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협조> *절연협조- 계통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등의 상호간에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끔 함으로서 계통의 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끔 한 것. *기준충격 절연강도 비교: 선로애자 > 결합 콘덴서 > 변압기 > 피뢰기 *BIL(Basic Insulation Level):기준충격 절연강도 [KV]
<유도장해> *근본대책 ①대지전류를 최소화 한다. ②송전선과 통신선을 충분히 이격한다. ③선로 병행길이를 감소시킨다. *전력선측 대책 ①송전선로를 가능한 한 통신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건설한다. ②중성점을 저항 접지할 경우 저항값을 가능한 한 큰값으로 한다. ③고장회선을 고속도 차단한다. ④차폐선을 설치한다. ⑤연가를 충분히 한다. *통신선측 대책 ①통신선 중간에 중계코일을 설치 구간을 분할한다. ②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통신선에 성능이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⑤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송전선로 안정도 증진 대책 ①직렬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②전압변동을 작게 한다. ③계통을 연계한다. ④중간조상방식을 채택한다. ⑤고장전류를 줄이고 고장구간을 고속도 차단한다. ⑥고장시 발전기 입출력의 불평형을 작게한다. <코로나 현상> - 전선로나 애자 부근에 임계 전압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낮은 소리나 엷은 빚을 내면서 방전되는 현상. *영향 ①코로나 손실. ②코로나 잡음. ③통신선의 유도장해. ④소호 리액터의 소호 능력 저하. ⑤전선의 부식. *코로나 발생 방지대책 ①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②복도체 방식을 채용한다. ③가선금구를 개량한다. [이유]: 전선주위의 전위경도를 낮춤으로서 코로나 임계전압을 상승시켜 코로나 발생 방지. *복도체 방식 [장점] ①송전용량 증대. ②코로나 손실 감소. ③안정도 증대. [단점] ①건설비 증가. ②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 ③단락시 대전류등이 흐를 때 소도체 사이에 흡입력 발생. *파열극한 전위경도 교류: 21[KV/cm], 직류: 30[kV/cm]의 전위경도를 가하면 절연이 파괴. <고조파 전류>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 ①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②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③통신선의 유도장해. ④보호계전기 오, 부동작. ⑤전력계통의 공진현상 발생. *발생원인 ①변압기, 전동기등의 여자전류. ②컨버터, 인버터, 쵸퍼등의 전력변환장치. ③전기로, 아크로로 *고조파 억제 대책 ①전력변환장치의 펄스의 수를 늘린다. ②직렬 리액터 설치. ③고조파 필터 사용. <지중 전선로> *송전선로로서 지중 전선로 사용 이유 ①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②수용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③뇌, 풍수해등에 의한 사고에 대해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경우. ④보안상의 제한조건으로 가공전선로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①직접 매설식 ②관로식 ③암거식 *지중 전선로 접지공사 ①전선은 케이블을 사용한다. ②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지중 전선로 고장점 탐지법 ①머레이 루프법: 1선 지락사고 및 단락사고. ②펄스 측정법: 3선 지락사고 및 단락사고. ③정전 브리지법: 단선사고. <유도전동기> *유도전동기 기동법 [농형] ①직입기동: 전동기에 직접 전원 접속하여 기동. 5[kW]이하 소형. ②Y-△기동: Y결선으로 기동한 후 타이머 설정시간이 지나면 △결선으로 운전한다. 이때 Y와 △는 동시 투입되면 안된다. 5.5~37[kw]에 사용. ③기동보상기법: 기동시 전동기에 대한 인가전압을 단권변압기로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서 기동전류를 억제하고 기동완료후 전전압을 가하는 기동방식. 고전압 농형 유도전동기를 기동할때 사용. (수명과 경제적으로 유리) [권선형] ①2차 저항 기동법: 유도전동기의 비례추이 특성이용. ②2차 임피던스 기동법: 회전자 회로에 고정저항과 리액터를 병렬 접속한 것을 삽입하여 기동. *Y-△ 기동시와 전전압 기동시의 기동전류를 비교. : Y-△ 기동전류는 전전압 기동전류의 1/3배. *리액터 기동: 전동기와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걸리는 기동전압을 감압시켜 기동하는 방법.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 종류 [3상] ①2차 저항제어법(권선형). ②2차 여자법. ③극수 제어법. ④주파수 제어법. ⑤종속법. [단상]: 전압 제어법 *최대전류 억제방법 ①설비부하의 피크컷 및 피크시프트. ②자가발전기 가동에 의한 피크제어. ③디멘드 컨트롤러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어.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방식 ①반발 기동형. ②콘덴서 기동형. ③분상 기동형. ④세이딩 코일형.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 회전방향 반대로 - 기동 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한다. *절연종류와 허용온도
*3상 농형 유도전동기 4대로 MCC 구성시 대표장치. ①차단장치 ②기동장치 ③제어 및 보호장치 *3상 유도전동기 기동하지 않는 원인 ①3선중 1선이 단선된 경우. ②기동기의 고장 ③고정자 권선 내부의 오접속. ④코일의 단선 및 소손. ⑤큰 전압강하로 인한 기동토크의 부족. *3상 유도전동기 Plugging회로 - 정회전중인 경우 3선중 2선의 접속을 바꾸어 역회전의 접속으로 전환하여 급속히 감속하고, 시한 계전기나 역회전 검출 계전기에 의해서 역방향으로 가속되기 전에 정지 시킨다. (역전제동) *동기 전동기 [장점] ①정속도 운전. ②역률이 좋다. [단점] ①직류전원이 필요하고, 보수와 점검이 불편하다. ②가격이 비싼편이다. *고압전동기 조작용 배전반에 필요한 계전기 ①과부족전압 계전기. ②결상 계전기. *50[Hz]에 사용하는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의 전원에 사용할 때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 회전수는 20[%] 빨라진다. *주파수증가→자속감소→전력손실(철손)감소→효율증가 ↓ ↓ 속도증가 온도상승증가 <수변전설비> *기기명칭, 약호, 기능 1. 전류계용 절환개폐기 AS - 전류계 1대로 3상의 각 선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2. 전압계용 절환개폐기 VS - 전압계 1대로 3상의 각 선간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3. 계기용 변압기 PT - 고전압을 저전압(110V)으로 변압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 4. 변류기 CT - 대전류를 소전류(5A)로 변류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 5. 계기용 변압변류기 MOF - PT와 CT를 한 함내에 설치하고,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압, 변류하여 전력량계에 공급한다. (PTT:시험용 전압단자. CTT:시험용 전류단자) 7. 차단기 CB - 부하전류의 개폐 및 고장전류 차단. 8. 유입개폐기 OS - 부하전류의 개폐. 9. 