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diet metabolism
2.정안침
3.허리
1.diet metabolism
음식(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위 (40분~수시간)
소장 (3~6시간)
대장 수분흡수
음식물 섭취 =>포도당형태로 흡수
장간순환후 => 혈액, 간(글리코겐, 지방)에 저장 => 혈액으로 분비 다양한 역할을 한다.
포도당 =>TCA사이클(미토콘드리아)=>ATP생성
지방 => 지방산, 글리세롤 =>TCA사이클 (ATP 생산량이 많다)
섭취한 포도당은
4시간동안 혈액내에 머무름 => 대뇌, 섭취한 포도당의 25% 배타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4시간후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 사용
12시간후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 사용, 근육에서 만들어진 ATP는 근육에서만 사용된다.
#우리신체는 놀랍게도 좁은 범위내의 정상 포도당 레벨을 가지고 있다.
정상상태70~110mg/dl
식후 180mg/dl 넘지않음
기아상태 60mg/dl 내려가지 않음
적절한 에너지 공급후 운동을 해야한다,
수분섭취 , 입이마름(이미 탈수 상태)
#포도당
인슐린
움직임이 적어 인슐린 사용이 없는 경우
음식섭취가 지솔될 때 (인슐린 분비는 한계가 있다)
성격문제 인내력 부족 유발
치료
세포의 민감도를 높인다. (금식, 간식제한, 규칙적 식사)
적절한 운동
후유증
1.시각장애
2.말초신경병증
3.신장 장애
비가역적인 변성이 일어나게 된다, 말초혈관의 순환장애 => ex)발기력저하(정력문제), 혈관성 치매
#끊임없이 먹는 것은 죄악이다.
혈관에 과잉 공급된 포도당은 간에 저장된다. =>인슐린 작용 불량으로 근육에서 쓰이지 못함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후 과잉량은 지방으로 저장됨 => 과잉된 지방은 혈관으로 재분비
#지질대사
항고지혈증약 => 환자 20%는 내성 발생상태, 부작용 발생
홍국
첨단 정혈탕 http://cafe.daum.net/panicbird?t__nil_cafemy=item
첨단 성인탕 : 산사 8g 택사 6g 백출 6g 홍국 4g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낮추는 약물)
혈관에도 mechanoreceptor가 있다 => 압력인지작용 => 순환문제 야기시,심장에 과부하(고혈압) => 계속되는 혈과의 과부하 =>혈관의 탄성저하
뇌는 점도가 낮아 혈관이 잘 터지게 된다.
스트레스
간의 문제
B형 간염
음주
지방간(과식)
#비만 : 노화와 병을 늦추는 과정으로 접근
항암 KBS스페셜
라론 증후군
성장이 멈추고 암에 걸리지 않는 라론 증후군
근친혼 원인, 뇌화수체에서 분비되는 igf-1호르몬 결핍 (사춘기 전에 igf-1투여하면 정상 키로 성장)
하루 200kcal 고단백식 3일후, 항암치료
에너지 과잉 공급 억제후, 치료
#성장
성장판 분화 촉진
2차성징(성조숙증)을 정상적인 범위내에서 늦추기 위함
비만하여 지방세포 과다시, 호르몬 문제로 성조숙증 유발
수기치료(연결조직 이완 치료)
운동, 스트레칭(근육의 발란스 , 장력은 맞추기 위해)
#비만
모든세포는 생로병사가 있다
비만세포는 죽지않는다
사이즈만 줄일수 있다.
지방산+글리세롤
1.운동은 대사율을 올릴수 있는 근력운동 시행
2.식이 input을 줄여야 한다.
3.지방을 제거할수 있는 순환이 되어야 한다(스트레칭)
식사후 3시간 30분경 20분간 전침, 지방에 자극(침 3hz, 고주파, 부항 등등) 지방세포(지방산+글리세롤) 분해를 위한 => 스트레칭후, 근력운동 => 산소공급 중요함 => 마지막 5분간 쉼박수 증가 운동 => 따뜻하게 유지한다
#정안침
피부의 조성 : GAGs(gel-like matrix)+콜라겐 섬유, 탄력섬유+섬유아세포(1%)
인체의 모든 조직은 상처가 나면 재생할 수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있다.
