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내 사정이 급해 남을 돌볼 여유가 없다는 말이다.
吾 : 나 오(口/4)
鼻 : 코 비(鼻/0)
三 : 석 삼(一/2)
尺 : 자 척(尸/1)
(유의어)
오비체수삼척(吾鼻涕垂三尺)
출전 : 순오지(旬五志)
오비체수삼척(吾鼻涕垂三尺)의 준말로, 곤경에 처해 자기 일도 해결하기 어려운 판국에 어찌 남을 도울 여지가 있겠는가라는 말이다. 내 코가 석 자라는 속담(俗談)으로, 내 일도 감당하기 어려워 남의 사정을 돌볼 여유가 없다라는 말이다.
남이 어려운 사정에 처했는데도 내 사정이 더 급하고 어려워서 돌볼 여유가 없을 때 ‘내 코가 석 자’라는 속담을 자주 쓴다. 평시에 남을 잘 돕는 사람이라도 안타깝지만 마찬가지다.
한 자의 길이를 한자로 1尺(척)인데 1척은 10寸(촌)이고 1촌이 약 3.03cm이니 30.3cm에 해당한다. 내 코가 석 자이면 30cm 대자의 3배의 길이라 1m 가까이 되는 길이가 된다. 거짓말하면 커진다는 피노키오의 코도 아니고 아무래도 과장이겠다.
우리의 속담을 한역한 대표적인 책이 순오지(旬五志)라는 사실은 잘 알려졌다. 조선 중기의 학자 홍만종(洪萬宗)이 보름이 걸려 완성했다고 하는 문학평론집으로 부록에 우리의 속담 130여개가 실려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된다.
내 코가 석 자란 속담에 해당하는 것이 이 책에는 ‘나의 콧물이 석 자나 드리워졌다(吾鼻涕垂三尺)’로 되어 있다. 코의 길이가 아니라 감기로 인해 흐르는 콧물이 길게 늘어져 그것부터 처리하기 바쁘니 남을 돌볼 여유가 없다고 봤다.
실제 코가 석 자도 넘어 코끼리 코가 된 이야기도 있다. 신라시대 설화인 방이(旁㐌) 이야기는 흥부전(興夫傳)의 원안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동생이 욕심이 많다.
형이 부자인 동생에게 곡식 종자를 구걸하러 갔다. 심술궂은 동생은 씨앗을 삶아서 줬다. 그것도 모르고 곡식을 심은 형은 딱 하나의 씨앗에서 싹이 트자 애지중지 길렀으나 새가 물어 달아났다.
새를 쫓아 산으로 들어간 형이 도깨비들의 금방망이를 얻어와 큰 부자가 됐다. 소문을 듣고 동생도 도깨비들을 찾아 갔다가 금방망이를 훔쳐간 도둑으로 몰려 코만 코끼리 코만큼 커진 채 돌아왔다.
이웃 간에 서로 돕고 남을 배려하던 우리의 옛 미덕은 시대가 변하면서 옆집에 누가 사는지 모르게 삭막해졌다. 이는 물론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공동체가 해체되고 핵가족으로 분화됐기 때문이겠다.
그런데 이웃을 돌볼 처지가 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져 제 살길을 찾기가 더 바빠진 데서도 찾을 수 있다.
경제가 침체되는 중에도 특히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 평균 5배가 되고 10%가 넘게 자살을 생각해 봤다고 보도됐다. 여유 없는 생활이라도 잠시만 이들에 관심을 보였으면 좋겠다.
내 코가 석 자
지난주 며칠 동안 추위가 극성을 부리더니만 콧물감기로 고생하는 사람이 부쩍 늘어난 것 같다. 게다가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지면서 거리엔 마스크를 한 사람들이 많다. 누구라도 한 번쯤은 경험해 봤을 이 콧물감기는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콧물감기는 대부분 재채기를 동반하기 때문에 남 앞에서 어쩔 수 없이 재채기를 하다 보면 민망하기 그지없다. 그런가 하면, 뭔가 중요한 일에 집중해야 한다거나 어려운 자리에서 정중하게 예를 갖추어야 할 때 주르르 콧물이 흘러내리면 난감하기 이를 데 없다. 이럴 때면 어떤 수단을 이용해서라도 빨리 콧물을 훔쳐 닦아야 한다. 주변 상황에 관심을 가질 겨를이 조금치도 없다.