단로기 DS - 무부하에서 회로 개방. (F-F:표면접속, B-B:이면접속) 10. 트립코일 TC - 사고시에 여자되어 차단기를 동작시킨다. 11. 지락계전기 GR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로 동작하여 차단기를 동작. 12. 영상변류기 ZCT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를 검출하여 지락계전기에 공급. 13. 과전류계전기 OCR - 과전류에서 동작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킨다. 14. 영상 계기용 변압기(접지형 계기용 변압기) GPT - 지락사고시 영상전압을 검출한다. 15. 피뢰기 LA - 낙뢰등에 의한 이상전압 침입시 전기를 대지로 방전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한다. 16. 전력퓨즈 PF -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계통으로 파급되는 것을 방지. 17. 전력용 콘덴서 SC - 진상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18. 방전코일 DC -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방전시킨다. 19. 직렬리액터 SR - 제5고조파 전류의 확대방지 및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 억제. 20. 케이블 헤드 CH - 고압케이블의 단말과 가공 전선을 접속하는 것. 21. 고압 컷아웃 스위치 COS - 과부하 전류로부터 변압기 1차권선 보호와 사고시에 과전류를 차단한다. *분류기호 및 약호 ①부족전압계전기: UVR ? 27 ②지락 선택계전기: SGR ? 50 ③단락,지락 선택계전기 - 50T ④과전류계전기: OCR ? 51 ⑤과전압계전기: OVR ? 59 ⑥지락 과저압계전기: OVGR ? 64 ⑦지락 방향계전기: DGR ? 67 ⑧전류 차동계전기(비율차동계전기) ? 87 ⑨주변압기 차동계전기 ? 87T ⑩발전기용 차동계전기 ? 87G ⑪모선보호 차동계전기 ? 87B ⑫역률계: PF ⑬주파수계: F ⑭전력량계: KW ⑮고장표시등 ? 30F *고압 수전설비 @고압 전동기의 조작용 배전반에 설치하는 계전기 - 과부족전압 계전기. 결상 계전기. @계기용 변성기: 몰드형. (특고압: 유입형) @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 전원측 설치이유 - 보호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차단기 트립방식 - 변류기 2차전류 트립방식(과전류 트립방식) @콘덴서용량 50[KVA]미만에서는 COS사용 *특고압 수전설비 @ULTC종류: 병렬구분식. 단일회로식. @차단기 트립방식 ①직류(DC)방식: 66[KV]이상 수전설비에서 사용. ②콘덴서(CTD)방식. @생략가능: LA용 DS. @22.9[KV-Y]용의 LA: Disconector 또는 Isolator 붙힘형 사용. @DS대신 ASS(자동고장구분 개폐기)를 사용할수있다. (7000[KVA]초과시 Sectionalizer). 66[KV]이상의 경우 LS를 사용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22.9[KV-Y]에서 CB대신 사용하는 것. - 1000[KVA]이하: ASS(자동구분고장개폐기) + PF - 300[KVA]이하: INT.SW(인터럽터스위치) + COS (비대칭전류 10KA이상)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하는경우: 예비회선포함 2회선 @22.9[KV-Y] 케이블 종류 [일반]: CN-CV 케이블 [지중인입선]: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트리억제형) [화재우려]: FR CNCO-W(난연) 케이블 (동심중성선 수밀형 저독성 난연 전력 케이블) *22.9[KV-Δ]에서는 CV케이블 사용.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는 변압기 2차측 주차단기에 결상계전기 설치. (결상사고에 대한 보호) *자동고장구분개폐기와 인터럽터 스위치 비교 @자동고장구분개폐기 (ASS) - 무전압시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고장 구분 개폐기로서 돌입 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300 ~ 1000[KVA]에서 인입 개폐기로 사용. @인터럽터 스위치 (INT.SW) - 수동 조작만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돌입 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이하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정격전압 [KV]
*변전설비를 계획하고자 할 때 기본계획에 고려해야 할 사항 ①안전성 ②신뢰성 ③경제성 ④주변 환경고려 ⑤조작 및 취급 ⑥보수점검 유지 *수전설비의 설치 장소로서 구비하여야 할 조건 ①전원의 인입, 인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소. ②가능한 부하의 중심에 가까워 배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소. ③증설, 확장에 필요한 여유가 확보될 수 있는 장소. ④변압기 등의 소음공해를 일으키지 않을 장소. ⑤지반이 견고한 장소. ⑥기기의 반입, 반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소. ⑦침수의 우려가 없고 가스, 분진 등이 적은 장소. ⑧가연성, 폭발성 물질의 제조 및 저장소로부터 떨어진 장소. *수전설비의 크기를 좌우하는 사항들 ①수전 전압의 크기. ②변압기 용량과 대수. ③콘덴서 용량과 대수. ④고압회로의 분기수. ⑤저압회로의 분기수. ⑥기기의 배치와 형식. ⑦보수 점검의 공간. ⑧수전 설비의 형태. *특별고압 수전회로의 수전방식 ①1회선 수전. ②2회선(상용예비) 수전. ③평행 2회선 수전. ④루우프 수전. ⑤스포트 네트워크 수전. *고압 수용가의 수전설비 종류 ①CB형 정식 수전. ②PF + CB형 정식 수전. ③PF + S (OS형) 간이 수전. (특고일 경우 ASS + PF 간이 수전.) <차단기> *차단기 종류
*고압 이상에 사용되는 차단기 ①유입 차단기 ②가스 차단기 ③진공 차단기 *특고압 이상에서 사용되는 차단기 ①유입 차단기 ②가스 차단기 ③진공 차단기 ④자기 차단기 ⑤진공 차단기 *특고압 이상에서 재점호가 발생되지 않는 차단기 ①가스 차단기 ②진공 차단기 *ACB와 ABB비교 ACB:기중 차단기로서 고,저압 회로에 사용되는 차단기. ABB:공기 차단기로서 특별고압용 차단기로 사용. *차단기 트립방식 ①직류전원 방식: 별도로 설치된 축전지등의 제어용 직류전원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 ②과전류 트립방식: 차단기의 주회로에 접속된 변류기의 2차전류에 의해 차단기가 트립되는 방식. ③콘덴서 트립방식: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 ④부족전압 트립방식: 부족전압 트립장치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의 저하에 의하여 트립되는 방식. *차단기 정격 차단 시간: 개극시간과 아크 소호시간까지의 합 *차단기의 정격전압: 차단기에 부과할 수 있는 사용 회로 전압의 상한. *과전류 차단기 시설 제한 ①접지공사 접지선. ②다선식 선로의 중성선. ③저압 가공 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차단기 표준전압 공칭전압: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 최고전압: 전선로에 통상 발생하는 최고의 선간전압. *차단기 단락전류 계산 ①차단기의 차단용량 결정. ②보호계전기 정정. ③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 추정. *전력계통 단락용량 경감대책 ①고 임피던스 기기 채택. ②모선계통 분리 운용. ③한류 리액터 설치. *500[KW] 미만의 주 단로기 다음에 설치할 설비기기 - 차단기 *수전용 유입 차단기의 차단용량 부족의 대비를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기기 ? PF (전력퓨즈) *교류 차단기 동작책무: 차단기가 계통에서 