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구조물 계산시에는 허용응력설계법을 이용해서 구조계산을 했었는데 지금은 방식이 강도설계법으로 바뀌었죠. 그러다보니 허용응력 설계법은 현재의 구조물설계 방법에는 맞지 않습니다. 교수가 맘먹고 낼려면 나올 수야 있겠지만 흐름에 역행하는 짓이기에 나오지 않을겁니다. 허용응력 설계법을 배우는 주된 이유는 예전에는 허용응력법으로 구조계산을 했기때문에 그 방식을 적용했던 구조물이 현재까지도 상당히 많이 남아있고 강도설계법으로 바뀌기 전에 만든 구조물의 안전성을 계산하려면 그때 당시의 주된 방법이였던 허용응력 설계법을 적용해야 하므로 알고는 있어야 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겠네요.
첫댓글 누가알겠어요... 수험생이면 허용도 알아야한다~ 라고 획 돌아서 문제 낼지요. 그런데 안나올 가능성 99% ㅋㅋㅋㅋ
기출문제 분석해보시면 답 나옵니다.
부디 파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예전 구조물 계산시에는 허용응력설계법을 이용해서 구조계산을 했었는데 지금은 방식이 강도설계법으로 바뀌었죠. 그러다보니 허용응력 설계법은 현재의 구조물설계 방법에는 맞지 않습니다. 교수가 맘먹고 낼려면 나올 수야 있겠지만 흐름에 역행하는 짓이기에 나오지 않을겁니다. 허용응력 설계법을 배우는 주된 이유는 예전에는 허용응력법으로 구조계산을 했기때문에 그 방식을 적용했던 구조물이 현재까지도 상당히 많이 남아있고 강도설계법으로 바뀌기 전에 만든 구조물의 안전성을 계산하려면 그때 당시의 주된 방법이였던 허용응력 설계법을 적용해야 하므로 알고는 있어야 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겠네요.
답변 감사해요. 다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