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화엄사의 홍매화
건달...
불교용어인 '건달바(乾達婆)'에서 온 말이다. 건달바는 수미산 남족의 금강굴에 살며 제석천의 음악을 맡아본다는 신으로,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향(香)만 먹고 허공을 날아다닌다고 한다.
고주망태...
술을 많이 마시어 정신을 차릴 수 없이 취한 상태. 옛말이 고조였던 '고주'는 술을 거르거나 짜는 틀인데 오늘날에는 술주자. '망태'는 망태기의 준말로 가는 새끼나 노로 엮어 만든 그릇.
강화도 길상면
구두쇠...
구두에 쇠를 붙였다고 해서 나온 말. 또는 굳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서 돈이나 재물에 대해 굳은 마음으로 인색하게 구는 사람.
깍쟁이..
깍정이가 변해서 된 말. 깍정이는 원래 서울 청계천과 마포 등지의 조산(造山)에서 기거하며 구걸을 하거나, 무덤을 옮겨 장사지낼 때 방상시(方相氏) 같은 행동을 하던 무뢰배들을 일컫는 말
거제 앞바다
난장판..
선비들이 모여들어 질서 없이 들끓고 떠들어대던 과거시험 마당을 '난장'이라고 함. 과거 시험장의 난장에 빗대어 뒤죽박죽 얽혀서 정신 없이 된 상태.
노가리 깐다..
노가리는 명태의 새끼를 가리키는 말. 명태는 한꺼번에 매우 많은 수의 알을 깜. 명태가 많은 새끼를 까는 것과 같이 말이 많다는 것.
남해군 물건항의 멸치털이
단골..
굿을 할 때마다 늘 정해놓고 불러다 쓰는 무당을 단골(당골이라고도 함).
동냥..
한자말인 동령(動鈴)에서 온 말. 원래 불가에서 법요(法要)를 행할 때 놋쇠로 만든 방울인 요령을 흔드는 것. 그러다가 중이 쌀 같은 것을 얻으려고 이 집 저 집으로 돌아다니며 문전에서 방울을 흔들기도 함.
청송 주산지의 신록
망나니...
옛날에 죄 지은 사람의 목을 베는 사람. 주로 중죄인 중에서 뽑아 씀. 망나니는 으레 성질이 포악하고 인상이 험악한 사람이 그 구실을 담당.
멍텅구리...
본디 바닷물고기 이름. 못생긴 데다가 굼뜨고 동작이 느려서 아무리 위급한 때라도 벗어나려는 노력조차 할 줄 모르기 때문에 판단력이 약하고 시비를 제대로 모르는 사람을 이름.
나도냉이 꽃 만발한 동강
미주알고주알..
미주알은 항문을 이루는 창자의 끝 부분. 속 창자까지 살펴볼 정도로 꼬치꼬치 따지고 든다는 뜻. 고주알은 미주알과 운을 맞추기 위하여 덧붙인 말.
바보...
'밥+보'에서 'ㅂ'이 탈락된 형태로서' 보'는 울보, 겁보, 느림보와 같이 체언이나 어간의 끝에 붙어 사람을 나타내는 말.
강화도 황청리 포구
벼룩시장..
원래는 프랑스 등 유럽 몇몇 군데에서 열리는 중고품 노점시장. 프랑스어「마르쇼 퓌스(marchaux puces)」의 번역어. 「marchaux」는 '시장', 「puces」는 '벼룩'의 뜻.
부랴부랴...
'불이야 불이야'가 줄어서 된 말로서 , 즉 불이 났다고 소리치면서 내달리듯이 매우 급한 일로 서두를 때 쓰는 말.
무주 구천동 계곡
비지땀..
비지를 만들기 위해 콩을 갈아서 헝겊에 싸서 짤 때 나오는 콩물처럼 많이 흘리는 땀.
삿대질..
삿대는 상앗대의 준말. 상앗대는 물가에서 배를 떼거나 물이 얕은 곳에서 밀어 갈 때에 쓰는 장대. 삿대질은 원래 상앗대로 배질을 하는 것을 일컫는 말.
경북 의성의 작약꽃
삿대질..
삿대는 상앗대의 준말. 상앗대는 물가에서 배를 떼거나 물이 얕은 곳에서 밀어 갈 때에 쓰는 장대. 삿대질은 원래 상앗대로 배질을 하는 것을 일컫는 말.
전북 무주군 덕유산
소매치기..
옛날 사람들이 입고 다니던 두루마기 따위 웃옷의 좌우에 있는 옷소매는 품이 크고 넓어서 흔히 그 안에 돈이나 다른 귀중한 물건들을 넣어 가지고 다녔음. 그 옷소매 안에 있는 돈이나 물건을 훔친다고 해서 생긴 말.
강원도 백담계곡
아수라장..
불교용어로 아수라는 화를 잘 내고 성질이 포악해서 좋은 일이 있으면 훼방 놓기를 좋아하는 동물.
아양을 떨다...
'아얌'을 떨다에서 나온 말로서, 아얌은 여자들이 겨우 나들이 할 때 추위를 막으려고 머리에 쓰던 것을 말함.