사용될 때 차단-투입-차단의 동작을 반복하는데 그 동작시간 간격을 나타낸 일련의 동작을 규정한 것. *차단기 정격 단시간 전류: 정격 단시간 전류는 그 전류값을 규정된 회로 조건하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 차단기에 흘려도 차단기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전류. *차단기 사용전 검사항목 (다른기기도 적용) ①절연저항 측정 시험. ②절연내력 측정 시험. ③접지저항 측정 시험. ④외관 검사 ⑤계전기 동작 시험. ⑥계측장비 설치 상태 확인. ⑦절연유 산가측정. ⑧내압시험. *SF6가스 특징 [전기적 특징] ①절연내력이 크다. ②소호능력이 뛰어나다. ③아크가 안정되어 있다. ④절연회복이 빠르다. [물리적 특징] ①열 전달성이 공기의 약 1.6배. ②화학적으로 불활성 가스로 안정적이다. ③무색, 무취, 무해의 불연성 가스이다. ④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가스 절연 개폐기 (GIS) [사용가스]: SF6가스 (육불화 유황가스) [공기에 비해 절연내력이 몇배 좋은가]: 2~3배 [장점] ①절연성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불활성 기체이다. ②소호능력이 뛰어나다. (공기의 약 100배) ③절연내력도 공기의 약 2~3배이다. *GIS 장점 ① 소형화 경량화 ② 충전부 밀폐로 인한 안정성 향상 ③ 신뢰도 향상 ④ 소음감소 ⑤ 친환경성 *기기별 정상전류 또는 이상전류에 따른 작동상태 확인
[접지순서] ? 접지측 금구를 먼저 대지에 연결 후 선로측 금구를 선로에 연결 [접지개소] ? 선로측 A부하와 부하측 B부하 [폐로시 조작순서] : CB(OFF) → DS2(OFF) → DS1(OFF) [개로시 조작순서] : DS2(ON) → DS1(ON) → CB(ON) [긴급할때 DS로 개폐 가능한 전류] - 무부하전류, 충전전류. 변압기 여자전류. [B모선을 점검하기 위한 절체 순서] : 31(ON), 32(ON), 30(ON), 21(ON), 22(OFF), 30(OFF), 31(OFF), 32(OFF) [B모선 점검후 원상복구 순서] : 31(ON), 32(ON), 30(ON), 22(ON), 21(OFF), 30(OFF), 31(OFF), 32(OFF) [10, 20, 30에 대한 기기명칭]: 차단기 [11, 21에 대한 기기 명칭]: 단로기 [2중 모선의 장점]: 모선 점검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정전 상태로 할수 있어 전원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절환모선 [평상시에 절환모선이 가압되어 있는지 여부]: 가압되어 있지 않다. [절환모선을 설치한 이유]: 교류차단기 또는 OCR 점검시 무정전 전원공급. <피뢰기> [제1보호대상]: 전력용 변압기. [구성요소]: 직렬갭과 특성요소. *피뢰기 공칭 방전 전류
*상용주파 허용 단자전압 [직접접지]: 공칭전압의 0.9 ~ 1.0 배 [저항접지]: 공칭전압의 1.4 ~ 1.6 배 *피뢰기 정격전압, 제한전압. [정격전압]: 속류를 차단 할 수 있는 최고 허용 교류전압. [제한전압]: 피뢰기 방전중 피뢰기 단자간에 나타나는 전압의 파고값. *피뢰기 구비조건 ①상용 주파 방전 개시전압이 높을 것. ②충격 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③제한전압이 낮을 것. ④속류 차단 능력이 클 것. *피뢰기 피뢰침 접지가 타접지와 공용이 안되는 이유 - 낙뢰에 의한 이상전압 침입시 피뢰기 접지선을 통해 다른 기기 및 기구에 침입하여 계통의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 *피뢰기 접지극 이격거리: 2[m] *피뢰기 종류 ①갭 저항형. ②밸브형. ③밸브 저항형. *피뢰침 설치 의무화 - 지면상 20[m]를 초과하는 건축물, 설비 위험물, 화약류 저장소. *갭레스형 피뢰기에 사용하는 금속 산화물 - ZnO (산화아연) *갭레스형 피뢰기 특징 ①직렬갭이 없으므로 소형화, 경량화. ②속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좋다. ③속류에 따른 특성요소 변화가 적다. *서지흡수기 (SA) - 피뢰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나 적용 전압 범위만을 조정하여 적용시키는 일종의 옥내 피뢰기. *설치장소 [피뢰기]: 인입구와 주차단기 1차측 사이에 설치. [서지 흡수기]: 개폐서지가 발생되는 차단기의 후단에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기기의 전단 사이에 설치. *서지 흡수기를 설치하는 경우 ①진공차단기와 전동기 사이에 설치. (전동기보호) ②진공차단기와 몰드변압기 사이에 설치.(변압기보호) ③진공차단기와 건식변압기 사이에 설치.(변압기보호) *서지 보호장치 (SPD) - 50/60[Hz]의 교류에서 정격 1000[V]까지의 전원에 접속하는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시설하는 것으로 서지전압을 제한하고 서지전류를 분류하기 위해 1개소 이상에 비선형 소자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이다. <전력퓨즈> *기능 ①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 시킨다. ②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보호. *퓨즈의 특성 (성능) ①용단특성. ②단시간 혀용 특성. ③전차단 특성. [장점] ①소형 경량이다. ②릴레이나 변성기가 불필요하다. ③고속도 차단할 수 있다. ④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가진다. ⑤보수가 간단하다. [단점] ①재사용 할 수 없다. (가장 큰 단점.) ②과도전류에 의해 용단 될 수 있고, 결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③동작시간-전류특성을 계전기처럼 자유로이 할 수 없다. ④한류형은 용단 되어도 차단하지 못하는 전류 범위가 있다. ⑤차단시 과전압을 발생한다. *기능상 고려사항 ①정격 전압. ②정격 전류. ③정격 차단 전류. ④사용 장소. *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①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②변압기 돌입 여자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③충전기 및 전동기 기동전류에 기동하지 말 것. ④보호기기와 협조를 가질 것. *PF-S형 큐비클의 주 차단 장치 - 전력퓨즈, 고압 개폐기. *퓨즈 및 각종 개폐기 기능비교
<보호 계전기> *보호 계전기 동작 요소. ①전압 요소. ②전류 요소. ③임피던스 요소. ④위상 및 방향 요소. *고압 회로용 진상콘덴서 설비에 사용되는 계전기 ①과전압 계전기. ②부족전압 계전기. ③과전류 계전기. *영상 변류기를 3상 3선식 수전설비에 시설할 때 항상 짝지어서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계전기 - 지락 계전기 (GR) *지락 보호 계전기 종류 ①지락 과전압 계전기 (OVGR) ②지락 과전류 계전기 (OCGR) ③지락 선택 계전기 (SGR) ④지락 방향 계전기 (DGR) *디지털 계전기 장점 ①고성능 다기능화. ②소형화. ③신뢰도가 높다. ④융통성이 높다. ⑤변성기의 부담이 줄어든다. *전자 릴레이 [장점] ①과부하 내량이 크다. ②온도 특성이 좋다. ③전기적 잡음 없이 입, 출력을 분리 할 수 있다. ④가격이 싸다. ⑤부하가 큰 전력을 인출 할 수 있다. [단점] ①소비 전력이 크다. ②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③응답 속도가 느리다. ④가동 접촉부 수명이 짧다. ⑤충격, 진동에 약하다. *접지형(영상) 계기용 변압기 GPT [결선]: 1차-Y결선. 2차-오픈델타 결선. [전압계 지시값]: 평상시 0[V], 1선 지락시 190[V]. [GPT옆에 병렬로 설치된 R]: 전류 제한 저항기 (CLR) - 비접지 방식에서 ?를 사용하여 GR을 동작시키기 위한 유효전류 발생. [A상 지락사고시 접지표시등]: L1은 소등되고, L2, L3는 더 밝아진다. (L1: 0[V], L2=L3: 110[V]) *비율 차동 계전기-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 고장에 대한 보호용으로 사용. *보조변류기 CCT- 전류차동계전기(비율차동계전기)의 1차와 2차간 전류차가 클 때 전류차를 보정해주는 계전기. *주변압기 기계적인 내부 고장 검출 ? 