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BIM이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BIM으로 표시한다 ⓐ BIM은 건축물 및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3D 디지털 모텔로 통합관리 ⓑ 프로젝트 수립,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 관리 과정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2. BIM의 분류 및 구분
① 3D : 3차원 형상 구현으로 일반적인 BIM으로 주로 사용한다 ② 4D : 3D에 시간 개념을 더해서 공정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3차원 BIM 모델에서 공정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공사 일정대로 시각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보여주는 기술 ③ 5D : 3D에 비용 코드를 더해서 공사비 산정하는 데 유용 견적, 물량산출 및 적산까지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다. ④ 6D : 3D에 유지관리 코드를 더해서 유지 관리비에 활용된다. 건물의 생애 주 기를 통한 전체 유지관리에 이용하고 있다.
3. BIM의 본질적인 목표와 이해 (Building Smart)
① Better ( 품질 좋게 ) : 시설물 및 공사의 시공 품질 향상 건물을 포함한 시설물을 좋은 품질로 짓기 위한 노력과 비결은 지속해서 발전하고 있는데 BIM 기술을 활용하여 공사비 상승 없이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다 ② Faster ( 빠르게 ) 높은 시공 품질 유지 및 신속한 완공, 도면 오류로 발생하는 재시공하는 일이 적다 정확한 공정 관리로 공사 기간 단축 ③ Cheaper ( 저렴하게 ) 공사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공법과 기술을 제공한다. 정확한 물량산출, 공기 단축, 간섭검토, 사전 시공성 검토를 통해 발주처의 공사비 부담을 절감해주는 장점이 있다. ④ Safer ( 안전하게 ) 가상 공간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고 가능성을 미리 방지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다 ⑤ Green (친환경적인 BIM) 친환경 기술과 밀접하여 비용 절감, 이윤 창출로 귀결된다. BIM 모텔을 통한 에너지 분석과 환경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속적이며 친 환경적인 건축물과 시설물을 실현할 수 있다
4. BIM의 필요성 및 중요성
① BIM은 건축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계획, 설계할 수 있으므로 설계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②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협업과 소통으로 건축가, 구조 기술자, 기계, 전기, 소방 등 각자의 역할과 정보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이로운 점이 있다. ③ BIM은 시공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구성 요소와 건축재료 비용 등을 분석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건설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5. BIM의 향후전망 BIM 기술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발전하여 앞으로 더 많은 기대를 해 본다 ① 확대된 협력 건설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이해 관계자의 협업이 용이하게 될것임 ② IOT(Intemet of Things)통합 IOT 기술자의 통합을 통해 건물 및 시설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센서 자료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③ 인공지능(AI) 활용 인공지능을 BIM에 통합하여 설계 오류의 자동감지, 스마트스케줄링, 비용 예측 등의 기능 향상 ④ 가상 현실(VR) 및 증강현실(AR)의 활용
5. 결론
BIM은 건축 및 건설 분야에서 혁신적이니 기술로 입증되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효율성, 협력, 비용 관리 및 유지보수 측면에 이로운 점이 많다. BIM 전문 교육을 받은 기술자로서 BIM 기술을 활용하여 공사비 상승 없이 건축물을 보기 좋고, 살기 좋은 양질의 공사에 앞장서는 기술인이 되겠다. Better⇒ Faster⇒ Cheaper⇒ Safer⇒ Green(친환경적인) BIM은 설게자, 시공자가 정확한 물량산출로 낭비로 인한 공사비를 줄여 발주처의 공사비 부담을 줄여 주고 설계자와 시공자의 이윤을 높여줄 수 있다면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Win –Win(상호이익) 상황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