정안침 : 진피층(dermis)
MTS(microneedle therapy system) : 표피층(epidermis) 0.04mm~ 1.5mm
랑거스라인
최신 피부타입 분류법(advanced skin type)
Leslie Bauman에 의한 16가지 피부 타입으로 분류
(1) Oily/Dry 피부의 보습정도에 따라 지성과 건조
(2) Sensive/Resistant 피부의 예민정도 예민과 저항
예민피부 서브타입subtyp
1) Acne 여드름성 예민피부
2) Rosacea 주사성 예민피부
3) Stinging 따가움성 예민피부
4) Allergic 알레르기성 예민피부
(3) Pigmented/ Non-pigmented 피부의 색소침착 정도
색소침착성피부 / 비색소침착성 피부
(4) Wrinkle/Tight 피부의 주름 정도
주름피부 / 탱탱한 피부
예를 들면 건조와 예민이 있을 때 피부 분석은?
ⓐ D & S (건조+ 심한 예민 ) : 피부장벽 손상 - 아토피피부,
ⓑ D & lesser S (건조 + 약한 예민) : 천연보습인자 결핍 NMF deficiency,
ⓒ D & lesser S (건조 + 약한 예민) : 아쿠아포린 통로 손상 : AQP-3 Defect,
ⓓ D & W :( 건조 + 주름 ) - 히알루론산 부족 HA Deficiency,
ⓔ D & R ( 건조 + 주름없이 탱탱) : 피비분비 감소만 있는 경우
피부과학
피부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
1.표피층의 기초과학 http://blog.naver.com/freer9?Redirect=Log&logNo=70163669221
표피(epidermis) 0.04~1.5mm, 피부감촉(texture)과 수분(moisture)을 함유하고 피부색을 결정, 표피가 건조하고 거칠면 피부노화는 빨라짐
표피 : 기저층(basal layer), 유극층(spinous layer), 과립층(granular layer), 각질층(stratum corneum)
1)각질세포(keratinocyte) 각직세포는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 케라틴 섬유질(keratin filament)가 대부분을 차지함, 케라틴 섬유질은 산성(acidic type)과, 염기성(basic type) 타입이 있음
각질 세포의 기능
1.기저층(basal layer)
줄기세포(stem cell) 10%
증폭세포(amplifying cell) 50%
분열후세포(postmitotic cell) 40%
정상적인 상황에서 줄기세포는 천천히 분열하지만, 피부에 상처가 나거나 성장인자에 노출되면 분열속도가 빨라짐.
정안침으로 미세손상(micro injury)를 입혀 피부의 줄기세포 분열을 극적으로 촉질할수 있다.
2)유극층(spinous layer)
데스모좀(desmosmes)은 유극층에 뚜렷이 분포하여 유극층이라고 이름
유극층에는 involucrin, keratolinin, loricrin이라는 단백질이 각질층과 교차연결 되어 단단함을 유지
3)과립층(granular layer)
과립층의 가질세포는 표피층의 가장 중요한 세포임
칼슘은 표피층 각질세포에서 분화와 억제 유도자로서 역할을 수행함
4)각질층(horny layer, stratum corneum)
표피층의 가장 외부층인 각질층에 존재하는 각질세포는 각질화 과정(keratinazation process)를 완성하는 역할
각질층은 수분을 유지하고, 각종 단백대사의 작용으로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장벽 역활
2)피부 성장인자 (growth factor)
증식인자(proliferative factor) DNA 합성을 자극
분화인자(differentiative factor) DNA 생성을 억제
피부성장의 균형을 만듬
3)피부의 향균 펩타이드(antimocrobial perptides)
인체 피부의 선천적 면역시스템과 관련성 => 최근 활발한 연구대상
아토피 피부염, 건선, 나병 등 질환과 직접적으로 연관
4.각질층의 수분화(moisturization of the stratum corneum0)
장벽으로서 외부로부터 보호, 수분 유지
각질층의 지질(lipid)과 수분인자(moisturrizing factor)가 담당함.
가)자연수분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
피부과립(lamellar granules)에서 분비, 아미노산과 그 대사물로 구성됨
NMF는 피부 각질층 세포에만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피부에 수분을 유지함.
NFM는 물에 잘 녹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도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음
나) 지질(lipid)
피부 표면 지방
triglyerides, fatty acids, squalene, wax esters, diglyerides, cholesterol esters, cholesterol로 구성
해로운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마.