부흐홀쯔 계전기. *중성점 접지 저항기 NGR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 억제 및 건전상의 전위상승 억제. *CT 2차측 운전중 개방해선 안된느 이유 - 2차측 절연보호. (개방하면 1차측 부하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2차측에 고저압이 유기되어 절연파괴 우려가 있다.) *통전중에 있는 변류기 2차측 기기 교체- 2차측 단락. *계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 전원측에 설치 - 보호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부하 합계 용량 300[KVA] 초과하는 배전반에 반드시 부착하는 측정계기 - 전압계, 전류계. *계기용 변압기 1차측과 2차측에 퓨즈 부착 여부 - 1차측과 2차측에 퓨즈를 반드시 부착한다. [이유]: 계기용 변압기 2차 부하의 과부하 및 단락 또는 계기용 변압기 단락시 퓨즈가 차단되어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 *PT 2차 전로측 접지공사 이유 - 1, 2차 혼촉 사고로 인한 2차측 고전압 유기 방지.
[단자 결선방법] 1-4, 2-5, 3-9, 6-8, 7-10 [기기 명칭] A ? 수저항기 (물저항기) B ? 전류계 C ? 사이클 카운터 (계전기 시험장치) [시험명] S2 투입: 계전기 한시 동작 특성 시험. S2 개방: 계전기 최소 동작 전류 시험. *4E 계전기가 보호하는 사고 ①과부하 사고. ②역상 사고. ③접지 사고. ④결상 사고. *보호장치에서 3E ①과부하 보호장치. ②단락사고 보호장치. ③지락사고 보호장치. *변류기 2차측에 접속한 외부 임피던스 - 부담 임피던스. *정격부담[VA] - 변성기 2차측 단자간에 접속되는 부하의 한도. *변압기 돌입 여자 전류에 의한 차동계전기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차동계전기 종류(방식) - 감도 저하법. 고조파 억제방식. <변압기> *수용률: 설비용량에 대한 최대전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부등률: 전력 소비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정도 [부등률이 클수록]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 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부등률이 클수록] 공급설비를 유효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경제성은 높아진다.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부하율: 어떤 기간 중의 평균수용전력과 최대수용전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부하율이 크다] - 공급설비에 대한 이용률이 높고 전력변동은 적다. [부하율이 적다] ①공급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부하설비의 가동률이 저하.
*Δ-Δ결선 [장점] ①제3고조파 전류가 Δ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사용 할 수 있다. ③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단점] ①중성점을 접지할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로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Δ-Y결선 [장점] ①Δ권선내에 제3고조파 전류가 흐를수 있어 정현파 기전력을 얻는다. ②Υ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하여 이상전압을 저감할수 있다. [단점] ①1,2차간 선간전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생긴다. ②1상 또는 1대의 변압기가 고장이 생기면 송전이 중단된다. *Y-Y 결선 [장점] ①1,2차 전압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②중성점 접지를 할수 있어 이상전압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절연에 유리하다. ③상전압이 선전압의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이 되어 고전압에 적합하다. [단점] ①기전력의 파형이 제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②중성점 접지시 통신선 유도장해를 일으킨다. ③부하의 불평형에 의해 중성점 전위가 변동하여 3상 전압이 불평형을 일으킨다. *Y-Y-△ 3권선 변압기에서 3권선 용도 ①제3고조파 제거. ②조상설비 설치. ③소내 전력 공급용. *V-V 결선 [장점] ①Δ-Δ결선에서 변압기 1대가 고장시 2대만으로도 3상부하에 전원공급 가능. ②설치가 간단하고, 소용량이면서 가격이 저렴. [단점] ①설비이용률이 86.6[%]로 저하. ② Δ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로 저하. *Tr 2차가 저압인경우 Y 결선: 중성점 접지. Δ, V 결선: 한단자 접지. [이유]: 고,저압 혼촉시 2차측 전위상승 방지 *주상변압기 저압측 한단자 접지목적 - 고,저압 혼촉시 2차측 전위상승 방지 *단권 변압기 [장점] ①소형이고 가격이 싸다. ②효율이 좋다. ③전압변동률이 작다. ④여자전류가 작다. [단점] ①단락전류가 크다. ②1차회로와 2차회로가 전기적으로 완전히 절연되지 않는다. [용도] ①승압기. ②기동보상기. ③계통의 연계. ④전차선의 급전용. *몰드형 변압기 [장점] ①소형, 경량화 가능하다. ②내습성, 내진성이 양호하다. ③난연성이 우수하다. ④전력손실이 적다. ⑤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용이하다. [단점] ①가격이 비싸다. ②충격파 내전압이 낮다. *H종 건식 변압기 [장점] ①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②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③난연성, 자기 소화성으로 화재의 발생이나 연소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④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용이하다. *변압기의 효율이 향상되고 소형, 경량화되는 이유 ①건식화. ②절연재료 개발. ③자성재료 향상. ④도전율 향상. ⑤몰드화. ⑥권철심 사용. *변압기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 ①부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②경부하 운전하는 경우. ③주위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 ①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②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③고저압 혼촉. ④권선의 단선. ⑤부싱 리드선 절연파괴. *OA:유입자냉식, FA:유입풍냉식 *저감절연 - 중성점을 접지하여 지락사고시 이상전압을 경감시켜 변압기 및 기타기기의 절연을 저감시켜 준다. (170[KV]에 사용하는 변압기에 많이 사용) *유입변압기 흡습제: 실리카겔 또는 염화칼슘 (청백색) *절연유 특징 ①절연저항이 클 것. ②점도가 낮을 것. ③인화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을 것. ④산화 및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 다를 경우 ①각 변압기 극성이 같을 것. -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소손. ②각 변압기의 권수 및 1차, 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가열. ③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 