칠산도 괭이갈매기떼
얼레리꼴레리...
알나리깔나리가 변해서 된 말. '알나리'는 나이가 어리고 키가 작은 사람이 벼슬을 했을 때 농담삼아 '아이 나리'라는 뜻으로 이르던 말. '깔나리'는 알나리와 더불어 운율을 맞추기 위해 별다른 뜻 없이 덧붙인 말.
한라산의 고사목
충무김밥..
충무에서 출어하는 선원들에게 김밥을 만들어 주던 할머니가 어느 날 급한 나머지 김밥 속에 속 반찬을 넣지 못하고 대신 김치만 넣고 따로 담아 준데서 비롯된 말.
가평군 청평호수
꼬마..
원래는 '작은 마누라' 즉 첩의 옛말이 고마였으나 요즘은 꼬마로 바뀌어 어린이에게 쓰임.
한라산 탐라계곡의 이끼
곱창전골...
곱창- 곱은 창자 전골-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잘게 썰어 양념을 하고 온갖 채소를 섞어서 국물을 부어 끓인 음식.
남해군 바닷가의 계단식 논
꺼벙이와 꺼병이..
꺼벙이..차림새가 터부룩하여 야무지지 못하고 투미한 사람 꺼병이.. 꿩의 어린 새끼 또는 외양이 잘 어울리지 않고 거칠게 생긴 사람
지리산 운해(雲海)
꼭지
시집가지 않은 처녀를 일컬음.
꽃무덤..
아까운 나이에 죽은 젊은이의 무덤.
꽃잠..
신랑, 신부의 첫날밤 잠.
태안의 가로림만
비나리..
앞길의 행복을 비는 말, 원래 남사당패 놀이의 성주굿에서 곡식과 돈을 상위에 받아놓고 외는 고사문서 또는 외는 사람.
거창 88고속도 진입로
송장꽃..
노인의 얼굴에 핀 검버섯.
올챙이묵..
옥수수 재료로 주로 강원도에서 많이 해먹는 묵.
잠비..
여름철에 내리는 비, 여름에 비가 오면 잠을 잔다해서 붙여진 말.
전남 신안 갯벌
진갈매..
갈매빛의 힘줌말, '갈매'는 갈매나무의 열매로 짙은 초록색임.
바람명..
동쪽- 샛바람 / 서쪽- 하늬바람, 갈바람 / 남쪽- 마파람, 앞바람 / 북쪽-된바람, 뒷바람.
설악산 토왕성 폭포
푸닥거리..
무당에 의하여 행해지는 해원(解怨)굿, 얽히고 맺힌 것을 풀어주는 의식전반을 일컬음.
푸념..
본래 굿판에서 무당이 신의 뜻이라 하여 정성 들이는 사람을 향해 꾸짖는 말.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수재와 천재..
수재..암기력이 뛰어난 사람 천재..창조적 두뇌가 뛰어난 사람
벽창호..
평북 벽동(碧潼)과 창성(昌成)에서 나는 소로, 몸집이 크고 힘, 고집이 세고 우악스러움
구리 한강시민공원의 코스모스
인절미...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피난하여 공주에 머물 때 임(林)씨 성의 백성이 떡을 진상하였는데 맛이 너무 좋아 절미(絶味)라는 찬사를 받음. 그 후에 임씨가 만들었다 해서 인절미라 함.
설악산 용아장성
삼희성(三喜聲)..
세가지 듣기 좋은 소리, ① 다듬이 소리 ② 글읽는 소리 ③ 아기우는 소리
하극상(下剋上)..
서재필 박사가 안경 낀 채 고종 앞에 나가 인사하자 안경을 빌미로 이 단어가 생김.
경주 남산의 소나무 숲
등신(等神)..
'사람의 모양대로 만든 신의 형상' 이라는 의미로 줏대 없는 사람을 일컬음.
신기루(蜃氣褸)..
중국인 사이의 상상동물, 뱀과 같고 귀와 뿔이 있으며 뒷덜미에는 붉은 털이 있음. 이것이 한번 입김을 뿜으면 그 입김이 퍼지면서 누각이 서있는 모양을 보임.
설악산 주전골의 단풍
영감..
조선시대에 정삼품과 종이품 관리를 일컫는 말.
수제비..
조선시대에는 양반들의 고급음식으로 닭고기 얹어 먹기도 함. 그러나 6.25후 다량의 밀가루가 들어오면서 서민음식이 됨.
진도의 솔섬
무시로..
원래는 정착된 노점상말고 지게를 지거나 엿판처럼 목에 메거나 수레밀고 다니는 노점상.
점심..
원래는 중국스님들이 새벽이나 저녁 공양 전에 '뱃속에 점을 찍을 정도'로 간단히 먹는 음식
덕유산의 가을 연무와 단풍
떡비...
"가을에 내리는 비"를 의미하며 가을에 비가 오면 떡을 해 먹는다는 의미에서 생긴 말
귀빠진날..
태아의 귀가 보이면 출산이 완료된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출생시간은 귀빠지는 순간
전남 장흥 갈대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