각질층 세포의 지방은, 나이, 선천적 원인, 계절의 환경, 음식에 따라 양이 달리짐.
진피층의 기초과학 http://blog.naver.com/freer9?Redirect=Log&logNo=70163669221
진피층은 피부 표피층과 피하지방층 사이에 존재함.
진피층의 두께는 표피층(0.04~1.5mm)의 몇배임, 3-7세에 가장 두꺼움
진피층은 많은 혈관, 신경, 분비선 등이 존재함
노화에 따라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 합성이 줄어들면서 피부두께와 수분 함량이 줄어듬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진피층에 존재하는 세포로 콜라겐섬유, 단력섬유, GAGs, 각종 효소를 생산함.
1.콜라겐(collagen)
콜라겐 정상 합성 준비물 ( 철, 비타민C, 알파케노글루타르산염)
2.탄력섬유(elastin)
탄력섬유는 진피층의 기저부에 존재함
탄력섬유 생성은 태아기 때부터 시작하여 출생 즈음에 최고로 많이 합성됨, 이후 탄력섬유 합성은 감소하고, 성인의 삶 과정에서는 사실상 합성되지 않음.
탄력섬유는 피부의 2-3%, 폐 3-7%, 혈관 28-32%
3.당단백질(glycoprotein)
상처 치유과정에 관여함
4.글리코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GAGs))
다당류 사슬로 코어 단백질에 이당류 단위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
히알루론산 : plasma membrane의 효소복합체에 의해 합성됨
글라이코스 아미노글리칸 : 골지체에서 합성됨
진피층에 존재하는 글리코스 아미노글리칸은 대부분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임
5.Matrix metalloproteinase(MMPs 효소)
피부의 피하지방층 http://blog.naver.com/freer9?Redirect=Log&logNo=70163669221
피부 피하지방층의 지방은 인체의 중요한 에너지 원천으로서 역할
인체가 노화됨에 따라 피하지방은 사라지고, 원치않는 부위에 재배치됨
눈아래 지방자루(infraorbital eye bags), 볼의 지방패드(buccal fat pad)축적, 칠면조 볏처럼 늘어진 목(wattle of the anterior neck), 상완뒷부분 지방축척 또는 부족(loose skin and fat accumulation in the posterior arm), 남성에서 유방크기 증가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렙틴 호르몬은 비만 유전자의 생선물임
렙틴은 인체 대사와 식욕에 중요한 조절자
비만한 사람은 혈장내 렙틴의 양이 많고 식욕을 촉진하고 지방을 축적하는 악순환을 일으킴
피부의 피하지방조직은 인체에서 가장 큰 연부조직
지방세포(adipocyte), 섬유성 조직(fibrous tissue),혈관 으로 구성됨
피하지방층의 무게
남성은 정상체중의 9-18%
여성은 14-20%
심각한 비만상태에서 체중의 60-70%까지 증가 가능함
1.지방세포(adipocyte)
흰색,갈색 지방세포 구분
흰색 지방조직(white adipose tissue)
베타카로틴 축적으로 노랑색으로 보임
풍부한 혈관이 공급됨
큰 지방방울(large lipid droplet)
갈색 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
작은 지방방울(small lipid droplets)이 모여있는 형태임
흰색지방세포보다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체온유지에 중요한 역할
태아기때 주로 갈색지방세포가 많이 관찰, 성인이되면 흰색 지방세포가 대부분 관찰됨
2.피하지방층의 해부학
첨층(apical layer) 땀샘, 모낭이 진피층과 함께 자리하고 있음, 혈관, 림프관,신경을 포함, 피부색소인 카로테노이드(carotenoid)풍부하여 노란색 피부를 반영함
mantle
deeper layer
#인체 지방의 역할
피하지방층
신경조직의 수초에 포스포리피드 형태
세포벽에 지방겹층(lipid bilayer)형태로 존재하여 표피층의 피부장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스테로이드 생성에 중추역활
식사로 제공되는 가장 흔한 지방형태는 중성지방(triglyeride)
포화지방(saturated lipid), 불포화 지방(unsaturated lipid)
#지방대사(lipid metabolism)
호르몬과 여드름, 피부노화
http://blog.naver.com/freer9?Redirect=Log&logNo=70163669221
hormones and aging skin
에스트로겐과 데스토스테론은 피부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피에조 전기 효과(piezoelectric effect)
인체의 손상된 조직이 기능회복을 제대로 하려면, 결합조긱을 포함한 손상조직이 적절한 방향성으로재배열 되어야 한다.