부하의 분담이 균형을 이룰 수 없다. ④각 변압기 저항과 누설 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각 변압기의 전류간의 위상차가 생겨 동손이 증가. ⑤변압기의 상회전 방향 및 위상변위가 같을 것. *변압기 병렬운전 불가능한 것 :Δ-Δ와 Y-Δ , Δ-Y와 Y-Y [이유]: 각 변위의 차가 다르므로 대단히 큰 순환전류가 흘러 변압기 소손 우려. *대용량 변압기 보호장치 ①유온계. ②충격압력 계전기. ③부흐홀쯔 계전기. ④비율차동 계전기. ⑤방압장치. <변압기 역률> *역률 개선 원리 - 유도성 부하를 사용하게 되면 역률이 저하하는데,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용량성)을 설치, 진상전력을 공급하여 부하의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역률 저하시 수용가측 손해 ①전력손실이 커진다. ②전기요금 증가. ③전압강하 증가. ④설비의 여유 감소. *역률 개선 효과 ①배전선의 전력손실 경감. ②전기요금의 감소. ③전압강하 감소. ④설비여력의 증가. *역률 과대보상 [경부하시 콘덴서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①역률 증가로 인한 손실증가. ②단자전압 상승. ③고조파의 왜곡증가. ④전기요금 증가. ⑤설비여력이 줄어 과부하. <콘덴서 회로> [콘덴서 용량결정의 상한값]은 부하의 지상 무효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한다. [콘덴서를 본선에 접속 시키는 방법]: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 차단기등을 시설하지 말 것. 이 경우 콘덴서에 이르는 분기선은 본선의 최소 굵기보다 적게 하지 말 것.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하여 유해할 경우]- 직렬 리액터 설치. [콘덴서 설치시 제5고조파 제거 방법] - 콘덴서 용량의 6%정도의 직렬 리액터 설치.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원인 ①콘덴서 설비의 모선단락 및 지락. ②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③콘덴서 설비 내의 배선 단락. *전력용 콘덴서 뱅크수 결정 ①300[KVA]: 1개군 ②300[KVA] ~ 600[KVA]: 2개군 ③600[KVA]초과: 3개군 *전력용 콘덴서 보호장치 ①과전류 계전기. OCR ②과전압 계전기. OVR ③부족전압 계전기. UVR ④지락 방향 계전기. DGR *전력용 콘덴서 개폐 제어방식 ①무효전력에 의한 제어. ②시간에 의한 제어. ③역률에 의한 제어. ④전압에 의한 제어. ⑤전류에 의한 제어. *방전코일 (DC):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 방전. [저압]: 개로후 3분이내 75[V]이하로 방전시킬수 있을 것. [고압]: 개로후 5초이내 50[V]이하로 방전시킬수 있을 것. *직렬 리액터 (SR) - 제5고조파 전류 억제.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억제 [이론적]: 전력용콘덴서의 4[%] [실제적]: 전력용콘덴서의 6[%] [분로 리액터]: 페란티현상 방지. [한류 리액터]: 돌발 단락전류 제한. [소호 리액터]: 아크 소호. [중성점 접지 리액터 NGR]: 배전선로의 지락 고장시 변압기 권선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해주는 리액터. *22.9[KV] Y-Δ결선시 1차측 중성점 접지 -부동처리 (Δ-Y결선시 2차측 400[V]이하에선 제2종 접지공사) *수전용 변압기 용량에 알맞은 콘덴서 용량 ①500[KVA]미만 ? 변압기 용량의 5[%] ②500[KVA]~2000[KVA]이하 ? 변압기 용량의 4[%] ③2000[KVA]초과 ? 변압기 용량의 3[%]
[임피던스 전압]: 슬라이닥스를 서서히 움직여 전압을 높여가면서 전류계 지시가 정격전류일 때 전압계의 지시값. [%임피던스]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동손]: 임피던스 전압에서의 전력계 지시. [철손]: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전압계가 정격전압일 때의 전력계 지시값. [효율]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임피던스 크면] 단락 고장전류가 적고 전압변동은 크다. *절연내력 시험 [시험전압]=최대사용전압(=공칭전압 x 1.15/1.1) X 고압1.5배 (특고압 1.25배. 중성점 비접식 결선에서는 0.92배.) @시험전압에 10분간 견디어야 한다. (직류로 할경우에는 2배의 전압을 가한다.) [전압계 1에 인가되는 전압]: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전압계 2에 인가되는 전압]: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mA]전류계: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 [PT]:피시험기기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 <발전기> *자가용 전기설비 중용검사 사항 ①절연저항 시험. ②접지저항 측정. ③절연내력 시험. ④계전기 동작 시험. ⑤외관검사. *발전기와 부하 사이에 설치하는 기기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반드시 시설되어야 할 것) ①개폐기. ②과전류 차단기. ③전압계. ④전류계. [시설방법] ①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설치. ②전압계는 각 상의 전압을 읽을수 있도록 시설. ③전류계는 각 상의 전류를 읽을수 있도록 시설. *발전기 병렬운전 조건 ①기전력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무효 순환전류 발생. ②기전력의 위상이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동기화 전류, 유효횡류 발생. ③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난조 발생. ④기전력의 파형이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고조파 순환전류 발생 ⑤기전력의 상회전이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동기검정. *발전기실 천정의 높이 결정시 고려사항 ①발전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것. ②발전기 부속설비의 높이 확인. *예비전원 설비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 ①비상용 부하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방식의 전원 설비 일 것. ②신뢰도가 높을 것. ③조작, 취급, 운전이 쉬울 것. ④경제적일 것. *자가용 전기설비에 발전시설 구비시 설치되어야 할 계전기 ①과전류 계전기 ②주파수 계전기 ③과전압 계전기 ④부족전압 계전기 ⑤비율차동 계전기 *발전기실 위치선정시 고려할 사항 ①기기의 반입, 반출 및 운전 보수가 편리할 것. ②급배수가 용이할 것. ③전기실에 가까울 것. ④연료의 보급이 간단할 것. ⑤실내 환기를 충분히 할수 있을 것. ⑥배기 및 배출구에 가급적 가까이 위치할 것. *발전기 단락비 [단락비]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단락비는 수차발전기가 터빈 발전기보다 더 크다.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 ①기계의 치수가 크고, ②가격이 크고, ③풍손, 마찰소, 철손이 크고, ④효율은 낮고, ⑤전압변동률은 적고, ⑥안정도는 크다. <무정전 전원장치(UPS)> - UPS는 축전지, 정류장치(Converter)와 역변환 장치(Inver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로의 정전이나 입력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전력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설비를 UPS라 한다.
