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양광 발전사업 유지보수 관리법 *
1) 모듈 관리
태양전지의 모듈은 강화 유리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지만,
그래도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전면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유리표면에 먼지나 조류 분비물, 나뭇잎, 곤충 분비물 등이 떨어지거나 부착하게 되면
그림자가 발생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발전효율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이물질은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제거 방법은 고압 분사기로 표면에 약하게 분사해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먼저 제거한 다음, 부드러운 천이나 물로 유리표면을
강하게 닦아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유리에 흠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이때 사용하는 물은 지하수가 아닌
수돗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산성이나 알칼리성 약품 사용은 금지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기온이 높고 직사광선이 강하기 때문에 모듈의 표면 온도는 매우 높아지고
이로 인해 발전효율은 저하된다. 그러므로 살수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서 모듈의 표면을 냉각시켜주게 되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태풍이나 돌풍에 의한 외력과 진동으로 구조물에 연결된 모듈의 부착 볼트와 너트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여름과 가을철에는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폭설과 영하의 날씨로 지붕에 설치된 경사가 완만한 모듈인 경우에는
표면의 눈이 계속 쌓임으로써 눈의 무게로 인한 구조물 파손이나
장시간에 걸친 발전량 저하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범위에서 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살수 장비가 있으면 일사량이 좋은 날엔 물을 뿌려주는 것도
좋은 제설 방법인데 모듈이 어느정도 노출되면 발열 작용으로 잔설은 저절로 제거된다.
2) 인버터 관리
인버터는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옥외형은 IP54 등급 이상의 제품으로 물과 먼지로부터 방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고장 없이 장기간 사용하고 싶다면, 직사 광선이나 강한 비바람을 막을 수 있는
모듈이나 지붕 아래 북쪽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 지상으로부터 1m 이상의 높이로 떨어뜨려 습기나 침수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옥내형은 전기실에 통풍이 잘되고, 또 습기가 적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각 팬을 설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먼지가 인버터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기실 바닥 등은
항상 청소 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또 새나 쥐, 곤충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문은 항상 닫혀져있어야 하고,
창문은 방충망 설비가 갖춰져 있어야 한다. 옥내형 인버터는 정기적으로 내부의 공기 필터를
청소하고 교체해주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에어컨으로 먼지를 제거해주어야 한다.
3) MJB관리
MJB (접속반)는 내부의 MCCB 및 역류방지 다이오드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직사 광선을 피할 수 있는 장소에 북쪽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염전 및 저지대 부지에 설치할 경우에는 충분히 높게 설치해서 침수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습기가 많은 곳이나 바닷가 근처는 염분 성분으로 인해 단자에 부식현상이 쉽게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점검이나 부품 교체가 필수적이다.
PCB 계통의 MJB는 결로 및 부식으로 인한 접촉 불량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주 점검하고 열화 자국이 있으면 해당 부품을 반드시 교체하도록 한다.
4) 구조물 관리
태양광발전소의 구조물은 용융 아연도금이 된 철제 구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식은 쉽게 발생하지 않지만 습기가 많은 지역이나 바닷가 근처인 경우에는
용접부와 절단부, 볼트 및 너트 접합부 등에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이 부식이 발생한 경우에는 부식 부위의 녹을 제거한 다음,
용융 아연도금 스프레이로 충분히 도포해주면 장기간 사용하는데 별 문제가 없다.
5) 전선 및 커넥터류 관리
지상에 노출된 전선이나 커넥터류는 내후성 있는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강한 자외선이나 습기, 염분, 고온 등에 노출하게 되면 피복이 열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그러므로 모듈 단자대에 연결된 전선과 커넥터는 모듈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타이 등으로 마감처리를 해야 한다. 모듈간 연결 커넥터는 정확히 결합되지 않거나
모듈 각도를 변경할 경우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결합이 풀어져서
스트링 단선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모듈 각도를 변경한 후나 태풍 피해가 발생한 후에는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6) 모듈의 각도 변경
구조물이 고정형이 아닌 고정 가변형일 경우에는 태양전지 모듈의 각도를 절기에 따라
태양 고도를 변경해주면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모듈 각도는 태양 고도에 따라 자주 바꿔줄수록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이에 수반되는 인건비와 경비 등을 고려할 경우,
연 4회 정도 변경하면 경제적으로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다.
여름에는 태풍 피해가 자주 나타나는 지역인 경우에는 9월까지 각도를 유지하는 것도
태풍 등과 같이 강풍으로 인한 모듈인 구조물의 풍압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태양의 고도와 비교할 때 모듈의 기울기가 더 완만한 이유는 산란에 의한 일사광을
수광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이 더 효율적이다.
7) 제초작업
제초작업을 하는 1차 목적은 수풀에 의한 그늘이 모듈에 발생해서
발전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수풀에 의한 잎이나 꽃가루의 날림 방지,
유지관리 접근로 확보, 야생생물 서식지 제거 등 여러 가지 목적이 있다.
제초작업을 하지 않기 위해 간혹 지변을 포장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것은 여름철에 지면의 온도를 높여서 발전효율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므로
좋은 방법은 아니다.
또한 토끼풀과 같이 가로로 자라는 키가 작은 식물을 심어서
키가 큰 잡초를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토끼풀에 꽃이 피게 되면 벌들이 몰려들어 모듈에 쉽게 제거되지 않는
밀랍성 배설물을 남기게 되므로 이 역시 좋은 방법은 아니다.
제초작업은 토질에 따라 연 2~3회 정도 실시하며 펜스나 구조물을 타고 오르는
넝쿨 식물들은 무조건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때 주변에 농경지가 있는지 또는
하천보호 구역인지를 사전에 필히 확인하고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8) 예비품 비축
태양전지의 모듈은 시간이 흐를수록 소형 고출력 제품이 출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재 태양광발전소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모델은 제조기업에서 제작이
단종될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모듈의 강화유리 파손이나
모듈의 소손으로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즉각 대응이 어렵고 또 비슷한 규격의
모듈로 대체할 경우에는 출력 저하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태양광발전소 전기실에는 현재 사용중인 태양전지의 모듈과
동일 모델의 예비품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이 같이 예비품으로 확보해야 할 품목으로는
태양전지 모듈, 파워퓨즈, MJB용 퓨즈 및 역류 방지다이오드 등을 들 수 있다.
모니터링은 주로 인버터의 발전량 데이터만 확인하므로 인버터 후단의 발전용 전력량계의
이상 유무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아무리 인버터가 잘 작동하더라도 발전용 전력량계에
문제가 있어 적산이 적게 되면 이는 곧바로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전력량계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CCTV를 전력량계 앞에 설치하여
적산값과 에러 신호를 확인하면 전력량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하지만 CCTV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일상 점검 확인값과 한전 검침값을 해당 기간의
인버터 발전량값과 비교해서 이상유무를 판단해야만 한다.
만약 이때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한전과 협의하여 신속히 전력량계를 교체하고
제조기업에 검사를 의뢰해서 성적서를 발급받아 한전과 요금협정을 실시해야 한다.
인버터의 발전량과 발전용 전력량계의 적산값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는 감지하는 소자의 정밀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대체로 맑은 날씨로
일사량이 많은 경우에는 인버터 발전량과 전력량계의 적산값 차이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오거나 일사량이 적은 날에는
전력량계의 적산값이 인버터의 발전량보다 크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추천부탁드립니다 .
첫댓글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시면 어쩌죠? ^^ (주)파랑종합건설 최팀장 드림
감사합니다.17 0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