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펴스넬리티의 발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할까요?
이글은
My kakaotok Law Life.kr
에서 퍼 온 글입니다.-
<오늘 김형학의 한마디~>
-자~
지금 만나는 사람이 나의 運命을
만든답니다.~-
#이 글을 知人들과 共有하면
自利利他요, 그 知人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 My 핸드폰으로 보고 싶어요~
My 핸드폰
google 입력창에~
Law Life.kr
이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홈 화면에 추가하시면 더 좋아요.~
# 더 많은 글을 볼 수 있답니다.
이에 관하여는
My kakaotok Law Life.kr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지요.~
# 이글은
사람은 사주명리학 理論 上 48,500여 가지의 性品과
서양 心理學 상 16가지의 性格에 따라
그 느낌과 의미가 다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이 글을 知人들과 共有하면
自利利他요, 그 知人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
자~
♣펴스넬리티는 初期 발달이 중요하답니다.
정신분석학적 類型의 중요한 공헌은
출생 時로부터 成人이 되기까지~
인간의 社會 심리와 性 심리 발달의
단계에 대한 윤곽 묘사이지요.
그것은 발달의 추세,
성장의 여러 단계에서의
特定的인 主要 발달과업~
정상 및 비정상적인 개인과 사회의 직책,
중요한 욕구와 그에 대한 만족 혹은 불만,
此後 적용 문제를 야기 시킬
퍼스넬리티 발달 결함의 기원
그리고
自我 방어 체제와 건전한, 不健全한 용도
등을
槪念的인 道具로~
상담자에게 제공해 준답니다.
정신분석학적 발달관에 대한 이해는~
상담자가 내담자와 심층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지요.
개인이나 집단상담에서의
가장 전형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발견되었답니다.
☀自身이나 他人에 대한 不信感,
사랑하고 친숙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공포, 그리고 저하된 자존심~
☀적개심, 분노, 격분,
그리고 증오의 感情 등을 認識하거나
표현할 수 없는 것,
한 남성으로서 받아들이는 데에 대한
否定,~
그리고 자율성에 대한 감정 결핍.
☀자신의 性別感(sexuality)을
충분히 수용할 수 없음과
自身을 한 여성 또는 남성으로서
받아들이는 데에 대한 어려움~
그리고 性別感에 대한 공포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견해에 따르면
개인과 사회발달의 세 가지 영역은~
(애정 신뢰, 부정적 감정의 취급,
그리고 적극적 수용성의 진전)
모두
출생 후 5세까지 사이에 기초를
둔답니다.
이 발달 기간은
차후에 형성되는 퍼스넬리티 발달의
기초가 된답니다.
자~
♣☀생후 1년- 口脣期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할까요?
프로이트는
嬰兒 영아 性欲 說의 假說을 세웠는데요.
그때까지 嬰兒 영아 성욕 현상에 대해
사회 認識이 부족했던 것은~
문화적 禁忌와
이런 分野에서 乳兒나 아동기 경험을~
모든 個人이 억압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답니다.
출생 시로부터 1년 동안 乳兒는
口脣期를경험한답니다.
어머니의 모유를 빠는 것은~
飢餓(飢-주릴기, 餓-주릴아) 욕구와
쾌락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킨답니다.
이 기간에는
입과 입술이 민감한 성감대이므로
유아는 빠는 것으로부터 성애적 쾌락을
경험한답니다.
♣ 탐욕과 욕심은~
생애의 初期에 충분한 음식과
사랑을 얻지 못한 結果로서~
발전될 수 있답니다.
어린이가 얻고 싶어하는 물질들은
實際로 어린이가 願하는 것의
-즉 어머니로부터의 飮食(젖)과 사랑-
代用物이 된답니다.
자~
口脣期에서 파생하는 此後
♣퍼스넬리티 문제는~
不信感,
타인에게 접근하는 데에 대한 공포감,
애정에 대한 拒否,
사랑과 신뢰에 대한 공포심,~
저하된 자존심, 고립,
그리고
뜨거운 관계 형성과 유지에 대한
무능력으로 인한 세계관이 발달하는 것
등이지요.