[UPS]: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CVCF]: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명칭]: ①컨버터: 교류를 직류로 변환. ②축전지: 충전장치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저장. ③인버터: 직류를 사용하여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변환. ④절체스위치: 상용전원 정전시 인버터 회로로 절체되어 부하에 무정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바이패스 트랜스포머 설치이유] ①회로의 절연. ②교류 입력전압과 부하 정격전압이 다를 경우 전압의 크기를 같게하기위해. *UPS, CVCF, VVVF 비교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회로상의 차이점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출력파형상의 차이점
<축전지> *축전지설비 구성요소 ①축전지. ②충전장치. ③보안장치. ④제어장치. *충전방식 ①초충전 방식. ②부동충전 방식. ③균등충전 방식. ④급속충전 방식. *보충전 방식 - 축전지가 장시간 방치되어 자기 방전되었거나 극판을해체한 경우 또는 축전지를 상시 충전한 상태로 두기 위해 미소한 전류로 계속 충전을 행하는것.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또는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충전방식 ? 보충전 방식 *부동충전 방식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하는 동시에 일상적인 부하전류는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며, 충전기가 부담키 어려운 일시적 대전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충전방식. [부동충전 전압] = 2.15 X 축전지 갯수 [V] *부동충전방식 특징 ①항상 완전 충전상태에 있어 언제든지 그 능력을 발휘할수 있다. ②수명이 길어진다. ③보수가 간단하고 고장이나 취급상 과실이 적다. ④충전지 및 충전지 용량이 길어도 된다. *균등충전 방식 -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해 1~3개월 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 ~ 12시간 충전하여 전해조의 용량을 균등화 하는 방식 *세류충전(트리클 충전) - 자기 방전량만을 항상 충전하는 방식. *L(보수율) - 사용연도의 경과 및 사용조건의 변동등에 의한 용량변화 보정값 (K: 용량환산시간, I: 방전전류) *축전지설비 설치형식에 의한 분류 ①거치형: 일정장소에 설치사용하는 것으로 각종 기기 제어반, 전화교환설비등에 사용. ②이동형: 상시 이동하며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차량용 등이 있다.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 비교
*알칼리 축전지 [장점] ①충방전 특성이 양호. ②방전시 전압변동이 작다. ③사용 온도 범위가 넓다. ④수명이 길다. ⑤진동, 충격에 강하다. [단점] ①연축전지에 비해 단자전압이 낮다. ②중량이 무겁다. ③가격이 비싸다. *축전지 설명 (전해액)으로는 순수한 묽은 황산을 쓰고 그 농도는 (비중)으로 나타낸다. (비중)은 방전초기에 (높)고 방전 종기에는(낮)이며 그 변화가 직선적이다. 충전종료시의 (비중)은 (1.125)이 되어야 하며 방전에 의해서 0.03~0.05정도의 변동이 생긴다. 축전지가 충전상태로부터 규정된 방전 종지 전압이 될 때 까지 낼 수 있는 (전기량)을 그 축전지의 용량이라 하고, 이것의 단위는 (Ah)로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방전시간에 대한 시간 방전율은 (10)시간방전율을 표준은로 삼고 있다. *증류수나 묽은 황산 보충시기 - 액면이 저하되어 극판이 노출되었을 때. [이유]: 충방전시 수소가스가 발생하기 때문. 액면은 극판위 1~2[cm] 정도. [황산액 비중]: 그림에서 가장 높은 값. *축전지 고장원인 @극판이 백색 또는 백색반점: 방전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 @비중저하, 충전용량 감소: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경우. @충전시 전압상승이 빠르고 다량의 가스발생: 불충분한 충전반복. @전해액 변색, 그냥 두어도 가스발생: 불순물 혼입. @전 셀의 비중이 높다: 증류수 부족. @전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높다: 충전 부족으로 장기간 방치. @초기고장 ? 전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낮다: 부동 충전 전압이 낮거나 균등충전이 부족한 경우. @우발고장 ?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충전전압이 높거나 실온이 높은경우. @초기고장 ? 비중이 저하, 전압계 역전.: 역접속 @어느셀의 전압, 비중이 극히 낮다: 국부적인 단락현상. @충전장치 고장, 과충전, 액면저하로 ?나 극판 노출.-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상승 및 소손발생. @부동충전 전압이 높거나 실내온도가 상승한경우.-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알칼리 축전지에서 불순물 혼입.- 전압이 저하되고 용량감소. @알칼리 축전지 우발고장: 전체셀의 전압 불균일이 큰경우- 부동충전 전압이 낮거나 균등충전 부족. <전선> *전선 옥내 배선용 기호 HIV : 내열용 비닐 절연 전선 IV : 600V 비닐 절연 전선 RB : 600V 고무 절연 전선 DV : 인입용 비닐 절연 전선 OW :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 CV : 가교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VV : 비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CVV : 제어용 비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VVF : 비닐 절연 비닐 외장 평형 케이블 EV : 폴리에틸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ACSR : 강심 알루미늄 연선 CNCV : 동심 중성선 차수형 전력 케이블 CNCV-W : 동심 중성선 수밀형 전력 케이블 FR CNCO-W :동심 중성선 수밀형 저독성 난연 전력 케이블 NV : 비닐 절연 네온 전선 NEV :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 네온 전선 NRC : 고무 절연 클로로포렌 외장 네온 전선 NRV : 고무 절연 비닐 외장 네온 전선 *전선 굵기 결정 3대요소 ①허용전류. ②전압강하. ③기계적 강도. *접지선 굵기 결정 3대요소 ①전류용량. ②내식성. ③기계적 강도. *금속관 종류 @후강전선관(내경-짝수)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mm] @박강전선관(외경-홀수) -15, 19, 25, 31, 39. 51, 63, 75 [mm] *전력케이블 허용전류 ①연속시 허용전류- 통상의 부하전류 이상의 값으로 허용되는 전류. ②단락시 허용전류- 단락사고등 매우 짧은 시간에 큰 전류가 흐른 경우의 허용전류. ③단시간 허용전류- 짧은 시간에 연속허용전류 이상의 과부하전류를 허용하는 경우. *배전선 전압조정 방법 ①자동 전압 조정기. ②고정 승압기. ③병렬 콘덴서. ④주상변압기 탭 조정. ⑤변전소에 ULTC 설치. *승압의 효과 ①전력손실 및 전압강하율 감소. ②전력 판매 원가 절감. ③양질의 전기 공급 및 사용가능. ④저압 설비의 투자비 절감. ⑤전압에 비례하여 공급능력 증대. ⑥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여 공급전력 증대. (전력손실율이 동일한경우) ⑦고압 배전선 연장의 감소. ⑧대용량 전기기기 사용이 용이. *대지 저항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 ①흙의 종류와 수분의 양. ②흙에 함유된 물질의 용도와 온도. ③토양 알갱이의 크기 및 조밀도. *옥내 저압 배선 (이때 시설 장소의 조건에 관계없이 한가지 배선방법으로 배선 하고자 할 때 옥내에는 건조한 장소, 습기진 장소, 노출 배선장소, 은폐배선을 하여야 할 장소, 점검이 불가능한 장소 등으로 되어있다면 적용 가능한 배선 방법의 종류 4가지) ①금속관 배선. ②합성 수지관 배선. ③2종 가요전선관 ④3종,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인입구 장치에서 심야전력기기까지 배선공사방법 ①금속관 공사. ②케이블 공사. ③합성 수지관 공사. ④가요전선관 공사. *3상 4선식의 옥내 배선 전압측 전선색 : 흑 ? 적 ? 청 ? 백색 또는 회색 *플로어 덕트: 통신선로 혹은 전력 선로용 전선을 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mm] 간격마다 인출구를 갖는 강판제의 덕트 [용도]: 중규모 혹은 대규모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통신의 배전용으로 사용. *저압배선 방법 중 캡타이어케이블의 사용구분
