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집하지 않고 다만 인연 따라 살라
보통 상담을 하고 싶다고 찾아오시는 분들을 뵈면 거의가 '난 이렇게 살아야 한다' '이만큼은 이뤄야 한다'는 집착과 욕심의 틀을 만들어 놓고서 그렇게 살지 못하는 데 대한 괴로움을 하소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스스로 만들어 놓은 ‘그 틀’이 자신을 괴롭히는 것이니 그 틀을 버려야 한다고 말씀을 드리면, 즉각 반발을 합니다. 그것을 내려놓으라고는 하지 말고 괴로움만 없애 달라는 것이지요.
이처럼 보통 사람들은 ‘얼마 이상은 벌어야 한다’거나, ‘어떤 위치 이상은 올라야 한다’거나 하는 그 틀을 딱 정해 놓고 거기에 집착한 채 그렇게 되지 않아 괴롭다고 하소연 하지만, 애써 구하려 하지 않더라도 그 집착의 틀만 깨고 나오면 지금 이 자리에서 온전한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스스로 틀을 만들고 목표를 정해 놓으니 그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괴로운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욕심과 집착이라는 짐을 잔뜩 짊어지고 삶의 길을 걸어가다 보면 우리 삶 자체가 무겁고 괴로워지기 마련인 것입니다.
'이만큼은 살아야 한다'하는 그 바램을 놓아버리면 지금 이 자리에서 특별한 일이 없어도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임제 스님께서는 '불법은 애써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평상심을 유지하여 특별한 일이 없게 함이니, 추우면 옷을 입고 더우면 옷을 벗고, 배고프면 밥을 먹고 졸리면 잠을 자면 되는 것이다. 어리석은 자는 나를 비웃겠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그 뜻을 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불법은 애써 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평상심을 유지하여 특별한 일이 없게 사는 것입니다. 깨달으려고 애쓰고, 돈 벌려고 애쓰고, 잘 살려고 애쓰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 애씀 없이, 특별한 일 없이 그냥 그냥 물 흐르듯 평화롭게 사는 것, 그것이 불법에 이르는 길입니다.
사실 우린 누구나 그렇게 살고 있지요. 다만 머릿속에서 자꾸 굴리고, 분별하고 따지다 보니 자연스런 삶의 흐름을 자꾸 놓치는 것일 뿐입니다. 누구나 추우면 옷을 입고 더우면 옷을 벗고, 배고프면 밥을 찾고, 졸리면 잠을 자게 마련이지요. 또 누구나 돈이 필요하면 돈을 벌고, 마음에 드는 사람이 생기면 누가 하지 말라고 해도 사랑에 빠집니다.
그것이 턱 놓고 자유롭게 사는 평범한 일상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그냥 하고 살면 되는데 자꾸 분별을 짓고 욕심을 부리고 집착을 하는데 있습니다. 추우면 옷을 입으면 되는데 '더 좋은 옷'을 입으려 하고, 배고프면 먹으면 되는데 ‘더 맛있는 것’을 먹으려고 하지요. 집이나 차가 있으면 되는데, 우리는 누구나 더 넓고 좋은 집, 더 좋은 차를 끊임없이 욕망합니다.
사랑이 오면 사랑을 하면 되고, 또 사랑하다 헤어지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이별을 받아들일 수도 있어야 합니다. 사람의 인연이란 것이 그렇게 ‘이 사람 아니면 안 된다’고 딱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도 사람들은 이 사람 아니면 절대 안 된다고 집착하고, 어떻게든 ‘내 사람’으로 만들어야만 사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착각하니 그런 집착에서 괴로움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집착과 분별을 놓고 살면 언뜻 못 살 것 같고, 또 시대에 뒤떨어질 것 같고, 이래저래 도통 안 될 것 같지만 사실은 다 놓고 비우고 살았을 때 참된 평화가 찾아옵니다.
특별히 이렇게 저렇게 살아야 한다는 집착을 내려놓은 채, 다만 다가오는 인연에 응하면서 인연 따라 물 흐르듯 사는 것, 그것이 애써 구하지 않는 평상심의 삶입니다. 이것을 법성게에서는 불수자성수연성이라고 했지요. 특별한 자성을 고집하지 않고 다만 인연에 따라 사는 삶이야말로 자유롭습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첫댓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저에게 지금 필요한 글입니다
불수자성수연성 마음에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감사합니다
인연따라 자숙하며 살겠습니다 ... ^.~
감사합니다. _()_
인연따라 사는것과 운명으로받아들임을 어떻게 구별해야하는지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_()_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불수자성수연성 마음에 깊이 새기면서 받아들입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_()_
不隨自性隨緣性?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