적절한 방향으로 천천히 co-contraction을 반복하면 원하는 목적에 도달하는데
이론적 근거가 piezoeletric effect
#허리디스크 증상, 진단 치료 http://cafe.naver.com/panicbird/190
최적 움직임 기능회복
환자의 두려운, 포기 상태, 통증 및 현상황에 익숙해짐 개선, 인식전환 필요
검사와 진단 정확성
좋은의사 좋은치료사 좋은환자
단순해지지말고,계속 고민하고 계획을 세워라
환자의 자연경과 파악, 전체 진행과정, 모든 과정 이해
계속되는 변화상태 및, 환자에 대한 각각의 생각 및 변화에 반응
각 세분화된 단계별 전략
각 단계마다 상황마다 대처할수 있는 능력
전략 연결동작
나을려고 하는 행위, 하지말아야할 행위
#치료시 한번 실수하거나 잘못하면 쉽게 무너진다.
환자가 신경통을 인식 알아야 한다
행동수정
단계를 뛰어넘는 과정
신경통 => 통증 => 보행제한 => 장력파괴
* 밤에 왜 통증이 심해지는가
cortisol의 분비 주기 / 통증에 대한 집중 / 시간에 따른 체내조직 점탄성의 변화 / 조건화
허리디스크의 발생원인 http://wkhanbang.tistory.com/350
허리디스크는 허리가 약해서입니다. 척추 불안정이라고 합니다.
허리디스크 완치하는 방법(최적화 움직임 회복)http://blog.naver.com/freer9/70159308984
급성으로 발생한 허리 디스크 문제의 핵심은 9가지
1.디스크 파열로 초래되는 척추의 불안정성
2.국소적요통(후관절 증후군 포함)
3.하지방사통(좌골신경통)
4.추체-디스크-추체의 유착
5.탈출된 디스크와 신경근의 유착
6.운동신경 손상으로 초래되는 근마비와 근위축
7.허리의 동적요대 근육(코어근육)의 약화로 인한 2차적 불안정성
8.다열근 등 속근육 사용의 불충분(inhibited)으로 인한 허리 분절움직임 제한
9.오랜 허리 움직임 제한과 만성통증으로 인한 전신 형응움직임 불충분 등
6개월 1년이상 만성화시 6가지 심각한 문제 발생
1.만성통증
2.후관절의 퇴행과 변성
3.척추 골단판의 퇴행성변화(end plate modic change)
4.디스크의 흡수와 석회화(calcification)
5.다열근의 지방으로의 대치(fat infiltration)
6.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으로의 진행
=>환자의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킴
척추 불안정성을 막고, 심각한 척추 퇴행화를 예방
1.움직임 기능회복을 염두에 둔 효과적인 통증조절
2.움직임의 필요조건인 척추 안정화의 완성
3.인체 움직임의 기본인 고유수용감각(평형성, 협응성, 민첩성)의 회복
허리디스크 치료시기 4단계
1.척추 불안정기
2.통증완하기
3.척추 안정화기
4.재발방지기
환자 스스로
의료인의 적절한 치료적 개입 => 재활치료의 세밀한 단계를 계획하는것
가속 프로그램과 지연프로그램
#허리디스크 치료의 두가지 실패
1.허리디스크 초기에 적절한 진단실패, 진통제 복용하면서 과도한 활동에 방치되어 디스크 탈출이 심해짐
2.통증이 사라져 허리를 움직이면서 튼튼히 해야 할 때인데도 불구하고, 안정하여 허리가 약해지는 경우
#침상안정의 폐해
#척추 안정성
관절의 수동, 능동, 신경조절 안정화 시스템
허리디스크의 발생은 단순히, 수동안정화시스템인 인대 추간판등을 손상시킬 뿐만아니라, 근육, 건에 의한 능동 안정화시스템, 고유수용성감각, 뇌에 의한 신경조절 안정화시스템까지도 망가뜨린다.
#움직임 기능 회복의 주인은 바로 환자
#허리디스크 재활치료
1단계 : 악화요인의 제거(avoid aggravation)
2단계 : 재활의 타이밍을 잡는것
적적할 치료적 맞춤 운동중이라도, 근육과 인대, 관절이 튼튼해지는 과정중 어느정도 통증은 발생할수 있다.
