하고, 토지면적의 50%이상 동의 및 매입을 통해 뉴스테이 공급 촉진지구 지정 및 사업시행자의 지위를 받아 추진하게 된다는 것이다.

앞으로 소요되는 1조9763억원의 사업비는 하나금융투자 등 금융기관과 자산운용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액 민간자본으로 충당한다.
여기에 투자자 신뢰 및 사업안전성 확보를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보증 등 다양한 신용보강 방안을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인천시의 사업참여를 통해 민간사업이지만 공영방식의 보상이 가능하도록 법적 절차를 거쳐 토지 등 수요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민간사업자와 협약을 통해 자금관리는 수탁은행, 토지 등 취득관리는 토지신탁을 활용하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동인천지역은 ‘원도심 안의 단단한 뿌리 도시’로 개발된다.
시는 뉴스테이 촉진지구를 원도심의 중심지에 계획하고, 역세권 중심의 구역별 조화와 새로운 주거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원주민들이 떠나지 않고 재정착할 수 있게 하는 ‘인간 중심 개발’을 선보이게 된다.
대상지 195,877.6㎡의 약7.3%를 차지하는 중심상업지구에는 호텔, 유통시설, MICE시설 등이 입주할 80층 규모의 복합시설과 연도형 상가시설이 들어선다. 높이가 330미터에 달하는 이 시설은 인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원도심의 부활을 상진하는 건물이 된 전망이다.

배후 주거단지에는 5816가구의 뉴스테이가 건립된다.
특히 여기에는 평생을 동인천지역에서 살아온 주민들의 재정착을 위해 공익사업으로 지정해 건축물을 소유하면서 살고 있는 원주민에게는 이주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분양대상 가능자에게 주택을 공급하는 ‘둥지 보존형 개발’의 모범을 삼겠다는 것이 인천시의 방침이다.
이날 발표에서 유정복 시장은 “뿌리가 단단해야 줄기와 가지가 튼실해 지고 열매 또한 야물게 열린다”면서 “원도심 지역과 주민들이 새롭게 변화하고 발전해 다른 지역과는 다른 특색 있고 활력 있는 희망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법적 절차에 따라 뉴스테이 촉진지구 지정, 보상협의 등을 거쳐 이르면 2018년 상반기에는 착수할 계획이다. 준공은 2022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국민일보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국민일보 꿀잼영상 바로가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첫댓글 보기 불편한가요? 그냥 주소만 올릴까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