*지중 케이블의 사고점 측정법, 절연감시법 [사고점 측정법] ①Murray Loop법. ②Capacity Bridge. (정전브릿지법) ③펄스측정법. [절연 감시법] ①Megger법. ②Tan 측정법. ③부분 방전 측정법. *400V이상 저압옥내배선의 시설장소와 배선방법
<적산전력계> [잠동현상]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주파수 및 정격전압의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잠동 방지대책] ①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②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힌다. *적산 전력계 구비조건 ①옥내 및 옥외에 설치가 적당할 것. ②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③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부하특성이 좋을 것. ⑤과부하 내량이 클 것. *한쪽 전력계 눈금이 0 이 되는 역률: 50 [%] <분기회로> *분기회로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시설
간선 단면적 1/2 이상: 과전류 차단기 생략가능. *분기 회로의 종류
*간선의 설계순서 ①건축 일반 도면. ②분전반의 용량 및 위치확인. ③각 간선의 그룹분류. ④배전방식 결정. ⑤배전 루트 결정. ⑥배선재료 결정. ⑦간선 계산. ⑧배선 굵기 계산. ⑨보호장치 선정. ⑩도면 작성. *전기재해 ①전기 재해 : 감전, 아크의 복사열에 의한 화상, 전기 화재, 전기설비의 손괴 및 기능 일시 정지. ②정전기 재해 : 감전, 설비기능 저하, 정전기 화재. ③낙뢰 재해 : 감전, 낙뢰 하재, 물체 손괴. <저항 및 접지저항>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값
*절연저항: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게하는 저항. (메거로 측정) *접지저항 측정 1.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2. 어스테스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저항측정방법
<설비불평형률> [단상]: 40[%]이하 허용. (초과시 저압밸런서 이용 가능) [3상]: 30[%]이하 허용. *위의 제한을 따르지 않는경우 ①저압 수전에서 전용변압기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②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③특고압 및 고압선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이하인 경우. ④특고압 수전에서 100[KVA]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접지공사> [접지목적] ①감전방지 - 기기의 손상등으로 누전이 발생하면 전류가 접지선으로 흘러 기기의 대지전위 상승이 억제되고 감전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②기기 손상 방지 - 고,저압 혼촉시 침입하는 고전압을 접지선을 통해 대지로 흘려보내 기기의 손상등을 방지 할 수 있다. ③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 지락사고시 일정크기 이상의 지락전류가 쉽게 흐르기 때문에 지락계전기등의 동작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중요 접지 개소] ①일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접지. ②피뢰기 접지. ③피뢰침 접지. ④옥외 철구 및 경계책 접지. ⑤케이블 실드 접지. *기기별 접지공사 ①고압 방전장치: 제1종 접지공사. ②피뢰기: 제1종 접지공사. ③보호망: 제1종 접지공사. ④1000[V]이상: 제1종 접지공사. ⑤1000[V]이하: ┌ 관등회로의-특별 제3종 접지공사. └ 관등회로로서?제3종 접지공사. ⑥400[V] 미만: 제3종 접지공사. ⑦접지용 전선 (중성선, 중성점): 제2종 접지공사. ⑧저압과 고압을 연결하는 변압기의 혼촉 방치판: 제2종 접지공사. ⑨풀장용: 특별 제3종 접지공사. ⑩400[V]이상 사람 접촉 우려: 특별 제3종 접지공사. ⑪계기용 변성기 2차측: ┌ 특고압: 제1종 접지공사. └ 고,저압: 제3종 접지공사. ⑫400[V]미만 저압: 제3종 접지공사. ⑬400[V]이상 저압: 특별 제3종 접지공사. ⑭고압또는 특고압: 제1종 접지공사. *비접지 3상 3선식 배전방식에 대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단점 [장점] ①고, 저압 혼촉 사고시 이상전압이 적다. ②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이상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③변압기 절연을 단절연 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하다. ④이중 고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 [단점] ①지락전류 검출이 어려워진다. ②통신선에 유도장해. ③안정도 감소. ④차단기 용량 증대. *접지공사 종류
*감전사고 방지대책 ①외함접지공사 철저히 한다. ②접지 저항값을 규정값 이하로 한다. ③정기적으로 선로와 기기의 절연 저항과 절연 내력을 측정하여 기준값 이상으로 유지. ④2중 절연구조의 전기기기 선택.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 시설예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5, 10, 15, 30 [mA] [고감도 고속형]: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인체감전보호용]: 0.03초이내. *소형전기 기계기구 [소비전류]: 6[A] 이하 [소비전력]: 전동기 110[V] ? 200[W]이하 220[V] ? 400[W]이하 *대지전압 [접지식 전로]: 대지와 전압선 사이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 전압선 상호간의 전압. *용어설명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나 콘덴서의 결선상의 단위. [수구]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의 총칭. [한류퓨즈] - 단락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고,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갖는 퓨즈. [접촉전압] - 지락사고가 발생한 금속체에 인체가 접촉하였을 때 인체에 발생하는 전위차. *전기 방폭설비 - 전기설비가 원인이 되어 가연성 가스나 증기, 또는 분진이 인화되거나 폭발되어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것 방지. *aa접점: 닫힐 때는 늦게, 열릴 때는 빠르게. bb접점: 닫힐 때는 빠르게, 열릴때는 느리게. *방폭구조 종류 ①내압 방폭구조. ②유입 방폭구조. ③안전증가 방폭구조. ④본질안전 방폭구조. ⑤특수 방폭구조. *콘센트 심벌 LK: 빠짐 방지형 T: 걸림형 ET: 접지 단자 붙이 E: 접지극 붙이 EL: 누전 차단기붙이 H: 의료용 WP: 방수형 EX: 방폭형 TM: 타이머 붙이 2: 2구 3: 3구 3P: 3극 천장붙이 콘센트 바닥붙이 콘센트 *점멸기 심벌 2p: 2극 스위치 3: 3로 스위치 4: 4로 스위치 L: 파일럿램프붙이 T: 타이머 붙이 A: 자동 R: 리모콘 *콘센트는 15A 미만, 점멸기는 10A 미만은 방기하지 않음. *콘센트는 20A 이상, 점멸기는 15A 