구순기의 주요한 발달과제는~
신뢰감 -타인, 세계, 자신에 관한- 을
터득하는 것이지요.
♣사랑은~
공포심, 불안정감 그리고 不適感에 대한
최선의 방위 수단이 되며,
타인에게 사랑을 받는 어린이들은~
그들 자신을 수용하는데
별다른 곤란을 겪지 않는답니다.
♣ 그러나
만일 어린이들이
불필요하며, 수용되지 못하며,
사랑받지 못하는 존재라고 느낀다면~
自我 수용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지요.
☀ 拒否 당한 어린이들은~
세계를 不信하게 되고
세계를 위협적인 場으로 보게 된답니다.
어린이에 대한 거부는~
後에 어린이가 공포심, 불안감,
關心 追求欲 (attention seeking),
질투, 공포심, 적대감,
그리고
孤獨感의 경향을 나타나게 되는
결과가 된답니다.
자~
♣☀ 생후 1년에서 3년 –항문기(肛門期)~
口脣期 구순기가 인간에게
건전한 依存感, 세계에 대한 信賴感,
그리고
사랑의 受容性을 경험하도록
요구하는 것처럼
항문기 역시 인간발달에 있어서~
또 다른 단계를 標式 짓는답니다.
이 단계에서~
完成되어 져야 하는 課題는~
독립성, 개인의 능력
그리고 자율성을 배우고요.
또 부정적인 감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취급하는가를
배우는 것이랍니다.
자~
♣2세에서 시작하여 3세까지 肛門帶는
퍼스넬리티 형성에 있어서
가장 重要한 의미를 갖게 된답니다.
이제 어린이들은 계속
부모의 요구에 직면하게 되고요.~
또 사물에 손을 대고
그들의 환경을 탐색할 때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고요.~
또 그들의 배설작용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답니다.
☀2세부터 배설훈련이 시작될 때~
어린이들을 통제훈련(discipline)의
첫 경험을 맛보게 된답니다.
배설훈련 방법과
子女에 대한 부모의 感情, 태도
그리고 반응은~
퍼스넬리티 특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답니다.
어린이들의 自身의 身體 機能에 대한
態度들 中 많은 것은~
그들 부모 態度의 직접적인 結果
이지요.
어린이들은
이러한 感情들이 受容될 수 있는~
감정들이라는 것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치료받는 내담자들 중에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해~
그들의 분노와 증오를 어떻게
수용하여야 할지를~
아직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많답니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또는 間接的으로
이런 感情들은 나쁜 것이며,
만일 그들이 격분이나 증오같은
감정을 표출한다면~
부모의 認定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배웠기 때문에
그 감정들을 억압한 것이지요.
자~
이 感情들을 포기하는 과정이 시작될 때
자신의 참다운 감정을~
수용할 수 없는 과정도 시작되는 것
이지요.
이 단계에서~
어린이들이 그들 自身의
能力, 자립심, 그리고 自律性을 익히기
시작하는 것 또한 중요하답니다.
만일
부모가 어린이를 지나치게 爲 한다면
그들은 어린이에게
無氣力한 자아 機能 역할을~
가르치게 된답니다.
자~
여기에서 전달되는 메시지는~
‘자, 너를 위해 내가 이렇게 해줄게,
너는 너무 弱하고 또는無氣力해서
네 스스로 이런 것들을 할 수 없잖니~’
라는 것이랍니다.
이 시기에 어린이들에게는~
實際로 해보는 것과 失手하고
또
실수해도 괜찮다는 느낌을 가지며
구별된 독특한 個人으로서~
自身의 能力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지요.
그러므로
많은 내담자들이 상담을 받는 理由는~
能力에 대한 自身들의 잠재력 개발을
상실했기 때문이며
♣ 그들은 自身이 누구이며~
그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決定하기 위해 몸부림친답니다.
자~
♣☀생후 3년에서 5년- 男根期
現實과 세상살이에
어린이는 乳兒 樣態를 버리고
세계에서 뚜렷한 自身의 適所를
造作하기 위해~
能動的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살펴보았어요.