허리디스크 환자의 통증과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강한 허리를 갖기 위해서 반드시 치료적 재활운동으로 넘어서야 하는 중요한 장애물이다.
#허리디스크 예후
1.통증의 만성화정도
2.척추관의 크기와 디스크탈출 정도
3.신경학적 검진
4.좌골신경의 포착
5.척추기립근의 지방 침착
#허리 디스크 완치를 위해 넘어야할 8가지 관문
1관문 : 요추불안정성의 안정화, 수동안정화시스템에 의한 척추 안정화 단계
침상안정시행(2-7일로 최소하),
신경근 압박에 따른 염증제거를 위한 적절한 약물투여
얼음찜질(1시간 30분, 하루 5회이상)
2.관문 : 인체의 기능회복을 전제로한 효과적 통증 치료
3.관문 : 침상안정에 의해 나타나는 척추관절의 유착을 해소하고 최소한의 움직임을 회복
능동 안정화 시스템에 의한 척추 안정화 단계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골반 전후방경사 운동, 척추안정화 운동, 관절가동, 근에너지 기법,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이용
4관문 : 탈출된 디스크-신경근의 유착을 떼어 신경기능의 회복을 가능한 빨리 유도
신경가동 기법, 생체역학적 균형을 바로 잡는것.
5.관문 : 근위약, 근위축 을 효과적을 회복
주동근, 협력근, 길항근 등 근육기능에 대해서 알며,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이용하여 기능회복과, 마비된 근육의 움직임을 재교육
6.관문 : 재발 방지를 위한, 척추 안정성을 바탕으로 최적화 움직임을 회복
허리, 골반, 하체의 근지구력, 근력을 향상뿐만 아니라, 균형운동, 협응성 운동 등의 기능회복을 위한 치료적 맞춤운동, 진화순응균형운동, 플라이오메트릭스
신경조절 안정화시스템에 의한 척추안정화 단계
7.관문 : 인체의 부정령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학적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
일자목, 상부교차 증후군, 하부교차 증후군, 일자허리, 회전성 부정령, 내반슬, 외반슬, 과회내 보행 등의 개선을 위한 운동
8.관문 : 치료적 재활운동의 환자 순응도(의학면담)를 높이는 것이단.
#허리 디스크 발생원인
#허리 디스크 파열기전 http://wkhanbang.tistory.com/639
추체 종판(vertebral endplate)과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의 상태에서 지속되는 작은 충격의 반복(repetition of micro trauma)
52%의 디스크파열이 일어나는 시간은 아침 기상후 30분
디스크와 종판에 적절한 점탄성이 만들어지고, 적절한 충격흡수 기능을 하기 위한 최소의 시간이 30분이다.
허리 디스크 증상 http://wkhanbang.tistory.com/353
허리통증, 엉덩이, 다리에 통증, 이상감각
터질듯 아프다, 쑤신다, 애리다, 쥐난다, 전기오는 느낌, 저리다, 시리다, 먹먹하다
심하면 엄지발가락 굴곡장애(국소마비), 다리가 가늘어지고(근위축), 아킬레스 건반사가 떨어지고,
더심하면 소변장애, 발기장애발생 ( 48시간 이내에 수술하여 신경압박을 제거)
#허리디스크 밤에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 http://wkhanbang.tistory.com/355
1.코르티솔의 일중변동 - 밤에는 코르티솔 수치가 떨어지기때분에 염증반응이 활성화
2.통증에 대한 주의
3.수면시 움직이지 않으면 관절강직 - 디스크 부위 근육, 근막, 인대 의 유착발생
4.야간에 디스크에 부하가 줄어들면 확산에 의해 디스크에 물성분 증가 =>디스크 크기 확장 => 신경근 압박
5.야간통에 뇌가 조건화(conditioning)
#허리디스크 예후 보는법 http://wkhanbang.tistory.com/529
1.통증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가? 감작현상(sensitization)
2.barrel and contents mechanism
3.multifidus fat infiltration , 다열근의 지방침착
MRI T1영상
Gr 0(none)
Gr 1(slight) (10~50%)
GR 2(severe)(>50%)
4.Modic change, 추간판의 퇴행성 정도
첫댓글 와우..
드디어 나재일 원장님이 이렇게 멋진 정리를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