이런 상태를 일러 “내 코가 석 자”라고 한다. 이때의 코는 콧물을 뜻한다. 즉 신체 부위인 코가 석 자나 늘어졌다는 게 아니라, 콧물이 석 자나 되게 늘어져 흐르고 있다는 뜻인 것이다. 이처럼 내 코가 석 자인 상태에서 흐르는 콧물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사람을 “코 감당도 못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망연자실하여 콧물이 흘러내리는 것도 느끼지 못하는 채 멍하니 앉아 있는 상태를 “코를 빠뜨리고 있다”고 한다.
연말이다. 한 해가 가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이 많다. 그래서 연말이면 다들 바쁘고 마음이 급해진다. 빚 독촉이나 “방 빼!”라는 호통을 듣는 다급한 상황에 몰려 “내 코가 석 자”인 사람도 있을 것이고, 사람을 잃거나 돈을 잃고서 “코를 빠뜨리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부모님으로부터 용돈을 타다가 쓰면서도 여전히 오락실이나 들락거리는 “제 코 감당도 못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다 코가 문제이다. 게다가 콧물감기와 미세먼지까지 극성을 부리니 정말 코가 견뎌나질 못할 것 같다. 그렇지만 감당해내야 한다. 코는 내 얼굴의 한복판에 있는 것이어서 코가 흉하면 얼굴이 다 흉해진다. 흉한 얼굴로 새해를 맞지 않기 위해 좀 더 노력해 보도록 하자!
▶️ 吾(나 오, 친하지 않을 어, 땅 이름 아)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입 구(口; 입, 먹다,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五(오)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형성문자로 吾자는 ‘나’나 ‘우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吾자는 五(다섯 오)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五자는 숫자 ‘다섯’이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吾자는 본래 ‘글 읽는 소리’나 ‘나의 말’이라는 뜻으로 쓰였던 글자였다. 그러나 후에 吾자가 자신을 지칭하는 ‘나’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지금은 여기에 言자를 더한 語자가 ‘말씀’이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吾(오, 어, 아)는 ①나 ②그대 ③우리 ④글 읽는 소리 ⑤짐승의 이름 ⑥막다, 멈추게 하다 그리고 ⓐ친하지 않다(어) ⓑ친하려고 하지 않다(어) ⓒ소원(疏遠)한 모양(어) ⓓ땅의 이름(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글 읽는 소리 오(唔), 나 아(我)이다. 용례로는 우리들을 오등(吾等), 우리네를 오제(吾儕), 나 또는 우리 인류를 오인(吾人), 우리의 무리를 오배(吾輩), 나의 집을 오가(吾家), 우리 임금을 오군(吾君), 우리 문중을 오문(吾門), 우리 당을 오당(吾黨), 옛날에 동쪽에 있다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일컫던 말을 오동(吾東), 나의 형이라는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에서 쓰는 말을 오형(吾兄), 맞서 겨우 버티어 나감을 지오(枝吾), 참된 자기를 진오(眞吾),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함 또는 그런 태도를 오불관언(吾不關焉), 우리 집의 기린이라는 뜻으로 부모가 자기 자식의 준수함을 칭찬하는 말을 오가기린(吾家麒麟), 자기가 도와서 출세시켜 준 사람이라는 오가소립(吾家所立), 내 집의 걸출한 자식을 이르는 말을 오문표수(吾門標秀), 나도 또한 모른다는 오역부지(吾亦不知), 나의 혀는 아직 살아 있오? 라는 뜻으로 몸이 망가졌어도 혀만 살아 있으면 천하를 움질일 수 있는 힘이 있다는 오설상재(吾舌尙在), 맞부딪치기를 꺼리어 자기가 스스로 슬그머니 피함을 오근피지(吾謹避之) 등에 쓰인다.
