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코스 |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예정)
* A코스:용문골입구-신선암터-케이블카상부(용문골,칠성봉전망대 이정표)-
용문굴,칠성봉전망대 (왕복)-케이블카상부(용문골,칠성봉전망대 이정표)-장군봉- 케이블카하차장-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마천대(정상)-군지구름다리-수락폭포-
선녀폭포-수락주차장 (약 7.5km /5-6시간)
* B코스:대둔산주차장-케이블카-케이블카하차장-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마천대(정상)- 군지구름다리-수락폭포-선녀폭포-수락주차장 (약 5km /4시간)
* C코스:대둔산주차장-케이블카-케이블카하차장-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마천대(정상)- 케이블카 하차장-케이블카-대둔산주차장 (약 4-5km /2-3시간)
*케이블카 요금 왕복 16,000원, 편도 13,000원 |
산행정보 | 대둔산(大芚山) 대둔산은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과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및 금산군 진산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가장 높은 봉우리는 878m의 마천대이다. 노령산맥에 속하며, 산줄기로는 주화산에서 부여의 조룡대까지 이어지는 금남정맥에 속한다. 마천대를 중심으로 동쪽은 금강계곡, 서쪽에는 수락계곡이 있으며, 북쪽의 물은 갑천, 남쪽의 물은 장선천을 형성하고, 모두 금강으로 유입된다. 1895년 동학 농민군의 최후 저항지였다. 대둔산은 천여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진 암석산으로 ‘호남의 금강산’이라고 불린다. 대둔(大芚)이라는 명칭은 ‘인적이 드문 벽산 두메산골의 험준하고 큰 산봉우리’를 의미한다. '한듬산'이라고도 한다. 대둔산은 노령산맥에 속하며, 산줄기로는 주화산에서 부여의 조룡대까지 이어지는 금남정맥에 속한다. 최고봉은 마천대(摩天臺)로 해발고도는 878m이며, 마천대를 기점으로 북쪽으로는 칠성봉, 낙조대, 암봉, 돗대봉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서각봉, 천등산으로 이어지며, 서각봉에서 서쪽 방향으로 새리봉, 월성봉, 바랑산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낙조대를 기점으로 동쪽으로 오대산, 서쪽으로 독수리봉까지의 동서 방향의 산줄기가 이어진다. 이 중 금남정맥 산줄기는 이치 – 낙조대 – 마천대 – 서각봉 – 월성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이다. 기암단애(奇岩斷崖)는 주로 낙조대(859m) – 마천대(878m) – 천등산(707m)의 남북 줄기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천등산은 괴목동천에 의해서 산지가 분리되어 있다. 마천대를 기점으로 동쪽과 서쪽에 계곡이 형성되어 있는데, 동쪽 계곡(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방향)은 남동 방향으로 경사가 급하고 짧게 형성되어 있고, 서쪽 계곡(논산시 벌곡면 수락리 방향)은 북서 방향으로 동쪽에 비해서 경사가 완만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서쪽 계곡을 수락계곡이라고 부르며, 상류에서부터 수락폭포, 군지폭포, 비선폭포, 선녀폭포가 있고, 수락저수지로 이어진다. 서쪽 수락계곡의 물은 북쪽 방향으로 흘러 대전 시내를 통과하는 갑천을 이루며, 이 물은 금강으로 흘러간다. 동쪽과 남쪽으로 흐르는 물은 괴목동천을 지나 장선천에 합류하고, 서북쪽으로 흘러 탑정저수지를 지나 논산에서 금강 본류로 합류한다. 즉, 대둔산의 물은 모두 금강수계에 속한다. 지질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 후기에서 고생대까지 걸쳐 있는 옥천층군(沃川層群) 및 고생대 초기의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을 관입(貫入)한 석영 반암(石英斑岩)으로 되어 있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