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아이의 반항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
1. 명확한 규칙과 결과를 정합니다.
가정안에 명확한 규칙이 없다면 아이들이 혼동을 가질 수 있어 안정감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명확한 규칙을 정해주고 이 규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의 결과에 대해 알고 있다면,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기 더 쉽습니다.
2.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웃지 않습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아무리 그 상황이 웃기더라도 부모는 웃으면 안됩니다. 부모의 웃음은 아이에게 이중적인 의미를 전달하게 되어 점진적으로 아이에게 존중 받기 어려워집니다.
3.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합니다.
부모들의 흔한 실수 중에 하나는 아이들의 긍정적인 행동이 아니라 부정적인 행동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부정적인 행동에 대해서만 지속적으로 지적한다면, 오히려 간접적으로 부정적 행동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4.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합니다.
아이가 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 보다 그 반대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쿵쿵거리며 뛰어다니면 안돼” 라고 말하는 것 보다 “밖에서는 뛰어다녀도 좋아” 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아이에 대한 적절한 이해와 기질에 대한 파악 없이 양육을 하는데 부모의 권위적인 태도만 내세운다면 적절한 양육을 할 수 없습니다. 적대적 반항장애는 아이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부모님의 양육태도, 가족환경이 주요 원인입니다. 따라서, 적대적 반항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아이 뿐 만 아니라 부모도 같이 치료에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ADHD, 불안장애, 우울증 등 다른 정신질환의 여부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온 가족이 전문 치료사 밑에서 올바른 치료와 노력을 기울인다면 적대적 반항장애는 충분히 극복가능 합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용인정신병원: 적대적 반항장애, 분노에 찬 아이들
www.yonginmh.co.kr/news2/13062
Ghosh, A., Ray, A., & Basu, A. (2017).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Current insight.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https://doi.org/10.2147/PRBM.S120582
Gale, B. M. (2011).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In Stepped Care and e-Health: Practical Applications to Behavioral Disorders.
https://doi.org/10.1007/978-1-4419-6510-3_10
Greene, R. W., Biederman, J., Zerwas, S., Monuteaux, M. C., Goring, J. C., & Faraone, S. V. (2002). Psychiatric comorbidity, family dysfunction, and social impairment in referred youth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https://doi.org/10.1176/appi.ajp.159.7.1214
Mayo Clinic: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김붕년(2019). ADHD 어릴 때부터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사진출처: 구글(재사용가능)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백신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