▶️ 鼻(코 비)는 ❶형성문자로 自(자; 코의 모양)와 음(音)을 나타내는 畀(비; 물건을 주는 일)로 이루어졌다. 옛날엔 自(자)가 코의 뜻을 나타냈지만 나중에 自(자)는 자기(自己), 자연(自然) 따위 여러 가지 뜻으로 씌어짐으로 코의 뜻으로 따로 鼻(비)란 글자를 만들었다. ❷회의문자로 鼻자는 '코'를 뜻하는 글자이다. 鼻자는 본래 코를 뜻했던 自(스스로 자)자가 '자기'나 '스스로'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畀(줄 비)자를 결합해 만든 글자이다. 鼻자에 쓰인 畀자는 '주다'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여기에서는 단순히 코와 폐를 연결하는 기관을 묘사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니 鼻자는 숨을 들이쉬는 코와 폐를 함께 표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鼻(비)는 ①코 ②구멍, 맞트이게 뚫은 자국 ③시초(始初), 처음 ④손잡이 ⑤종, 노복(奴僕: 사내종) ⑥코를 꿰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을 비조(鼻祖), 콧속의 점막에 생기는 염증을 비염(鼻炎), 코로 내는 소리를 비음(鼻音), 코뼈로 코를 이루고 있는 뼈를 비골(鼻骨), 콧구멍으로 코에 뚫린 두 구멍을 비공(鼻孔), 코와 입을 비구(鼻口), 코웃음으로 콧소리를 내거나 코끝으로 가볍게 웃는 비난조의 웃음을 비소(鼻笑), 콧물로 콧구멍에서 흘러 나오는 액체를 비수(鼻水), 콧구멍의 털을 비모(鼻毛), 오식 또는 육식의 하나로 냄새의 좋고 나쁨 등을 깨닫는 작용인 후각을 비식(鼻識), 콧날로 콧마루의 날을 이룬 부분을 비선(鼻線), 콧구멍으로 나는 소리를 비성(鼻聲), 코로 물 따위를 마심을 비음(鼻飮), 코를 닦거나 푸는 데 쓰는 종이를 비지(鼻紙), 감기에 걸려서 코가 막히고 아픈 병을 비통(鼻痛), 코가 세다는 뜻으로 고집이 셈을 이르는 말을 비강(鼻強), 콧병의 한 가지로 코가 막히고 맑은 콧물이 자꾸 흐름을 비구(鼻軀), 크고 우뚝한 코를 고비(高鼻), 콧마루가 찡함으로 몹시 슬프고 애통함을 산비(酸鼻), 귀와 코를 아울러 이르는 말을 이비(耳鼻), 방패의 손잡이를 순비(盾鼻), 몹시 슬프거나 참혹하여서 콧마루가 시큰시큰함을 산비(散鼻), 우뚝한 코를 융비(隆鼻), 냄새가 코를 찌름을 촉비(觸鼻), 코만 어루만진다는 뜻으로 부끄러운 줄을 모르고 뻔뻔스럽게 굶을 문비(抆鼻), 코 밑에 닥친 일에 관한 정사라는 뜻으로 하루하루를 겨우 먹고 살아가는 일을 이르는 말을 비하정사(鼻下政事), 당장 만을 생각하는 얕은 생각이나 그 자리에서 떠오른 생각 또는 임기응변을 일컫는 말을 비원요간(鼻元料簡), 당장만을 생각하는 얕은 생각이나 그 자리에서 떠오른 생각 또는 임기응변을 일컫는 말을 비원사안(鼻元思案), 콧구멍에서 불을 뿜는다는 뜻으로 기운이 펄펄한 모양을 이르는 말을 비두출화(鼻頭出火), 입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을 비구소선(鼻口所宣), 곤경에 처해 자기 일도 해결하기 어려운 판국에 어찌 남을 도울 여지가 있겠는가라는 말을 오비삼척(吾鼻三尺), 자는 범의 코를 찌른다의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건드려서 화를 스스로 불러들이는 일을 이르는 말을 숙호충비(宿虎衝鼻), 불교에서 말하는 8대 지옥 중의 여덟째로 고통이 가장 심하다는 지옥을 이르는 말을 아비지옥(阿鼻地獄), 눈코 뜰새 없는 것 또는 몹시 바빠 어쩔 수 없는 것을 이르는 말을 안비막개(眼鼻莫開) 등에 쓰인다.