이상 방기. <조명설비> *조명용어 ①광속 F: 복사속 중에서 눈에 보이는 빛의 양 ②광도 I : 단위 입체각당 광속 밀도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완전확산(평균구면)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③조도 E: 단위 면적당 입사 광속 ④※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⑤휘도 B: 수직 투영면적당 광도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⑥광속발산도 R: 단위면적당 발산 광속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적외선 전구 ①용도: 표면가열 및 건조 ②사용[W]: 250[W] ③효율: 80 ~85[%] ④필라멘트 온도: 2500[K] ⑤파장: 1.15[㎛] *플리커 현상 줄임 조치 ①백열전등: 직류 전원 공급. ②3상전원: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위상이 120도가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 ③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기구: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 *플리커 현상 경감 대책 [전원측] ①전용계통으로 공급. ②공급전압 승압. ③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 ④전용 변압기로 공급. [수용가측] ①직렬 리액터 설치. ②부스터 설치. ③직렬 콘덴서 설치. *백열전구 플리커 현상 원인 ①점등상태에서 필라멘트의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②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정현파가 아닌 경우. ③공급 전압이 정격전압 보다 낮아지는 경우. ④외부 진동이나 자장의 변화로 필라멘트가 진동하는 경우. [인광]: 자극을 멈추어도 어느정도 발광을 지속하는 현상. [형광]: 자극을 지속하는 동안에만 발광하는 현상. *슬림라인 형광등 [장점] ①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의 기동장치 불필요. ②순시기동으로 점등시간이 짧다. ③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④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⑤전압변동으로 인한 수명단축이 없다. [단점] ①점등장치가 비싸다. ②전압이 높아 기동시 음극이 손상되기 쉽다. ③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설계자가 크기, 형상등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여 형광등 기구를 벽면 상방 모서리에 숨겨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기구로부터의 빛이 직접 벽면을 조명하는 건축화 조명 - 코오니스 조명 (Cornice light) *조명설비에서 전력 절약 방법 ①고효율 광원 이용. ②고역율 광원 이용. ③고효율 조명기구 선택. ④등기구의 격등제어 회로구성. ⑤적절한 조명기구 배치. ⑥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적절한 병행. ⑦자연채광의 최대 이용. ⑧슬림라인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조명계측기의 4가지 ①광도계. ②조도계 ③휘도계 ④광속계. *조명설비의 조도가 시설 당시보다 점차 떨어지는 이유 ①램프의 광속 및 효율 저하. ②등기구의 오염에 의한 이용광속 감소. ③벽, 천장등의 오염에 의한 반사율 감소. *눈부심(글레어)의 주된 원인 ①고휘도 광원이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②반사 및 투과면이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③순응의 결핍. ④눈에 입사하는 광속의 과다. ⑤시선 부분에 노출된 광원. *도로 조명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운전자가 보는 노면의 휘도가 높고 일정할 것. ②보행자가 보는 노면의 조도가 밝고 일정할 것. ③조명기구의 눈부심이 적을 것. ④도로나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⑤광원의 연색성이 좋을 것. ⑥도로상의 연직면 조도가 충분히 밝고 보행자 서로간 알아볼 수 있을 것. *일반조명에 쓰이는 램프의 종류 ①백열전구. ②할로겐 전구. ③형광램프. ④대형방전램프. *효율이 높은 순서 ①나트륨 램프. ②메탈 할라이드 램프. ③형광 램프. ④수은 램프. ⑤할로겐 램프. ⑥백열전구. *형광등이 백열등에 비해 우수한점 ①효율이 높다. ②광속이 크다. ③수명이 길다. ④열방사가 적다. ⑤필요로 하는 광색을 얻을 수가 있다. *백열전구 필라멘트 조건 ①융해점이 높을 것. ②고유저항이 클 것. ③선팽창 계수가 적을 것. ④온도계수가 정확할 것. ⑤가공이 용이할 것. ⑥높은 온도에서 승화가 적을 것. ⑦고온에서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지 않을 것. *HID Lamp: 고휘도 방전램프 [종류] ①고압 수은등. ②고압 나트륨등. ③메탈 할라이드 램프. ④초고압 수은등. ⑤고압 크세논 방전등. *메탈할라이드 등의 특징 ①연색성이 좋다. ②배광제어가 용이하다. ③시동에 수분간 시간이 소요된다. ④휘도가 높다. ⑤효율이 전구에 비해 높다. ⑥수명이 길다. CB 1차측에 PT 와 CT 를 시설하는 경우
[주1] 22.9[kV-Y] 1000[kVA] 이하인 경우에는 간이 수전 설비 결선도에 의할 수 있다.
[주2] 결선도 중 점선내의 부분은 참고용 예시이다.
[주3] 차단기의 트립 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 방식(CTD)이 바람직하며 66[kV] 이상의 수전 설비에는 직류(DC) 이어야 한다.
[주4] LA 용 DS 는 생략할 수 있으며 22.9 [kV-Y]용의 LA 는 Disconnector(또는 Isolator)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주5]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동 주택 등 사고시 정전 피해가 큰 수전 설비 인입선은 예비선을 포함하여 2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6] 지중인입선의 경우에 22.9[kV-Y] 계통은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트리억제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전력구.공동구.덕트.건물구내 등 화재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FR CNCO-W(난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7] DS 대신 자동고장구분 개페기(7000[kVA] 초과시에는 Sectional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66[kV] 이상의 경우는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
출처: 바람 의 여정 원문보기 글쓴이: 법관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저도 파일 부탁 드려봅니다
hok2000@hanmail.net
고맙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저도 화일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you20kt@daum.net
대단하십니다.
저도 파일 부탁드려도 될까요?
hs190502@naver.com
안녕하세요
실기 준비 중인데 파일 부탁드려도 될까요?
messin64@naver.com
감사합니다
선배님
저도 실기 준비 중인데, 자료 받았으면 공유 부탁드려도 됩니까?
ays1517@naver.com
ㄷㄱㄷㄱ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파일 자료 부탁 드려도 됩니까?
ays1517@naver.com
쿨팁
오른쪽 상단 "수정"아랫 부분에 쩜 3개 클릭
인쇄 누른다.
pdf로 저장한다.
끝...
좋은 정보 너무감사합니다. 가능하시다면 파일로 자료 부탁드립니다.
jjmun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