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이 음력으로 2월 초하루입니다.
다시 꽃샘하느라고 반짝 추워진다고 듣습니다.
일주일째 혼자 지내면서 정신 바짝 차리고 지냅니다만 가끔 건망증으로 땀을 흘립니다.
어제는 오전까지 잘 썼던 휴대전화가 오후에 보이지를 않아 한참 헤맸네요.
침대에도 안 보이고, 거실 소파에도 없으니...
집 전화로 전화를 걸어도 아무도 안 받고...
나중에 알고 보니 대문 앞에 세워둔 차 안에 놓여있더라구요.
파머스에 다녀온 뒤에 깜빡 했던 것이지요. 쩝... 제가 이렇습니다.
통화하거나 쪽지창(메신저)을 하면서 통화할 때는 습관적으로
"이따 연락할게!"라고 말해 놓고는 금방 잊어버립니다.
제가 생각해도 보통 심각한 게 아닙니다.
벌써 이렇게 건망증이 심해서
어떡하려고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건망증이 없어지길 빌며 오늘 편지를 씁니다. ^^*
[이따가]로 소리 나는 말은 '있다가'와
'이따가'가 있습니다.
'있다가'는 '있'에 씨끝(어미) '다가'가 붙은 것으로
'있다'는 뜻과 '-다가'라는 뜻이 같이 들어
있습니다.
밥을 먹다가 신문을 봤다나, 오다가 만났다, 집에 있다가 들켰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이따가'는 "조금 지난
뒤에"라는 뜻의 어찌씨(부사)입니다.
준말이 '이따'입니다.
있다, 없다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쉽게
갈라보면,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뜻이 있으면 '있다가'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이따가'를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이따가 갈게'에는 존재의 뜻이 없이 잠시 뒤라는 뜻만 있으므로 '이따가'를 쓰고,
'동치미는 이따가
입가심할 때나 먹고'에서도 존재의 뜻이 없으므로 '이따가'를 씁니다.
'굴속에 느긋하게 있다가 밤에 돌아다녀라.'나
'2년여를
병상에 누워 있다가 2003년 눈을 감았다.'는
어디에 존재한다는 뜻이 있으므로 '있다가'를 씁니다.
쉽게 가르실 수
있죠?
'이따가' 저녁에 술자리가 있는데 걱정이네요.
요즘은 술을 많이 마시면 가끔 기억 줄을 놓거든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