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M&A 행보와 영업현금흐름 호조 대비
부진한 주가흐름에 대한 검토 및 SK에 대한 제언
SK 통합 지주회사는 ‘15년 영업현금흐름 693억원에서 ‘18년 8,053억원, ‘19년 예상 1.2조원대로 순조로운 성장을 이어왔다.
하이닉스 인수 이후 머티리얼즈 및 실트론 인수를 통해 그룹의 새로운 성장축을 구축했고, 바이오팜/ 바이오텍/ AMPAC 투자 및 인수, 그리고 상장 추진을 통해 바이오 부문의 결실이 기대된다.
이러한 성공적인 투자 지주회사로서의 행보 대비 주가 흐름은 ‘15년말 대비 15% 상승에 그치며 더딘 상황이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SK의 영업현금흐름 호조 및 성공적인 M&A는 분명 긍정적이나, 동기간 지분투자액은 약 4조원 증가하며 차입금 또한 1.7조원 증가했다. 영업현금흐름 증가를 크게 상회하는 M&A로 주주환원은 기대 대비 더딘 증가를 보였고 순차입금 또한 매년 증가했다. 물론, 적시적인 유관사업 M&A를 통한 포트폴리오 강화는 중장기 차원의 긍정적 사안이겠으나, 단기적으로는 포트폴리오 확장에 따른 불확실성, 더딘 주주환원 증가라는 부담을 동시에 안게 된다. 그룹의 차세대 성장 동력인 바이오팜의 상장이 임박했다는 점에서, 중장기 지분투자/ 주주환원/ 재무구조에 대한 종합적인 청사진을 제시할 만한 시점이라 판단한다.
예컨대, 매년 영업현금흐름 대비 50% 전후의 M&A를 지향하고, 수취 배당금 대비 3년 내 50%(상장 지주회사 평균)까지 배당성향 확대, 잔여 영업현금흐름을 통한 약 1조원 순차입금 축소를 제시한다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간 괴리를 축소할 계기가 될 것이라 판단한다.
세부적으로는 바이오팜 상장시 특별배당 가이던스의 구체화 또한 기대한다.


SK바이오팜 시장 가치 기존 컨센서스를 대폭 상회할 전망
SK바이오팜 IPO가 임박했다. 입찰제안요청서(RFP) 발송 및 주관사 선정 PT가 지난주까지 마무리되었고 연내 상장이 예상된다. 상장 기업가치가 중요할 텐데, 기존 증시 컨센서스 5~6조원을 대폭 상회하는 평가가 예상된다. 공모시 기업가치 10조원, SK의 구주 매출 10~15%를 가정하면 특별 배당 재원이 6,900억원~1조원대 발생 및 DPS 1만원 이상이 가능하다. 또한 SK의 바이오팜 지분가치는 약 21배 증가하여 전년도말 지배순자산 16.6조원 대비 55% 증가한 약 26조원의 순자산이 예상된다. 배당 및 NAV가 구조적으로 레벨업하는 계기라는 점에서 주가 저점의 점진적 상승을 전망한다.

(하나금융투자)

SK 의 주가는 지난해 7월 이후 장기간 27만원선을 전후하여 길고 지루한 횡보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월 SK바이오팜에 대한 5.3억 달러짜리 대형 L/O 가 발표될 때 조차 주가는 이러한 박스권 흐름을 벗어나지 못했다.
위의 보고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의견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꽤 괜찮은 보고서라는 판단이다.
수급적인 측면을 보면.. 외국인의 지속적인 순매수를 보이고 있으나, 국내 기관들의 대응전략이 보수적인 상황이다.
일봉상 기술적인 저항 가격대라는 부담이 작용하는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계속해서 지지와 저항을 반복적으로 터치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일봉 흐름]

그러한 가운데 아래 주봉챠트에서도 확인되듯..
현재의 위치는 추세적인 변곡점이기도 하다.
제 이동평균선들은 수렴하고 있고, 중장기 추세의 지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기업의 가치가 계속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에서 답보상태의 주가 흐름에 관한.... 근본적인 주가의 상승모멘텀을 제시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위의 보고서는 의미가 있는 의견이라는 판단이다.


첫댓글 감사합니다