▶️ 三(석 삼)은 ❶지사문자로 弎(삼)은 고자(古字)이다. 세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 젓가락 셋을 옆으로 뉘어 놓은 모양을 나타내어 셋을 뜻한다. 옛 모양은 같은 길이의 선을 셋 썼지만 나중에 모양을 갖추어서 각각의 길이나 뻗은 모양으로 바꾸었다. ❷상형문자로 三자는 '셋'이나 '세 번', '거듭'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三자는 나무막대기 3개를 늘어놓은 모습을 그린 것이다. 고대에는 대나무나 나무막대기를 늘어놓은 방식으로 숫자를 표기했다. 이렇게 수를 세는 것을 '산가지(算木)'라 한다. 三자는 막대기 3개를 늘어놓은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숫자 3을 뜻하게 되었다. 누군가의 호의를 덥석 받는 것은 중국식 예법에 맞지 않는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최소한 3번은 거절한 후에 상대의 호의를 받아들이는 문화가 있다. 三자가 '자주'나 '거듭'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도 이러한 문화적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三(삼)은 셋의 뜻으로 ①석, 셋 ②자주 ③거듭 ④세 번 ⑤재삼, 여러 번, 몇 번이고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석 삼(叁)이다. 용례로는 세 해의 가을 즉 삼년의 세월을 일컫는 삼추(三秋), 세 개의 바퀴를 삼륜(三輪), 세 번 옮김을 삼천(三遷), 아버지와 아들과 손자의 세 대를 삼대(三代), 한 해 가운데 셋째 되는 달을 삼월(三月), 스물한 살을 달리 일컫는 말을 삼칠(三七), 세 째 아들을 삼남(三男), 삼사인이나 오륙인이 떼를 지은 모양 또는 여기저기 몇몇씩 흩어져 있는 모양을 일컫는 말을 삼삼오오(三三五五), 삼순 곧 한 달에 아홉 번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린다는 말을 삼순구식(三旬九食), 오직 한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경지를 일컫는 말을 삼매경(三昧境), 유교 도덕의 바탕이 되는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의 인륜을 일컫는 말을 삼강오륜(三綱五倫), 날마다 세 번씩 내 몸을 살핀다는 뜻으로 하루에 세 번씩 자신의 행동을 반성함을 일컫는 말을 삼성오신(三省吾身), 서른 살이 되어 자립한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견식이 일가를 이루어 도덕 상으로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삼십이립(三十而立), 사흘 간의 천하라는 뜻으로 권세의 허무를 일컫는 말을 삼일천하(三日天下),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남이 참말로 믿기 쉽다는 말을 삼인성호(三人成虎), 형편이 불리할 때 달아나는 일을 속되게 이르는 말을 삼십육계(三十六計), 하루가 삼 년 같은 생각이라는 뜻으로 몹시 사모하여 기다리는 마음을 이르는 말을 삼추지사(三秋之思), 이러하든 저러하든 모두 옳다고 함을 이르는 말을 삼가재상(三可宰相), 삼 년 간이나 한 번도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을 삼년불비(三年不蜚), 세 칸짜리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보잘것 없는 초가를 이르는 말을 삼간초가(三間草家), 봉건시대에 여자가 따라야 했던 세 가지 도리로 어려서는 어버이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아야 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삼종의탁(三從依托), 키가 석 자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라는 뜻으로 철모르는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을 