그리고
이 시기에는 步行, 言動, 思考,
괄약근을 조절하는 能力이 급속히 발달하여,
運動 근육이 증가되고
☀知覺力이 발달되기 시작함에 따라~
대인관계의 기술 또한 발달하기 시작
하지요.
어린이가 受動的이고
감수성이 예민한 숙달 과정으로부터
能動的인 숙달 과정으로 진전하는 것은~
다음 性 심리적 발달 단계인
남근기 단계에 이르게 한답니다.
이 시기에
성적 행동이 더 강력하게 되고요.
관심의 초점이 생식기에
–소년의 음경과소녀의 음핵-
집중하게 된답니다.
성적 空想이 수반되는 自慰는~
初期 아동기의 正常的인 부수물이며
남근기에서 그 빈도수는 더 증가한답니다.
어린이들은 自身의 신체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되고요.
자신의 몸을 탐색하게 되며
性의 差異를 탐색하려 한답니다.
유아기의 실제 경험은 보편적인 것이며
성적인 것에 대한 여러 가지 태도가~
이 남근기에 基源 되므로
성욕의 수용과 성적 충동의 조절이
이 시기에 매우 중요하답니다.
☀ 이 시기는~
良心발달의 시기로서
어린이가 道德 基準들을 배우는 때이죠.
☀ 하나의 중대한 위험성은~
엄격한 부모의 注入式 敎育과
非 現實的인 道德 기준이~
超自我를 과잉통제하는 結果를
낸다는 것이죠.
자녀들에게 그들의 모든 충동이 惡이라고
가르친다면~
그 자녀들은
곧 그들의 自然的인 衝動에 대해
罪意識을 느끼게 되어 後에~
성인 생활에까지
이런 죄의식을 지니게 되며
타인과의 친밀성을
含有 함유하지 못하게 될 것이죠.
이런 부모의 주입식 교육은~
결국 乳兒 良心 – 즉
그들 自身이 質問하거나 思考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어
주입 교육을~
의심 없이 맹목적으로 受容하게 된답니다.
이 어린이들을
道德的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단지 공포감을 품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지요.
또 다른 결과는~
완고함, 격심한 갈등, 罪責感, 自責,
低下된 自負心, 그리고 自我 定罪 등을
포함한답니다.
이 시기에 어린이는
성적 감정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수용하며,
자신의 身體에 대하여
건전한 關心을 갖도록 배울 필요가 있고
성역할을 確認하는 적당한 類型이~
그들에게 필요하답니다.
또 어린이들은 이 始期에
신체적 快樂에 대하여~
옳고 그름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남성이 무엇인지, 여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태도를 形成하게 된답니다.
그들은 여성과 남성이 彼此에 갖는
관련성에 대하여
어떠한 관점을 所有하게 된답니다.
소년과 소녀로서의 역할에서~
그들 自身이어떤 感情을 가져야 하는지도
결정한답니다.
남근기는~
성인을 취급하는 상담자에게
중요한 意義를 제시한답니다.
많은 내담자들이
自身의 남성인 것(혹은 여성인 것)에 대한
많은 혼돈된 감정을 갖지고 있을지도
모르며~
자신의 성적 감정과 행동을 수용하기에
몸부림치고 있을지도 모른답니다.
상담자가 성인 내담자를 취급할 때
初期 경험을 바로 認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답니다.
그러나
남근기의 발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숙달치 못했으므로~
사람들이 불감증이나 성교불능자의
운명을~
면치 못한다는 決定論的인 입장을
치료자가 받아들여야 한다고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요.
하지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내담자가 이 남근기를 통해~
自身의 乳兒 경험들을 認識하며,
想像을 통해 그것들을 再生시키고
再 經驗을 하게까지도 하는 것이지요.
사건들을 再生시키고 死藏되었던 감정을~
다시 느낀다면,
그들은 유아 時에 경험했던 사건들에
새로운 결말을 연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점차로 自覺하게 된답니다.
그래서
그들의 現在 태도와 행동이~
과거에 의해서 形成 되어진 것이
확실하다 할지라도
그들은
과거의 희생물로 남게 될운명이~
아니라는 것을 실감하게 되는 것이죠.
-See Again-
<옮긴이 법무사 김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