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물의 효능


대나물
계:
식물
과:
석죽과
학명:
Gypsophila Oldhamiana MIQ.
생약명:
은시호(銀柴胡), 은호(銀胡), 산채근(山菜根), 토삼(土參)
개화기:
6~7월
분포:
한국, 유럽
1.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면서
50~60cm의 높이로 자란다.
피침 꼴의 잎은 마디마다 2장이 마주 자리하며 끝이
뾰족하다.
3줄의 잎맥이 뚜렷하게 평행하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와 가지 끝에 작고 하얀 꽃이 많이 뭉쳐 피어
원뿌리 꼴을 이룬다.
길쭉한 타원 꼴인 5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10개의
수술과 2개로 갈라진 암술을 가지고 있다.
꽃의 지름은 5mm 안팎이다.
꽃이 핀 뒤에 작고 둥근 열매를 맺는데 익으면 4개로
갈라져 씨가 쏟아진다.
2. 분포
원래 유럽에 나는 풀인데 귀화하여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산이나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에 난다.
3. 약용법생약명
은시호(銀柴胡), 은호(銀胡), 산채근(山菜根), 토삼
(土參)이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뿌리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가을에 굴취하여 줄기와 잔뿌리를 따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뿌리에 유독성분인 사포톡신(Sapotoxin)이 약간 함유
되어 있다.
약효
해열, 거담, 강장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몸이 허약하여 생겨나는 신열을 다스리는
데에 쓰인다.
그밖에 자주 기침을 하는 증세와 어린아이의 간질병의
치료약으로도 사용된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2~4g씩 200cc의 물로 천천히 달이
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이 분량은 성인에 해당되는 용량이므로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어느 것이든 양을 반으로 줄이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4. 식용법
어린순을 나물로 해서 먹는다.
뿌리에는 유독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잎에는 없으
므로 어린잎을 식용으로 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맛이 담백하고 달기 때문에 가볍게 데쳐서 찬물에
한 번만 헹구고 난 후 양념하여 먹는다.
(약리)
시호는 은시호, 북시호, 연시호 3종으로 나눈다.
은시호(대나물)는
청열기능이 있어 음허내열(陰虛內熱)을 치료하고,
북시호(참시호)는
청열기능이 있어 상한사열(傷寒邪熱)을 치료하고,
연시호(개시호)는
청열기능이 있어 간열골증(肝熱骨蒸)을 치료한다.
(기능)
청허열(淸虛熱), 제감열(除疳熱),
(주치)
음허발열(陰虛發熱), 골증노열(骨蒸勞熱), 소아감적
발열(小兒疳積發熱).
(임상)
(1), 골증노열 치료.
은시호 4.8g(1.5돈), 호황련, 진구, 별갑(醋灸),
지골피, 청호, 지모 각 3.15g(1돈), 감초 1.5g(05돈)을
물에 달여 음식과 먼 중간에 복용한다.
(證治准鏞;淸骨散)
(2), 남여 허노발열 치료.
은시호, 사삼 각 등분으로 매회 6.25g(2돈)을 물에
달여 먹는다.
(本草彙言)
(3),온증조열(溫證潮熱), 신체고수(身體枯瘦),
피부갑착(皮膚甲錯) 치료.
은시호 6.25g(2돈), 별갑 9.36g(3돈)을 달여 먹는다.
(용량)
내복;
5-10g 탕, 혹 환, 산.
(주의)
외감풍한(外感風寒), 혈허무열(血虛無熱)이 있는
사람에게는 신중하게 복용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