삼척동자(三尺童子), 세 사람이 마치 솥의 발처럼 마주 늘어선 형상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을 삼자정립(三者鼎立), 세 칸에 한 말들이 밖에 안 되는 집이라는 뜻으로 몇 칸 안 되는 오막살이집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삼간두옥(三間斗屋), 가난한 사람은 농사 짓느라고 여가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를 겸손히 이르는 말을 삼동문사(三冬文史),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 곧 약혼을 이르는 말을 삼생가약(三生佳約), 세 마리의 말을 타고 오는 수령이라는 뜻으로 재물에 욕심이 없는 깨끗한 관리 즉 청백리를 이르는 말을 삼마태수(三馬太守), 세 치의 혀라는 뜻으로 뛰어난 말재주를 이르는 말을 삼촌지설(三寸之舌), 얼굴이 셋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혼자서 여러 사람 몫의 일을 함을 이르는 말을 삼면육비(三面六臂),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의 벗으로서 정직한 사람과 성실한 사람과 견문이 넓은 사람을 이르는 말을 삼익지우(三益之友),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성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삼지지례(三枝之禮), 머리가 셋이요 팔이 여섯이라 함이니 괴상할 정도로 힘이 엄청나게 센 사람을 이르는 말을 삼두육비(三頭六臂), 세 번 신중히 생각하고 한 번 조심히 말하는 것을 뜻하는 말을 삼사일언(三思一言) 등에 쓰인다.
▶️ 尺(자 척)은 ❶상형문자로 呎(척)과 동자(同字)이다. 사람의 발 부분에 표를 한 모양으로 발바닥의 길이, 한 치의 열 배를 말한다. ❷지사문자로 尺자는 '자'나 '길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尺자의 갑골문을 보면 사람의 다리에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다. 이것은 발만큼의 길이를 표현한 것이다. 길이를 잴 자가 없을 때는 무엇으로 길이를 측정하려고 할까? 아마도 조그만 것은 손의 너비만큼 길이를 잴 것이고 좀 긴 거리는 보폭으로 길이를 측정하려 할 것이다. 그래서 寸(마디 촌)자는 손을 폈을 때 엄지손가락 끝에서 가운데 있는 손가락까지의 3cm 정도의 길이를 뜻하고 尺이라고 하는 것은 발의 길이 만큼인 23~30cm 정도를 뜻한다. 그래서 尺(척)은 자의 뜻으로 ①자 ②길이 ③길이의 단위 ④법(法), 법도(法度) ⑤맥(脈)의 한 부위(部位) ⑥편지(便紙), 서간(書簡) ⑦기술자(技術者) ⑧증명서(證明書) ⑨자로 재다 ⑩짧다 ⑪작다 ⑫조금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짧은 편지를 척독(尺牘), 자로 잰 길이를 척도(尺度), 퍽 좁은 논밭을 척토(尺土), 작은 종이 또는 짧은 편지를 척지(尺紙), 한 자 사방의 재목을 척각(尺角), 열 살 안팎의 어린아이를 척동(尺童), 물건을 자로 잼을 척량(尺量), 한 자 가량이나 내린 눈으로 많이 쌓인 눈을 척설(尺雪), 퍽 좁은 땅이나 아주 가까운 땅을 척지(尺地), 아주 가까운 거리를 지척(咫尺), 곱자로 나무나 쇠로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를 곡척(曲尺), 포목을 마르고 재는 일을 도척(刀尺), 일정한 길이를 재고 여분을 더 잡는 길이를 여척(餘尺), 자투리로 자로 재어 팔거나 재단하다가 남은 천의 조각을 간척(殘尺), 장대로 열 자 길이가 되게 만든 자를 장척(丈尺),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자를 절척(折尺), 높은 곳에서 멀리 산수를 볼 때 그 작게 보임을 이르는 말을 척산척수(尺山尺水), 얼마 안 되는 공로를 이르는 말을 척촌지공(尺寸之功), 약간의 이익이나 사소한 이익을 이르는 말을 척촌지리(尺寸之利), 약간의 땅이나 얼마 안 되는 땅을 이르는 말을 척촌지지(尺寸之地)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